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불임95

[임상노트] 첫 출산 후 두번 계류유산, 한방치료 후 건강한 임신 첫 출산 후 두번 계류유산, 한방치료 후 건강한 임신 30세 여성 임신력: 첫 출산(05년), 2회 계류유산(08년, 09년, 5-6주, 심박동 확인못함) 양방검사: 계류유산 후 태아염색체검사(정상) 월경력: 30일주기, 월경량양호, 월경통약간 기타증상: 신경쓰면 두통, 위경련자주, 계류유산 후 산후풍 유사증상, 계류유산 후 골반염, 방광염 치료경과: 3개월 치료 후 자연임신, 임신 확인 후 안태약 복용, 3.12kg 자연분만 첫 출산을 아무 문제 없이 잘 하고 둘째임신을 하려하는데 자꾸 유산이 반복되어 한의원을 찾는 분들이 종종 계십니다. 이 경우는 염색체이상과 같은 유전적인 문제보다는 모체가 기능적으로 허약한 상태에서 임신이 되었기 때문에 유산을 경험하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첫 임신 때 보다는 아.. 2011. 2. 21.
<불임극복 Tip>건강한 체중감량, 작은 실천에서부터 건강한 체중감량, 작은 실천에서부터 임신을 기다리는 여성들에게는 어쩌면 병원의 치료보다 지금, 이 자리에서 내가 할 수 있는 것이 무엇인지를 아는 것이 중요하다. 임신이라는 것은 가장 자연스러운 여성의 생리이며 따라서 '질병'의 관점보다는 '건강'의 관점에서 살펴야하기 때문이다. 음주, 흡연, 음식 등 에 관한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 중 가장 많은 데이터가 축적되어 있고 비교적 일치된 의견을 보이는 주제가 '비만이 임신에 미치는 영향'이다. 살빼는 것, 물론 쉽지않다. 그러나 일단 시작해보기, 실천하기가 중요하다. 1. 거르지말고 규칙적인 식사하기, 대신 한 숟가락 덜어내기 아침은 거르고, 점심은 대충 때우고, 저녁을 푸짐하게 먹는 식사습관을 고수하고는 절대 체중감량은 불가하다. 또한 불규칙하게 .. 2011. 2. 14.
비만여성, 시험관시술 결과도 안좋다? 비만여성, 시험관시술 결과도 안좋다? 비만여성의 불임위험, 정상체중보다 3 배나 높아 바쁘게 돌아가는 현대사회는 운동할 시간도 없고, 건강한 식생활도 방해합니다. 이렇게 비만인구는 자꾸 증가해서 24-28세의 영국여성의 비만비율을 조사한 결과 1990년도에는 9.9%가 비만이었는데, 2004년에는 16%로 증가하였고, 2010년에는 22%에 달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비만은 임신을 방해하는 중요한 인자로, 연구에 의하면 비만여성의 불임위험은 정상체중 여성의 3배에 댤한다고 합니다. 증가된 체지방이 호르몬의 균형을 깨뜨리면서 배란을 방해하는 것 이외에도 불임은 착상을 방해하고 유산율을 증가시킴으로써 건강한 임신을 방해하는 것으로 연구보고 되었습니다. 아래는 스페인에서 진행된 비만도에 따른 시험관시술 .. 2011. 2. 14.
자궁내막폴립, 비만여성에게 많다 자궁내막폴립, 비만여성에게 많다! 비만과 불임의 상관성-착상관련 비만과 불임의 관련성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결과들이 있다. 비만여성의 경우 그렇지 않은 여성에 비해 임신에 이르는 기간이 오래 걸린다는 것은 공통된 결과이며 이는 대부분 과잉된 체지방이 내분비계를 교란시켜 난소기능에 영향을 미친다는데 주목하고 있다. 그런데 최근한 논문에서 BMI(체질량지수) 30 이상의 비만여성의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자궁내막폴립 발생률이 현저하게 높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되었다. BMI > 30 BMI < 30 자궁내막폴립환자 비율(%) 52% 15% 여러개의 폴립환자 비율(%) 16% 3.4% 자궁내막폴립은 불임의 절대적인 원인이라 볼 수는 없지만 자궁내막의 수용성, 착상방해 인자로 작용할 수 있다. 에스트로겐 과잉과.. 2011. 2. 14.
불임과 비만의 관련성, 그 객관적 증거들 불임과 비만의 관련성, 그 객관적 증거들 비만을 진단할 때 가장 많이 쓰는 기준이 체질량지수(BMI)로 이는 몸무게를 키의 제곱으로 나눈 수치이다. 서양에서는 BMI 25-29.9 사이를 과체중, 30 이상을 비만, 40 이상을 고도비만으로 정의하지만, 동양의 기준은 조금 달라서 23-24.9 사이를 과체중, 25 이상을 비만, 30 이상을 고도비만으로 보고있다. 뚱뚱하면 불임? 비만은 단지 외모의 문제가 아니라 내분비계를 교란시키면서 배란장애, 불임의 주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여러 논문들을 분석한 그 객관적 증거들을 모아보았다. 월경불순 과체중과 비만여성의 30-47%가 월경불순을 가지고 있고, BMI가 높을수록, 체간비만(중심성 비만)일수록 월경불순과의 관련성이 높다. 불임 비만여성의 불임은 배란.. 2011. 2. 14.
다낭성난소증후군, 임신을 원한다면 다낭성난소증후군, 임신을 원한다면 다낭성난소증후군은 임신이 어렵다? 다낭성난소증후군은 난소에서 여러개의 난포가 자라기는 하지만 성숙난포에 이르지 못하기 때문에 배란이 잘 안되면서 월경이 불규칙해지는 증상을 말합니다. 건강한 임신을 위해서는 정자와 난자가 만나야하고, 그러기 위해서 건강한 성숙난포의 배란은 필수적인 조건이 되지요. 그런데 몇개월에 한번씩 월경을 하거나, 또는 소량출혈이 15-20일만에 한번씩 반복되는 무배란성 월경을 나타내는 다낭성난소증후군이라면 아무래도 임신의 기회가 적어질 수 밖에 없습니다. 배란도 잘 안되고 어쩌다 한번 되는 배란일을 맞추기가 어려우니까요. 그렇지만 월경주기가 비교적 규칙적이거나 40-50일에 한번씩 배란을 동반한 월경을 하는 다낭성난소증후군이라면 자연임신은 비교적 잘.. 2011. 2. 13.
불임을 탈명사화 하라 수업시간만 되면 자리에 엉덩이를 붙이지 못하고 이 친구, 저 친구 건드리는 아이가 있었습니다. 선생님은 이 아이에게 '문제아'라는 이름을 붙였습니다. 그 이후 이 아이가 배가 아프다고 해도 "문제아, 꾀병 아니야?"라는 생각이 들고, 교실에 소란이 생겨도 "저 문제아 때문에..."라는 생각이 제일 먼저 들었습니다. 그 아이에게 '문제아'라는 고정된 명사 대신에 '수업시간에 앉아있기 어려워하는 아이', '친구들과 놀기 좋아하는 아이'라는 표현을 썼더라면 그 아이에게, 그 아이를 바라보는 선생님의 마음에 차이가 있지 않을까요? "당신은 '암'입니다."라는 진단을 받은 사람이 있습니다. 상상할 수도 없는, 하늘이 무너지는 듯한, 앞이 깜깜한 선고입니다. 아마 "이제 나는 죽었구나..."하는 생각이 들지도 모릅.. 2011. 2. 13.
35세 넘으면 임신 6배 어려워, 그렇다면..? '35세 넘으면 임신 6배 어려워' 한 인터넷 포탈 메인뉴스에 올라온 기사제목입니다. http://media.daum.net/digital/view.html?cateid=1013&newsid=20110129100508494&p=yonhap 25세 여성의 95%가 1년 안에 임신하는데 비해 35세 여성의 경우에는 70% 밖에 임신을 하지 못한다는 연구결과를 분석하였습니다. 영국 산부인과학회지인 'Obstetrician and Gynaecologist'에 보고된 이 연구에 의하면 35세 이상에서는 임신확률이 줄어들 뿐 아니라 유산, 조산, 자간전증 등 임신 중 합병증도 증가한다고 합니다. '시험관시술 등의 발달에도 불구하도 IVF의 경우도 44세 이상에서는 성공률이 3%에 불과하다'며 출산을 늦추는 여성들에.. 2011. 2. 6.
직업과 불임과의 상관관계, 그리고 일상에서의 주의사항 직업과 불임과의 상관관계, 그리고 일상에서의 주의사항 불임과 직업과의 상관관계에 대해서는 그동안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왔습니다. 이 연구는 '임신을 위해서는 직업을 바꾸라'는 지침이 아니라, 어떠한 생활환경이 임신에 방해가 되는지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임신을 기다리는 불임부부에게는 중요한 생활 TIp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여성의 경우는 -교대근무 -과도한 근무량 -장시간 근무 하는 직업군에서 임신까지의 기간이 오래 걸리는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3교대근무를 하는 간호사 뿐 아니라 요즘은 밤낮이 바뀐 생활을 하는 직장인들이 매우 많습니다. 예로부터 한의학의 양생법 중 가장 중요한 원칙의 하나가 '해 뜨면 일어나고, 해 지면 자는 것'입니다. 이는 자연의 기운에 순응하는 것이 건강에 매.. 2011. 1.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