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불임이야기226

인공수정, 다음은 꼭 시험관? 인공수정, 다음은 꼭 시험관? 인공수정(IUI)은 정액을 원심분리 후 가장 좋은 정자를 골라 자궁경부 가까이 깊숙히 넣어주는 시술을 말합니다. 보통은 성공률을 높이기 위하여 여러개의 난자를 키우는 과배란을 병행하게 됩니다. 시험관시술이 정자와 난자를 체외에서 수정시켜 수정란을 넣어주는 방식이라면, 인공수정은 수정은 스스로 해야한다는 차이가 있습니다. 따라서 수정이 일어나는 장소인 나팔관 중 적어도 한 쪽의 상태는 양호해야한다는 전제조건이 있습니다. 엄밀한 의미에서는 배란이 잘 안되거나, 정자의 수나 활동성이 저하되거나, 점액불량 등으로 자궁경부를 통과하는 정자의 운동이 방해를 받는 상황이 인공수정의 적응증이라 볼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검사상 전혀 이상이 없는 '원인불명 불임'에서도 흔히 시술되고 있습.. 2011. 5. 6.
인공수정 이후는 시험관시술? 인공수정 실패 후 자연임신 피임을 하지않고 1년이 지나도 임신이 되지 않는 상태를 '불임'이라고 합니다. 처음에는 곧 되겠지, 하고 지내다가 1년이 지나면 슬슬 불안해지면서 마음이 급해지게 됩니다. 혹시 임신이 안되면 어쩌나.. 하는 마음에서요. 일단은 불임검사를 실시합니다. 월경주기에 따라 초음파검사, 나팔관검사, 호르몬검사를 하고 배우자의 정액검사까지 하게되면 일단 기본적인 불임검사는 마치게 됩니다. 검사 상 전혀 이상이 없더라도 불안한 마음에 양방의 불임치료를 시작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보통 몇번의 클로미펜 배란유도를 하면서 배란일을 맞춰 임신시도를 합니다. 그래도 임신이 잘 안되면 과배란 인공수정을 하게 됩니다. 난소에서 여러개의 난자를 키우고, 정액을 원심분리한 후 좋은 정자를 골라 자궁 입구까지 깊숙히 넣어주는 시술입니.. 2011. 4. 8.
여성암 환자 85%가 화병, 불임여성은? 여성암 환자 85%가 화병, 불임여성은? '화병(火病)' 포탈사이트의 백과사전에는 이렇게 설명되어 있습니다. '화병(火病) 또는 울화병(鬱火病)은 화를 참는 일이 반복되어 스트레스성 장애를 일으키는 정신 질환을 말한다. 미국 정신과 협회에는 1996년화병을 문화관련 증후군의 하나로 등록했는데, 이 질환을 영어로 hwa-byung이라고 부른다.' 즉, 화병은 우리나라의 독특한 문화상황 속에서 발생한 '문화병'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유교적 사회, 가부장적 가치관이 지배하는 사회에서 자신의 감정을 쉽게 표현하지 못하고, 얽히고 설킨 가족관계 속에 오랫동안 쌓인 스트레스가 마음의 병을 일으키면서 가슴이 답답하거나 잠이 잘 안오거나 하는 신체화 증상으로 나타나게 됩니다. 특히, 평생 참는 것을 미덕으로 알고 가.. 2011. 3. 23.
시험관아기 성공률 높이는 '웃음' 시험관아기 성공률 높이는 '웃음' 정자와 난자를 체외에서 수정시켜 자궁에 넣어주는 시험관시술은 불임가족들의 마지막 희망으로 여겨집니다. 그러나 그 이론적 완벽함에도 불구하고 시험관아기의 성공률은 약 25% 남짓입니다. 네 명 중의 한명 꼴로 성공하는 셈이지요. 한의학적으로도 시험관아기의 성공을 높이기 위한 임신 전, 시술 중 치료의 효과가 여러 논문을 통해서 발표되고 있는데, 이번에 이스라엘의 연구진에 의해서 재미있는 실험이 진행되었습니다. 시험관시술을 진행하는 병원에 'Medical Clown(의학 광대)'을 보내 막 수정란 이식을 받고 회복과정에 있는 여성들을 즐겁게 해주는 퍼포먼스를 진행하였습니다. 그 결과 광대가 방문한 Clown Day 에 이식한 여성들의 경우는 36%가 임신한 반면, 광대가 방.. 2011. 3. 13.
[남성불임]불임치료에서 남성의 치료가 중요한 이유 [남성불임]불임치료에서 남성의 치료가 중요한 이유 불임, 여성만의 문제? 예전에는 불임을 '칠거지악'의 하나라고 해서 여성의 문제로만 여겼던 적이 있습니다. 그러나 지금도 그렇게 생각하는 분들은 아무도 없겠지요. 임신은 명확하게 건강한 남녀의 사랑의 결실이니까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불임치료'라 하면 대부분 여성들이 받아야하는 것으로 여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남성이 여성보다 더 아이를 원하지 않아서는 아닐텐데요. 통계적으로 본다면 불임의 원인은 여성의 원인을 약 40%, 남성의 원인을 약 40%, 남녀 공통의 원인이거나 원인불명인 경우를 약 20% 정도로 봅니다. 여성의 경우 배란, 나팔관, 자궁 등 임신을 위해 살펴야할 것들이 많기 때문에 검사가 복잡하지만 남성의 경우는 정자만 건강하면 되기 .. 2011. 3. 3.
자궁내막증, 재발방지를 위해서는 자궁내막증, 재발방지를 위해서는 자궁내막증의 재발인자 자궁내막증은 보통 월경을 하는 여성의 5-12%에서 나타나는데, 불임 여성에서는 그 빈도가 50%에 이른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자궁내막증 자체가 임신을 방해하는 절대적 인자는 아닐지라도 그 연관성을 생각해보도록 하는 통계수치입니다. 자궁내막이 자궁 밖에서 증식, 탈락하면서 월경통, 성교통, 만성골반통증 등을 유발하는 자궁내막증은 난소에 있는 자궁내막종을 제외하고는 복강경 진단을 통해 확진되기 때문에 많은 '원인불명불임'이 자궁내막증과 관련있을 것이라는 의견들이 있습니다. 자궁내막증은 수술 후에도 재발이 잘 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탈리아의 한 대학에서 자궁내막증 재발과 관련된 인자가 무엇인지에 대한 연구논문을 발표하였습니다. 그 결과 재발된 자궁내막증.. 2011. 2. 22.
비만여성, 시험관시술 결과도 안좋다? 비만여성, 시험관시술 결과도 안좋다? 비만여성의 불임위험, 정상체중보다 3 배나 높아 바쁘게 돌아가는 현대사회는 운동할 시간도 없고, 건강한 식생활도 방해합니다. 이렇게 비만인구는 자꾸 증가해서 24-28세의 영국여성의 비만비율을 조사한 결과 1990년도에는 9.9%가 비만이었는데, 2004년에는 16%로 증가하였고, 2010년에는 22%에 달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비만은 임신을 방해하는 중요한 인자로, 연구에 의하면 비만여성의 불임위험은 정상체중 여성의 3배에 댤한다고 합니다. 증가된 체지방이 호르몬의 균형을 깨뜨리면서 배란을 방해하는 것 이외에도 불임은 착상을 방해하고 유산율을 증가시킴으로써 건강한 임신을 방해하는 것으로 연구보고 되었습니다. 아래는 스페인에서 진행된 비만도에 따른 시험관시술 .. 2011. 2. 14.
자궁내막폴립, 비만여성에게 많다 자궁내막폴립, 비만여성에게 많다! 비만과 불임의 상관성-착상관련 비만과 불임의 관련성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결과들이 있다. 비만여성의 경우 그렇지 않은 여성에 비해 임신에 이르는 기간이 오래 걸린다는 것은 공통된 결과이며 이는 대부분 과잉된 체지방이 내분비계를 교란시켜 난소기능에 영향을 미친다는데 주목하고 있다. 그런데 최근한 논문에서 BMI(체질량지수) 30 이상의 비만여성의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자궁내막폴립 발생률이 현저하게 높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되었다. BMI > 30 BMI < 30 자궁내막폴립환자 비율(%) 52% 15% 여러개의 폴립환자 비율(%) 16% 3.4% 자궁내막폴립은 불임의 절대적인 원인이라 볼 수는 없지만 자궁내막의 수용성, 착상방해 인자로 작용할 수 있다. 에스트로겐 과잉과.. 2011. 2. 14.
불임과 비만의 관련성, 그 객관적 증거들 불임과 비만의 관련성, 그 객관적 증거들 비만을 진단할 때 가장 많이 쓰는 기준이 체질량지수(BMI)로 이는 몸무게를 키의 제곱으로 나눈 수치이다. 서양에서는 BMI 25-29.9 사이를 과체중, 30 이상을 비만, 40 이상을 고도비만으로 정의하지만, 동양의 기준은 조금 달라서 23-24.9 사이를 과체중, 25 이상을 비만, 30 이상을 고도비만으로 보고있다. 뚱뚱하면 불임? 비만은 단지 외모의 문제가 아니라 내분비계를 교란시키면서 배란장애, 불임의 주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여러 논문들을 분석한 그 객관적 증거들을 모아보았다. 월경불순 과체중과 비만여성의 30-47%가 월경불순을 가지고 있고, BMI가 높을수록, 체간비만(중심성 비만)일수록 월경불순과의 관련성이 높다. 불임 비만여성의 불임은 배란.. 2011. 2.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