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복유산109

습관성유산 예방, 남녀가 함께 준비해야 습관성유산 예방, 남녀가 함께 준비해야 습관성유산, 정신적 육체적 건강을 해쳐 2회, 혹은 3회 이상의 반복되는 자연유산을 '반복유산(recurrent miscarriage)'라고 정의하며, '습관처럼 유산이 된다'는 뜻으로 '습관성유산(habitual miscarriage)'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임신이 되지 않는 것도 걱정이지만, 임신은 잘 되는데 유산이 반복되는 습관성유산의 경우 '유산에 대한 공포', '유산으로 인한 상실감' 등 정신적 충격과 함께 반복되는 유산으로 인하여 육체적 건강에도 악영향을 받게 됩니다. 따라서 습관성유산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임신 전 건강한 몸상태를 준비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합니다. 반복되는 유산은 건강하지 않은 상태에서 임신이 되었을 때 주로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어혈.. 2011. 9. 6.
비만, 수정란 발달 방해하며 불임에 영향 뚱뚱하면 임신이 잘 안된다'는 이제 상식을 넘어 수많은 논문을 통해 증명된 사실입니다. 한의학에서도 아주 오래전 부터 '체비불잉(體肥不孕)'이라하여 비만을 불임의 대표적인 원인의 하나로 간주해왔습니다. 그런데 최근 영국 일간지 에서는 에 발표된 논문을 소개하며 비만의 불임유발기전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Obesity warning issued to women wanting babiesFailed pregnancies can result from fatty ovaries, researchers claim http://www.guardian.co.uk/lifeandstyle/2011/aug/17/obesity-warning-for-women-wanting-babies 연구에 의하면 비만한 여성의 경우 체지방을.. 2011. 8. 29.
[임상노트] 원인불명 반복 계류유산, 균형잡으며 건강한 임신과 출산 원인불명 반복 계류유산, 균형잡으며 건강한 임신과 출산 32세 여성 임신력: 2회 계류유산(7-8주, 심박동 확인 후 계류유산) 양방 습관성유산검사: 염색체검사, 면역학적 검사, 자궁경검사-모두 정상 월경력: 26-28일주기, 월경량 양호, 월경통 별무 기타증상: 하복냉, 수족냉, 질염 자주 치료기간: 3개월 치료 후 자연임신, 임신 9주까지 안태약 복용, 건강한 출산 계류유산은 보통 임신 6주에 태아 심박동이 확인되지 않거나, 뛰었던 심박동인 7-8주 사이에 멈추면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약간의 출혈이 있는 경우도 있지만, 아무 증상이 없이 불현듯 발생하기 때문에 이로인한 충격이 크고, 반복적인 계류유산을 경험한 경우 습관성유산에 대한 불안감도 매우 커지게 됩니다. 첫 유산은 '어쩌다 될 수도 있.. 2011. 8. 29.
[남성불임]기형정자, 자연유산율 높여 [남성불임] 기형정자, 자연유산율 높여 불임검사, 남성의 검사를 먼저 여성의 불임검사가 자궁, 난소, 나팔관, 배란상태를 총체적으로 살펴야한다면, 남성의 불임검사는 '정액검사' 한가지만 간단히 하면 됩니다. 그래서 불임검사를 시작할 때 남성의 정액검사를 먼저 실시하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정액검사 결과로는 정자의 수, 활동성, 정자형태가 주로 분석됩니다. 그런데, 정자의 수나 활동성은 정상이지만 기형정자가 증가되어 있는 경우를 많이 볼 수 있습니다. 정자의 형태는 정자 형성과정의 질을 나타내며, 정자 수정 능력에 대한 예측지수로 사용됩니다. 정상 모양의 정자가 15% 이상이면 정상, 4-14%의 경우 경계선, 4% 미만의 경우 비정상으로 간주합니다. 정상형태의 정자주입술, 유산율 낮아져 에 발표된 논문 '.. 2011. 8. 12.
[임상노트] 계류유산 3회, 태아살해세포 증가 여성의 건강한 임신 계류유산 3회, 태아살해세포 증가 여성의 건강한 임신 31세 여성 임신력: 3회 계류유산(7-8주), 마지막 임신시 면역글로블린 치료했으나 계류유산 양방 습관성유산검사: 태아살해세포 증가(면역학적 이상) 월경력: 28일주기, 월경량 적은편(두번째 계류유산 후 반으로 감소), 월경통 심 기타증상: 편두통 심, 소화불량 치료기간: 4개월 치료 후 자연임신, 임신 10주까지 안태약 복용(면역글로블린, 프로게스테론 병행) 산모-태아 경계면에 많이 나타나는 NK cell이 증가하게 되면 태아와 태반조직을 공격하면서 습관성유산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있습니다. 습관성유산의 면역학적 인자의 하나로 임신 중 면역글로블린 주사로 주로 치료하게 됩니다. 위 여성의 경우는 두번째 계류유산 후 습관성유산검사를 하였고, 면역학.. 2011. 8. 5.
[임상노트] 자궁경부무력증, 3회 유산 후 건강한 임신과 출산 39세 여성 불임기간: 8년 7개월 양방불임검사: 다낭성난소증후군(LH 증가), 자궁경부무력증 양방불임치료: 인공수정 3회, 시험관시술 5회 임신력: 3회 임신(시험관임신, 22-24주 유산-자궁경부 봉축술 했으나 유산) 월경력: 60일주기, 월경량 양호(혹 과소), 월경통 약간, 덩어리 피 많은편 기타: 간기능저하, 질염, 소화불량 치료기간: 4개월간 단계별 한약치료, 시험관시술, 쌍생아 임신, 자궁경부봉축술, 건강한 출산 임신중기 이후 갑작스런 하혈로 유산되는 경우 '자궁경부무력증'으로 진단받는 경우가 많습니다. 자궁경부가 약해져 있어서 자궁의 태아가 아래로 쏟아지면서 유산이 되는 것입니다. 이렇게 중기 이후 자궁경부무력증으로 유산이 되게 되면, 그 다음 임신에서는 '자궁경부봉축술'이라고 하여 자궁경.. 2011. 7. 11.
[유산이야기] 원인불명 습관성유산, 정자기능저하도 관련 전체 임신의 10-20%에서 임신초기 자연유산을 겪게되며, 이중 일부는 유산이 반복되면서 습관성유산으로 진행되기도 합니다. 이전에는 염색체검사 이외에는 습관성유산에 대한 특별한 검사가 없었지만, 최근에는 면역학적 이상에 대한 검사 등이 진행되면서 습관성유산의 원인을 찾으려는 노력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검사상 전혀 이상이 없는 '원인불명', '특발성' 습관성유산으로 진단받고 답답해하는 많은 분들이 계십니다. 불임에 대해서는 이제 '남녀 모두의 책임'으로 인식하기 시작했으나, 습관성유산에 대해서는 아직도 온전히 여성의 문제로 여기는 경향이 있습니다. '일단, 임신은 되었으니까 유지하는 건 여성의 몫이 아닐까요..' 그런데, 임신초기 수정란이 제대로 분할하지 않으면서 임신이 잘 되지.. 2011. 7. 2.
[임상노트] 2회 계류유산 후 건강한 임신과 출산 33세 여성 임신력: 2회 계류유산(5-6주, 심박동 확인 못함) 습관성유산검사: 이상 무 월경력: 35-45일주기, 월경량 양호, 월경통 심, 덩어리피 많음 치료기간: 3개월 치료 후 자연임신, 임신 8주까지 안태약 복용, 건강한 출산 두번의 유산이 모두 태아 심박동을 확인하지 못한 상태로 계류유산이 되었으며, 습관성유산검사에서는 특별한 이상이 없다고 진단받았습니다. 평소 월경통이 심하였고, 35일주기로 조금 늦어지던 주기가 계류유산 후 40-45일주기로 더 늦어졌습니다. 적외선체열검사 상 하복부의 냉증이 심했는데, 이는 월경통의 원인인 동시에 착상을 방해하는 환경으로 작용합니다. 또한 반복된 유산은 임신을 주관하는 신기능을 더욱 허약하게 하면서 월경불순을 심화시켰습니다. 따라서 하복부의 냉증을 풀어주.. 2011. 7. 2.
[임상노트] 첫 출산 후 계류유산 2회 여성의 건강한 임신 첫 출산 후 계류유산 2회 여성의 건강한 임신 34세 여성 임신력: 1회 출산(08년), 2회 계류유산(09년, 10년, 7주) 양방검사: 별무이상 월경력: 28일주기, 월경량 양호, 월경통 약간 기타증상: 소화불량, 설사자주, 하복냉, 수족냉 치료기간: 3개월 치료 후 자연임신, 임신 10주까지 안태약 복용, 건강한 임신유지 결혼 후 첫 출산은 무사히 했는데, 이후 연달아 두번의 계류유산이 반복된 상태로 다음 임신 준비를 위해 래원하셨습니다. 이렇게 출산의 경험이 있는 상태에서 반복되는 계류유산은 대부분 어떤 기질적 이상이 있어서라기보다는 기능적 불균형과 허약함이 주 원인으로 작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위 여성의 경우도 하복부의 냉증으로 자궁의 착상환경이 좋지 않았고, 소화기가 약하면서 건강한 임신의 .. 2011. 6.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