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다낭성난소증후군61

다낭성난소증후군, 배란유도 실패 후 자연임신 다낭성난소증후군 배란유도는 필수 아닌 옵션, 자연임신 임상례 원래는 한 달에 한번, 왼쪽 오른쪽 번갈아 가며 한 개의 성숙 난포가 자라고 배란 되면서 규칙적인 월경을 합니다.다낭성난소증후군은 이 난포 성장과 배란 기능에 문제가 생긴 건데요. 난소에서 작은 난포가 여러 개는 자라는데 막상 성숙 난포에는 이르지 못하면서 배란이 잘 안되는 증상이죠. 그러면서 월경도 불규칙하고 임신도 잘 안 되고요. 임신을 기다리는 경우, 가장 먼저 시작하는 치료가 배란유도제인데요. 배란을 도와주는 장점은 있지만, 클로미펜의 항에스트로겐 작용으로 정자의 자궁경부 통과를 방해하거나 자궁내막을 얇게 해 착상을 방해하는 부작용도 있습니다. 게다가 심한 다낭성난소증후군의 경우는 배란유도제를 복용해도 난포가 잘 안 자라는 경우가 종종 .. 2016. 1. 8.
[고령임신, 43세] 둘째난임, 다낭성난소증후군 여성의 임신 고령임신, 둘째난임, 다낭성난소증후군, 자연임신 첫 출산 후 피임을 하지 않고 임신시도를 하는데도 임신이 안되는 둘째난임이 많습니다. 시간이 지날수록 나이는 많아지고, 마음이 조급해지기 쉽습니다. 그럴수록 임신을 위한 '건강한 몸', 기본을 살피는 것이 중요합니다. 첫 출산 후 십 년만에 둘째 임신에 성공한 고령임신 성공사례를 소개합니다. 43세 여성2006년 첫 출산양방검사: 다낭성난소증후군 진단, 자궁근종양방치료: 클로미펜 배란유도 3회월경력: 40~60일 주기, 월경량 많은 편, 월경통 심동반증상: 체중증가, 냉대하, 소변빈삭한방진단: 하복냉, 습담, 신허치료기간: 2개월 치료 후 자연임신 다낭성난소증후군으로 월경이 불규칙해서 클로미펜 배란유도를 했지만, 임신에 실패했습니다. 비만은 증가한 체지방이.. 2015. 9. 13.
[자연임신] 시험관아기 실패 후 자연임신 성공 자연임신 vs. 시험관아기 최근 연달아 두 분이 시험관아기 실패 후 다음 시험관시술을 준비하기 위해 한방치료를 시작하셨다가 자연임신에 성공하여 임상례를 소개합니다. 사례 1 39세 여성난임 기간: 3년 7개월양방진단: 자궁선근증, 자궁내막증(4cm), 좌측 난관폐색, 난소기능저하(난소 나이 42세)양방치료: 인공수정 3회, 시험관시술 2회 실패월경주기: 시험관시술 이후 불규칙(15일, 78일 주기), 월경량 많음, 월경통 매우 심, 덩어리피 많음치료기간: 1개월 치료 후 자연임신 두 번의 시험관시술을 하였지만, 호르몬제에 대한 난소의 반응이 좋지 않아 1~2개의 난자채취밖에 못 하고, 착상에 실패하였습니다.한쪽 나팔관이 막혀있어서 시험관시술이 유리할 수 있지만 선근증, 내막증 등으로 인해 자궁의 착상환경.. 2015. 8. 28.
배란장애 난임, 클로미펜과 한약치료 함께 배란장애 난임, 클로미펜과 한약 병행치료 때 임신율 높아 배란장애로 인한 난임은 전체 난임의 20-40%를 차지할 정도로 흔한 원인입니다. 임신이 되기 위해서는 우선 건강한 난자가 배란되어 정자와 수정을 해야하는데 첫 단추부터 꿰지 못하면서 문제가 생기는 것입니다. 산부인과에서 배란장애 진단을 받기도 하지만, 일단 생리가 불규칙하다면 배란장애를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다낭성난소증후군, 조기난소부전 등도 넓은 의미에서 배란장애에 포함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배란이 잘 안되는 난임에서 일차적으로 흔히 선택하는 치료가 클로미펜이라는 배란유도제를 사용한 배란유도입니다. 월경을 시작하면 3일째부터 5일간 클로미펜을 복용하면서 난포의 성장과 배란을 관찰합니다. 그런데, 이 배란유도제가 배란을 도와주는 효과는 있지만.. 2015. 5. 25.
다낭성난소증후군, 정자이상 부부의 자연임신 심한 다낭성난소증후군으로 월경불순이 심한 여성과 정자의 활동성이 떨어지고 기형정자가 증가한 남성이 함께 치료 후 자연임신에 성공한 임상례입니다. 32세 여성/ 34세 남성난임기간: 3년난임검사: 다낭성난소증후군, 우측나팔관 유착/ 정자활동성저하, 기형정자증가(인공수정 적응증)양방난임치료: 인공수정 2회월경력: 2-3개월주기/ 심하면 1년에 1-2회, 월경량 적은편, 월경통 유치료기간: 여성 3개월 치료, 남성 1개월 치료 후 자연임신, 출산 여성의 경우 다낭성난소증후군으로 배란이 매우 불규칙하고 우측나팔관 유착이 있어서 임신을 시도할 수 있는 기회자체가 적었고, 배우자의 정자상태도 좋지 않아 인공수정을 2회 실시했습니다. 두번째 인공수정에서는 임신이 되었지만, 임신 9주만에 계류유산으로 종결되었습니다. .. 2015. 2. 7.
다낭성난소증후군, 전신 건강 살펴야 하는 이유 생식연령의 여성의 경우 매달 한개의 성숙난포가 자라 배란이 된 후 임신이 되거나 월경을 하는데, 다낭성난소증후군은 난소에서 여러개의 난포가 자라기는 하지만 성숙난포에 이르지 못하면서 배란이 잘 안되는 증상을 말합니다. 배란이 잘 안되니 월경도 불규칙하고, 임신도 쉽지 않습니다. 난임으로 진단받은 여성들 중에 다낭성난소증후군 비율이 높은 이유도 여기에 있습니다. 다낭성난소증후군, 만성질환 위험률 증가 그런데, 다낭성난소증후군이 생식기능 뿐 아니라 전신의 건강과 관련이 있으면서 만성질환의 위험비율이 현저히 증가한다는 연구보고입니다. 에 발표된 다낭성난소증후군 여성의 장기적 건강연구('The potential implications of a PCOS diagnosis on a woman's long-term .. 2015. 2. 2.
[다낭성난소/자궁선근증] 자궁, 난소 순환 도우며 자연임신 성공적인 임신을 위해서는 배란-수정-착상의 단계를 무사히 통과해야하는데 다낭성난소증후군은 배란을 방해하고, 자궁선근증은 착상을 방해하면서 난임의 원인이 됩니다. 어혈을 풀어주면서 자궁, 난소의 순환을 돕는 치료를 통해 여러 난관을 극복하고 자연임신에 성공한 임상례입니다. 32세 여성 난임기간: 1년 양방난임검사: 다낭성난소증후군, 자궁선근증 진단, (좌측난소 자궁내막종 6cm 진단받고 수술로 제거) 월경력: 35-40일주기, 월경량 양호, 월경통 유 기타증상: 월경전 구토, 두통 심. 수족냉, 손발저림, 얼굴에 상열감 치료기간: 2개월 치료 후 자연임신, 임신 9주까지 안태약 복용 초진으로 래원하셨을 당시 난소에 있는 자궁내막종 수술과 이후 호르몬치료를 마친 상태였습니다. 자궁내막이 자궁근층을 침범하여 .. 2014. 11. 13.
[난임극복가이드] 다낭성난소증후군, 배란유도보다 더 중요한 일상의 교정 지난 11월 2일 열린 한방부인과학회 추계학술대회의 주제는 이었습니다. 월경이 불규칙한 여성들의 가장 흔한 진단명이며, 배란장애를 동반하기때문에 임신을 기다리는 난임여성들에게는 반드시 극복해야할 병명이기도 합니다. 다낭성난소증후군의 진단 다낭성난소증후군 진단은 2003년 로테르담 기준을 흔히 따르는데요, 1) 희발월경 (35일 이상주기) 또는 무월경 (90일 이상 무월경), 2) 여드름, 조모증 등 임상적으로 나타나는, 또는 생화학적으로 나타나는 고안드로겐증 , 3) 다낭성난소 (2-9mm 난포 12개 이상). 이 세 가지 중 두가지 이상에 해당될 때 다낭성난소증후군이라고 진단을 합니다. 다낭성난소증후군의 대표적인 증상은 월경불순이지만, 그 정도는 개개인에 따라 매우 다릅니다. 어떤 경우는 1년에 1-2.. 2014. 11. 4.
다낭성난소증후군, 몸의 균형 잡으며 건강한 임신 한의원의 공식임신 보고로는 1046번째이지만, 움여성한의원의 시즌 2, 저의 복귀 이후로 첫 임신 보고입니다.긴밀한 협력 속에 조현주 원장님이 기초치료를 하시고, 저의 마무리 치료로 임신이 되어 더욱 의미있는 케이스입니다. 34세 여성 불임기간: 1년 양방검사: 다낭성난소증후군 진단월경력: 50-55일주기, 월경량 적은편, 월경통 간헐적 동반증상: 수족냉증, 저림, 소화불량, 체중증가 (결혼 후 5-6kg) 치료기간: 2개월 원래는 30-35일주기였던 월경주기가 피임약 복용 이후 불규칙해지면서 50-55일로 늦어졌습니다. 임신을 계획 하면서 산부인과 진료를 받았는데 다낭성난소증후군으로 진단받았습니다. 배란유도보다는 자연임신을 원해 한의원에 래원하셨습니다.소화기능이 안좋은 경우 한의학적으로 습담(濕痰)이라.. 2014. 9.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