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노트] 첫 출산 후 두번 계류유산, 한방치료 후 건강한 임신
첫 출산 후 두번 계류유산, 한방치료 후 건강한 임신 30세 여성 임신력: 첫 출산(05년), 2회 계류유산(08년, 09년, 5-6주, 심박동 확인못함) 양방검사: 계류유산 후 태아염색체검사(정상) 월경력: 30일주기, 월경량양호, 월경통약간 기타증상: 신경쓰면 두통, 위경련자주, 계류유산 후 산후풍 유사증상, 계류유산 후 골반염, 방광염 치료경과: 3개월 치료 후 자연임신, 임신 확인 후 안태약 복용, 3.12kg 자연분만 첫 출산을 아무 문제 없이 잘 하고 둘째임신을 하려하는데 자꾸 유산이 반복되어 한의원을 찾는 분들이 종종 계십니다. 이 경우는 염색체이상과 같은 유전적인 문제보다는 모체가 기능적으로 허약한 상태에서 임신이 되었기 때문에 유산을 경험하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첫 임신 때 보다는 아..
2011. 2. 21.
<불임극복 Tip>건강한 체중감량, 작은 실천에서부터
건강한 체중감량, 작은 실천에서부터 임신을 기다리는 여성들에게는 어쩌면 병원의 치료보다 지금, 이 자리에서 내가 할 수 있는 것이 무엇인지를 아는 것이 중요하다. 임신이라는 것은 가장 자연스러운 여성의 생리이며 따라서 '질병'의 관점보다는 '건강'의 관점에서 살펴야하기 때문이다. 음주, 흡연, 음식 등 에 관한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 중 가장 많은 데이터가 축적되어 있고 비교적 일치된 의견을 보이는 주제가 '비만이 임신에 미치는 영향'이다. 살빼는 것, 물론 쉽지않다. 그러나 일단 시작해보기, 실천하기가 중요하다. 1. 거르지말고 규칙적인 식사하기, 대신 한 숟가락 덜어내기 아침은 거르고, 점심은 대충 때우고, 저녁을 푸짐하게 먹는 식사습관을 고수하고는 절대 체중감량은 불가하다. 또한 불규칙하게 ..
2011. 2. 14.
불임과 비만의 관련성, 그 객관적 증거들
불임과 비만의 관련성, 그 객관적 증거들 비만을 진단할 때 가장 많이 쓰는 기준이 체질량지수(BMI)로 이는 몸무게를 키의 제곱으로 나눈 수치이다. 서양에서는 BMI 25-29.9 사이를 과체중, 30 이상을 비만, 40 이상을 고도비만으로 정의하지만, 동양의 기준은 조금 달라서 23-24.9 사이를 과체중, 25 이상을 비만, 30 이상을 고도비만으로 보고있다. 뚱뚱하면 불임? 비만은 단지 외모의 문제가 아니라 내분비계를 교란시키면서 배란장애, 불임의 주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여러 논문들을 분석한 그 객관적 증거들을 모아보았다. 월경불순 과체중과 비만여성의 30-47%가 월경불순을 가지고 있고, BMI가 높을수록, 체간비만(중심성 비만)일수록 월경불순과의 관련성이 높다. 불임 비만여성의 불임은 배란..
2011. 2.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