불임이야기

[뉴스에세이] 정부의 불임부부 지원에 대한 아쉬움

움이야기 2010. 10. 20. 14:17

정부의 불임부부 지원에 대한 아쉬움

"출산 장려한다더니…불임 부부엔 인색"

체외수정 시술 지원 횟수 3회로 제한…불임 부부 "출산장려 한다더니 정작 지원 미흡"

기사전문보기 (노컷뉴스 10. 6)


'불임부부 지원'은 저출산 해결책의 중요한 한 축입니다.

그래서 정부는 2006년부터 시험관시술에 대한 지원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위의 기사는 정부의 시험관시술 지원은 3회로 제한되어 있어 약 30%의 환자만이 임신에 성공했다며 시술지원 횟수를 늘려야한다는 내용입니다.

* “수급자 가운데 임신에 성공한 경우는 5,349건으로, 임신율은 31%” (본문 중 발췌)

불임부부에 대한 지원에는 적극 찬성입니다.

그러나 저는 이 지원이 시험관시술에 한정된다는 것에 문제를 제기하고 싶습니다.

시험관시술은 '자연임신'의 가능성이 희박할 때 마지막으로 고려해야하는 치료로 난소의 과자극 등으로 인해 여성의 몸에 많은 무리가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불임치료가 시험관시술에 한정되면서 대한민국은 '시험관 권하는 사회'가 되어가고 있습니다.


시험관을 반복하는 것만이 임신의 방법은 아닙니다.

양쪽 나팔관이 모두 막혀 시험관시술을 꼭 해야 하는 경우라고 하더라도 내 몸이 가장 건강한 상태에서 시술이 이루어질 때 임신확률을 높일 수 있습니다.

기사 내용 중 지난 2008년부터 체외수정을 시도했으나 지원 받은 3차례 모두 성공하지 못하고 자비로 4차 시술을 했으나 이 역시 실패한 후 12월 5차 시술을 계획하고 계신 분의 경우가 나옵니다.

"시술을 받기 전 착상이 잘 되도록 하기 위해 한약을 지어먹거나 주사를 맞는데, 이 비용도 만만치 않다"며 "넉넉한 형편도 아닌데 의료보험이라도 적용됐으면 좋겠다."고 토로한 얘기가 일부가 처한 상황은 아닐 것입니다.


앞으로는 시험관시술에 국한된 불임부부 지원이 한·양방치료, 나아가서는 심리치료, 사회적 지지 등으로 확장되기를 기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