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노트] 배란장애 불임, 배란유도만이 답일까
배란장애 불임, 배란유도만이 답일까 배란장애 불임여성, 배란유도 실패 후 자연임신 '배란장애'라고 진단받는 순간, 이는 임신을 방해하는 견고하고, 절대적인 원인처럼 여겨집니다.임신이 안되는 것은 배란이 안되는 것 때문이고, 따라서 배란만 되면 임신이 가능해질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게 됩니다.그렇게해서 선택하는 것이 '배란유도제' 입니다. 그러나, '배란장애'라는 것은 배란이 안 되는 것이 아니라 좀 더 정확히 말하면 '배란이 잘 안되거나', '배란이 불규칙하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며, 이는 '배란장애'라는 질병에 걸린 것이 아니라 몸이 건강하지 않으면서 규칙적인 배란의 기능에 잠시 문제가 생긴 것이지요. 따라서, 몸의 건강상태를 살피면서 시상하부-뇌하수체-난소 축이 균형을 이루으면서 규칙적인 배란을 할..
2012. 4. 25.
[임상노트] 쌍각자궁 여성의 건강한 임신과 출산
쌍각자궁 여성의 건강한 임신과 출산 32세 여성 불임기간: 4년 2개월 양방불임검사: 자궁기형(쌍각자궁), 배란장애 월경력: 25-40일 주기, 월경량 적은편, 월경통 심 기타증상: 냉대하(갈색분비물), 수족냉, 저림 치료기간: 2개월 치료 후 자연임신, 출산 자궁기형은 뮬러관의 발달장애로 나타나는 자궁모양의 선천적 이상을 말하며, 그 모양에 따라 단각자궁, 쌍각자궁, 중격자궁, 중복자궁 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자궁기형은 일반적으로 수정이나 임신과는 큰 관련이 없으며, 유산이나 산과적 합병증과 상관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예를 들면, 심한 쌍각자궁이나 중격자궁 등에서 수정란이 착상하는 자궁의 공간이 좁아져있기 때문에 임신진행에 방해가 되는 것이지요. 자궁기형 자체가 불임의 원인이 되지는 않지만 일반..
2012. 4. 1.
갑상선기능이상, 건강한 임신 준비하기
갑상선기능이상, 건강한 임신 준비하기 여성에게 빈발하는 갑상선기능이상 갑상선은 목에 위치한 나비모양의 내분비기관입니다. 엄지 손가락 정도의 크기로 평소에는 잘 만져지지 않습니다. 이 곳에서는 갑상선 호르몬을 분비하며, 이는 우리 몸의 대사를 조절하고, 체온 조절의 역할을 합니다. 그런데, 이 호르몬의 조절작용에 이상이 생기면서 갑상선기능항진이나 저하가 나타나는 경우가 많은데 특히 남성에 비해 여성에게 훨씬 많이 나타납니다. 여성의 경우 일단 많이 피곤하고, 붓고, 식욕은 없는데 체중이 증가한다면 단순한 만성피로가 아닌 갑상선기능저하증을 의심해봐야합니다. 또한 몸에 열이 많이 나고, 가슴이 두근거리고, 불안하며, 체중이 감소한다면 갑상선기능항진증의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러한 전신증상 뿐 아니라 갑상선호르몬..
2012. 3. 14.
[임상노트] 다낭성난소증후군, 둘째불임여성의 자연임신
다낭성난소증후군, 둘째불임여성의 자연임신 36세 여성 임신력: 1회 계류유산 후 첫출산 불임기간: 1년 9개월(둘째 임신시도 후) 양방불임검사: 다낭성난소증후군 진단 양방불임치료: 배란유도 2회(배란유도제에 난포 잘 안자람) 월경력: 40-60일주기, 월경량 많은편, 월경통 별무, 월경시 덩어리피, 월경전 유방통증 심 기타증상: 편두통, 소화불량, 팔저림 치료기간: 1개월 치료 후 자연임신, 임신확인 후 안태약 복용 결혼 후 첫 임신이 계류유산이 되기는 했지만, 이후 첫 출산을 무사히 하셨습니다. 둘째 임신계획을 세웠으나 1년이 넘게 임신이 안되면서 양방의 불임검사를 받았고 다낭성난소증후군으로 진단받았습니다. 2회의 배란유도를 하였으나 배란유도제에 잘 반응하지 않으면서 난포가 자라지 않았고, 먼저 건강한..
2011. 10.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