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월경불순45

[임상노트] 배란장애 불임, 배란유도만이 답일까 배란장애 불임, 배란유도만이 답일까 배란장애 불임여성, 배란유도 실패 후 자연임신 '배란장애'라고 진단받는 순간, 이는 임신을 방해하는 견고하고, 절대적인 원인처럼 여겨집니다.임신이 안되는 것은 배란이 안되는 것 때문이고, 따라서 배란만 되면 임신이 가능해질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게 됩니다.그렇게해서 선택하는 것이 '배란유도제' 입니다. 그러나, '배란장애'라는 것은 배란이 안 되는 것이 아니라 좀 더 정확히 말하면 '배란이 잘 안되거나', '배란이 불규칙하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며, 이는 '배란장애'라는 질병에 걸린 것이 아니라 몸이 건강하지 않으면서 규칙적인 배란의 기능에 잠시 문제가 생긴 것이지요. 따라서, 몸의 건강상태를 살피면서 시상하부-뇌하수체-난소 축이 균형을 이루으면서 규칙적인 배란을 할.. 2012. 4. 25.
[임상노트] 42세 여성, 인공수정 3회 실패 후 자연임신 42세 여성, 인공수정 3회 실패 후 자연임신- 고령임신의 자연임신 임상례 42세 여성 임신력: 계류유산 2회(08-09년) 양방불임검사: 자궁내막 얇은편(7mm) 양방불임치료: 배란유도 6회, 과배란 인공수정 3회 기타: 갑상선염, 갑상선종양 월경력: 35-45일주기(혹 60-70일), 월경량 적은편, 월경통 별무 치료기간: 4개월 치료 후 자연임신, 임신 10주까지 안태약 복용 결혼연령이 늦어지면서 고령임신이 늘고 있습니다.여성은 35세가 넘어가면 난소기능이 점차 저하되면서 임신율이 떨어지고, 임신이 되었다고 하더라도 높은 유산율로 건강한 출산의 가능성이 줄어드는 것이 안타까운 사실입니다.또한 나이가 많은 여성의 경우 호르몬의 변동에 예민하게 반응하면서 유산 후에도 회복이 늦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 2012. 4. 1.
[임상노트] 쌍각자궁 여성의 건강한 임신과 출산 쌍각자궁 여성의 건강한 임신과 출산 32세 여성 불임기간: 4년 2개월 양방불임검사: 자궁기형(쌍각자궁), 배란장애 월경력: 25-40일 주기, 월경량 적은편, 월경통 심 기타증상: 냉대하(갈색분비물), 수족냉, 저림 치료기간: 2개월 치료 후 자연임신, 출산 자궁기형은 뮬러관의 발달장애로 나타나는 자궁모양의 선천적 이상을 말하며, 그 모양에 따라 단각자궁, 쌍각자궁, 중격자궁, 중복자궁 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자궁기형은 일반적으로 수정이나 임신과는 큰 관련이 없으며, 유산이나 산과적 합병증과 상관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예를 들면, 심한 쌍각자궁이나 중격자궁 등에서 수정란이 착상하는 자궁의 공간이 좁아져있기 때문에 임신진행에 방해가 되는 것이지요. 자궁기형 자체가 불임의 원인이 되지는 않지만 일반.. 2012. 4. 1.
갑상선기능이상, 건강한 임신 준비하기 갑상선기능이상, 건강한 임신 준비하기 여성에게 빈발하는 갑상선기능이상 갑상선은 목에 위치한 나비모양의 내분비기관입니다. 엄지 손가락 정도의 크기로 평소에는 잘 만져지지 않습니다. 이 곳에서는 갑상선 호르몬을 분비하며, 이는 우리 몸의 대사를 조절하고, 체온 조절의 역할을 합니다. 그런데, 이 호르몬의 조절작용에 이상이 생기면서 갑상선기능항진이나 저하가 나타나는 경우가 많은데 특히 남성에 비해 여성에게 훨씬 많이 나타납니다. 여성의 경우 일단 많이 피곤하고, 붓고, 식욕은 없는데 체중이 증가한다면 단순한 만성피로가 아닌 갑상선기능저하증을 의심해봐야합니다. 또한 몸에 열이 많이 나고, 가슴이 두근거리고, 불안하며, 체중이 감소한다면 갑상선기능항진증의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러한 전신증상 뿐 아니라 갑상선호르몬.. 2012. 3. 14.
[임상노트] 재발된 자궁근종, 월경불순 불임여성의 임신 재발된 자궁근종, 월경불순 불임여성의 임신 37세 여성 불임기간: 1년 4개월 양방불임검사: 자궁근종(2-3cm, 8cm 자궁근종 수술 후 재발) 월경력: 25-40일주기, 월경량 양호, 월경통 유 치료기간: 2개월 치료 후 자연임신 자궁근종은 여성에게 가장 흔한 양성종양 중의 하나로 작은 사이즈의 작은근종은 임신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있습니다. 그러나 위 여성의 경우는 8cm의 큰 자궁근종을 수술로 제거한 병력이 있고, 이후 다시 2-3cm의 자궁근종이 재발된 경우였습니다. 자궁근종의 재발은 하복냉증, 자궁순환장애, 어혈의 정체 등 자궁의 환경개선이 되지 않았을 때 흔히 나타나며, 이러한 환경은 또한 착상을 방해하는 중요한 환경으로 작용합니다. 배란전에는 주로 어혈을 제거하는 치료를 통.. 2011. 12. 23.
다낭성난소증후군의 유형별 임신전략 다낭성난소증후군의 유형별 임신전략 다낭성난소증후군, 난소에서 여러개의 난포가 자라기는 하지만 성숙난포에 이르지 못하면서 배란이 잘 안되는 증상을 말합니다. 임신을 위해서는 난자와 정자가 만나야하고, 그러기 위해서는 건강한 난자를 배출할 수 있는 성숙난포는 필수적이지요. 일단, '다낭성난소증후군'이라는 진단을 받으면 갑자기 큰 병에 걸린 듯 불안해지고, 막막해지고, 병원의 처치만 기다리게 되는데 이것이 단지 '증후군'이라는데 초점을 맞춘다면 의외로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많이 찾을 수 있답니다. 1. 갑작스런 체중증가를 동반한 경우라면 비만이거나 갑자기 체중이 증가한 경우라면 반드시 '체중감량'을 해야합니다. 증가한 체지방은 여성호르몬의 균형을 깨뜨리면서 다낭성난소증후군을 더욱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그렇.. 2011. 12. 11.
[임상노트] 다낭성난소증후군, 둘째불임여성의 자연임신 다낭성난소증후군, 둘째불임여성의 자연임신 36세 여성 임신력: 1회 계류유산 후 첫출산 불임기간: 1년 9개월(둘째 임신시도 후) 양방불임검사: 다낭성난소증후군 진단 양방불임치료: 배란유도 2회(배란유도제에 난포 잘 안자람) 월경력: 40-60일주기, 월경량 많은편, 월경통 별무, 월경시 덩어리피, 월경전 유방통증 심 기타증상: 편두통, 소화불량, 팔저림 치료기간: 1개월 치료 후 자연임신, 임신확인 후 안태약 복용 결혼 후 첫 임신이 계류유산이 되기는 했지만, 이후 첫 출산을 무사히 하셨습니다. 둘째 임신계획을 세웠으나 1년이 넘게 임신이 안되면서 양방의 불임검사를 받았고 다낭성난소증후군으로 진단받았습니다. 2회의 배란유도를 하였으나 배란유도제에 잘 반응하지 않으면서 난포가 자라지 않았고, 먼저 건강한.. 2011. 10. 10.
[임상노트] 2회 계류유산 후 건강한 임신과 출산 33세 여성 임신력: 2회 계류유산(5-6주, 심박동 확인 못함) 습관성유산검사: 이상 무 월경력: 35-45일주기, 월경량 양호, 월경통 심, 덩어리피 많음 치료기간: 3개월 치료 후 자연임신, 임신 8주까지 안태약 복용, 건강한 출산 두번의 유산이 모두 태아 심박동을 확인하지 못한 상태로 계류유산이 되었으며, 습관성유산검사에서는 특별한 이상이 없다고 진단받았습니다. 평소 월경통이 심하였고, 35일주기로 조금 늦어지던 주기가 계류유산 후 40-45일주기로 더 늦어졌습니다. 적외선체열검사 상 하복부의 냉증이 심했는데, 이는 월경통의 원인인 동시에 착상을 방해하는 환경으로 작용합니다. 또한 반복된 유산은 임신을 주관하는 신기능을 더욱 허약하게 하면서 월경불순을 심화시켰습니다. 따라서 하복부의 냉증을 풀어주.. 2011. 7. 2.
[뉴스에세이] 월경불순이면 허걱, 뇌하수체 종양 가능성? 월경불순이면 허걱, 뇌하수체 종양 가능성? '임신 아닌데 생리 끊기면 뇌하수체 종양 가능성도' 오늘 아침 포탈메인에서 기사 제목을 보고 깜짝놀라 클릭을 해봤습니다. http://media.daum.net/culture/view.html?cateid=1067&newsid=20110530071307525&p=joongang 기사를 찬찬히 읽어보니 뭐 틀린말은 없습니다. 제목도 라고 썼으니 틀린건 아닙니다. 자극적인 기사제목으로 포탈메인을 장식했으니 목적은 달성한 것이고, 많은 사람들이 기사를 읽게되어 '월경불순'에 대해 좀 더 많은 정보를 얻게 되었다면 다행이긴한데.. 그렇더라도 '뇌하수체 종양'이라는 말에 월경이 불규칙한 여성들, 얼마나 놀랐을까요. 기사 맨 마지막에 딱 한번 월경불순을 유발하는 '뇌하수체.. 2011. 6.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