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노트] 원인불명 반복 계류유산, 균형잡으며 건강한 임신과 출산
원인불명 반복 계류유산, 균형잡으며 건강한 임신과 출산 32세 여성 임신력: 2회 계류유산(7-8주, 심박동 확인 후 계류유산) 양방 습관성유산검사: 염색체검사, 면역학적 검사, 자궁경검사-모두 정상 월경력: 26-28일주기, 월경량 양호, 월경통 별무 기타증상: 하복냉, 수족냉, 질염 자주 치료기간: 3개월 치료 후 자연임신, 임신 9주까지 안태약 복용, 건강한 출산 계류유산은 보통 임신 6주에 태아 심박동이 확인되지 않거나, 뛰었던 심박동인 7-8주 사이에 멈추면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약간의 출혈이 있는 경우도 있지만, 아무 증상이 없이 불현듯 발생하기 때문에 이로인한 충격이 크고, 반복적인 계류유산을 경험한 경우 습관성유산에 대한 불안감도 매우 커지게 됩니다. 첫 유산은 '어쩌다 될 수도 있..
2011. 8. 29.
[남성불임]기형정자, 자연유산율 높여
[남성불임] 기형정자, 자연유산율 높여 불임검사, 남성의 검사를 먼저 여성의 불임검사가 자궁, 난소, 나팔관, 배란상태를 총체적으로 살펴야한다면, 남성의 불임검사는 '정액검사' 한가지만 간단히 하면 됩니다. 그래서 불임검사를 시작할 때 남성의 정액검사를 먼저 실시하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정액검사 결과로는 정자의 수, 활동성, 정자형태가 주로 분석됩니다. 그런데, 정자의 수나 활동성은 정상이지만 기형정자가 증가되어 있는 경우를 많이 볼 수 있습니다. 정자의 형태는 정자 형성과정의 질을 나타내며, 정자 수정 능력에 대한 예측지수로 사용됩니다. 정상 모양의 정자가 15% 이상이면 정상, 4-14%의 경우 경계선, 4% 미만의 경우 비정상으로 간주합니다. 정상형태의 정자주입술, 유산율 낮아져 에 발표된 논문 '..
2011. 8. 12.
[임상노트] 자궁경부무력증, 3회 유산 후 건강한 임신과 출산
39세 여성 불임기간: 8년 7개월 양방불임검사: 다낭성난소증후군(LH 증가), 자궁경부무력증 양방불임치료: 인공수정 3회, 시험관시술 5회 임신력: 3회 임신(시험관임신, 22-24주 유산-자궁경부 봉축술 했으나 유산) 월경력: 60일주기, 월경량 양호(혹 과소), 월경통 약간, 덩어리 피 많은편 기타: 간기능저하, 질염, 소화불량 치료기간: 4개월간 단계별 한약치료, 시험관시술, 쌍생아 임신, 자궁경부봉축술, 건강한 출산 임신중기 이후 갑작스런 하혈로 유산되는 경우 '자궁경부무력증'으로 진단받는 경우가 많습니다. 자궁경부가 약해져 있어서 자궁의 태아가 아래로 쏟아지면서 유산이 되는 것입니다. 이렇게 중기 이후 자궁경부무력증으로 유산이 되게 되면, 그 다음 임신에서는 '자궁경부봉축술'이라고 하여 자궁경..
2011. 7. 11.
[임상노트] 첫 출산 후 계류유산 2회 여성의 건강한 임신
첫 출산 후 계류유산 2회 여성의 건강한 임신 34세 여성 임신력: 1회 출산(08년), 2회 계류유산(09년, 10년, 7주) 양방검사: 별무이상 월경력: 28일주기, 월경량 양호, 월경통 약간 기타증상: 소화불량, 설사자주, 하복냉, 수족냉 치료기간: 3개월 치료 후 자연임신, 임신 10주까지 안태약 복용, 건강한 임신유지 결혼 후 첫 출산은 무사히 했는데, 이후 연달아 두번의 계류유산이 반복된 상태로 다음 임신 준비를 위해 래원하셨습니다. 이렇게 출산의 경험이 있는 상태에서 반복되는 계류유산은 대부분 어떤 기질적 이상이 있어서라기보다는 기능적 불균형과 허약함이 주 원인으로 작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위 여성의 경우도 하복부의 냉증으로 자궁의 착상환경이 좋지 않았고, 소화기가 약하면서 건강한 임신의 ..
2011. 6.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