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질 내 미생물을 보면 임신 가능성이 보인다

by 움이야기 2019. 6. 25.

질 내 미생물, 시험관시술에서 임신 가능성을 예측하는 효과적인 인자

 

 

시험관 시술의 주기 당 성공률은 약 25-35% 정도입니다.
호르몬제를 사용한 과배란, 난자 채취와 이식 등 일련의 시험관 시술 과정은 육체적으로 침습적이며, 정신적, 경제적 부담을 동반합니다.
따라서 가급적이면 여러 번 시술을 반복하기보다 처음 한, 두 번 시술에 성공하는 것이 최선입니다.
시험관 임신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는 여성의 나이, 이전 치료, 임신력, 수정란의 건강, 난소 반응, 자궁내막 상태 등을 중요하게 보는데요.

시험관아기 성공률을 좌우하는 일곱 가지 

 

시험관아기 성공률을 좌우하는 일곱 가지

시험관아기 성공률에 영향을 미치는 일곱 가지 인자 정자와 난자를 수정시켜 자궁에 넣어주는 시험관시술은 이론적으로는 완벽하지만, 실제 임신 성공률은 25-30% 정도에 불과합니다. 임신율을 높이기 위해 여러..

wombstory.tistory.com

 

질 내 미생물 구성을 알면 시험관 시술 결과를 효과적으로 예측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어 소개합니다.


네덜란드 연구팀이 2개월 내로 첫 번째 시험관시술을 예정하고 있는 20-44세 난임 여성 192명의 질 분비물을 검사한 후, 시험관임신 성공률과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분석하였습니다.
평균 임신율은 약 35%였으며, 유산균 등 질 내 미생물의 구성 비율에 따라 임신율 차이가 있었습니다.


임신에 비우호적인 질 내 미생물 구성은 아래와 같으며, 임신율은 5.9%에 불과했습니다.

 

Lactobacillus(유산균) 20% 미만, Lactobacillus. jensenii 35% 초과, Gardnerella vaginalis IST 1 존재, 또는 Proteobacteria 28% 초과

 

임신에 우호적인 질 내 미생물 구성을  Lactobacillus crispatus 비율에 따라 다시 두 그룹으로 나눴는데요. L. crispatus  60% 이상인 경우 임신율은 24%였으며, 60% 미만인 경우 임신율은 53%로 뚜렷하게 높았습니다.

연구진은 비우호적 질 내 미생물 구성을 갖고 있는 여성 34명 중 32명이 시험관 임신에 실패하여 정확도 94%의 신뢰할 만한 예측 인자라고 결론 내리면서, 이 경우 시험관시술을 미루거나 적어도 난자 채취 후 동결한 후 질 내 미생물 구성이 임신에 우호적일 때 이식할 것을  제시하였습니다.

질에는 많은 종류의 정상 세균군이 있는데요. 이 중에서 호기성 세균인 유산균(lactobacilli)이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합니다. 유산균은 질의 산성도를 유지하며 염증을 방지하는 자정작용을 담당하는데요. 면역력이 떨어지면 유산균 비율이 줄어들며 감염 위험이 증가합니다.

이번 논문에서는 질 건강을 지키는 것이 질염 예방뿐 아니라 임신에도 중요하다는 사실을 입증하고 있습니다. 

 

반복되는 질염의 한방 치료와 생활 수칙

 

반복되는 질염의 한방 치료와 생활 수칙

반복되는 질염의 한방 치료와 생활 수칙 질염 치료를 위해 한의원을 찾는 가장 흔한 경우는 '만성적으로 반복되는 질염'입니다. 산부인과에서 소독하고 좌약을 넣고 약 복용을 하면 그때만 반짝하고 좋아질 뿐 다..

wombstory.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