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임신118 [임상노트] 다낭성난소증후군, 둘째불임여성의 자연임신 다낭성난소증후군, 둘째불임여성의 자연임신 36세 여성 임신력: 1회 계류유산 후 첫출산 불임기간: 1년 9개월(둘째 임신시도 후) 양방불임검사: 다낭성난소증후군 진단 양방불임치료: 배란유도 2회(배란유도제에 난포 잘 안자람) 월경력: 40-60일주기, 월경량 많은편, 월경통 별무, 월경시 덩어리피, 월경전 유방통증 심 기타증상: 편두통, 소화불량, 팔저림 치료기간: 1개월 치료 후 자연임신, 임신확인 후 안태약 복용 결혼 후 첫 임신이 계류유산이 되기는 했지만, 이후 첫 출산을 무사히 하셨습니다. 둘째 임신계획을 세웠으나 1년이 넘게 임신이 안되면서 양방의 불임검사를 받았고 다낭성난소증후군으로 진단받았습니다. 2회의 배란유도를 하였으나 배란유도제에 잘 반응하지 않으면서 난포가 자라지 않았고, 먼저 건강한.. 2011. 10. 10. [임상노트] 다낭성난소증후군, 배란유도 6회 실패 후 자연임신 다낭성난소증후군, 배란유도 6회 실패 후 자연임신 32세 여성 불임기간: 1년 3개월 양방불임검사: 다낭성난소증후군 진단, 자궁내막 얇음 양방불임치료: 배란유도 6회 월경주기: 35-45일주기, 월경량 감소(배란유도 후), 월경통 약간 치료기간: 1개월 치료 후 자연임신 월경이 불규칙한 여성들이 흔히 듣는 진단명으로 '다낭성난소증후군'이 있습니다. 그러나 이는 '다낭성난소증후군'이라는 병에 걸린 것이 아니라 '난소에서 난포가 여러개 자라면서 배란이 잘 되지 않는 증후군'을 말합니다. 그렇기때문에 진단명에 너무 겁먹지 마시고 왜 배란이 잘 되지 않을까, 내 몸의 어떤 균형이 깨어졌을까..에서부터 그 실마리를 풀어가는 것이 필요합니다. 또한 같은 '다낭성난소증후군' 이라 하더라도 증상은 천차만별입니다. 일년.. 2011. 9. 29. [임상노트] 시험관 실패 후 건강한 자연임신 시험관 실패 후 건강한 자연임신 29세 여성 불임기간: 3년 5개월 양방불임검사: 난소낭종 간헐적 양방불임치료: 배란유도 수회, 과배란 인공수정 1회, 시험관시술 1회 월경력: 30일, 월경량 많은편, 월경통 유 기타증상: 냉대하, 수족냉, 하복냉, 불면, 월경시 두통 치료기간: 4개월 치료 후 자연임신, 임신 10 주까지 안태약 복용 가끔씩 난소에 물혹이 생기기는 했지만, 양방불임검사 상 특별한 이상이 없이 3년 넘게 임신이 잘 되지 않았습니다. 여러번의 클로미펜 배란유도, 과배란 인공수정을 거쳐 시험관시술을 했지만 임신에 이르지 못하였습니다. 남아있는 냉동란을 이식하기 전, 건강한 몸 만들기를 위해 한의원에 래원하였습니다. 시험관 시술 이후 몸과 마음이 많이 지쳐있는 상태에서 두통, 불면 등을 호소하.. 2011. 9. 6. [임상노트] 자궁외임신, 한쪽난관절제 후 건강한 자연임신 자궁외임신, 한쪽난관절제 후 건강한 자연임신 34세 여성 임신력: 자궁외임신 1회(좌측난관절제) 양방불임검사: 우측난관양호, 좌측난관절제, 정자수 부족, 활동성저하(20%) 양방불임치료: 배란유도 2회, 인공수정 1회 월경력: 30-45일주기, 월경량감소, 월경통약간 기타증상: 자궁외임신 수술 후 7kg 증가, 불면 치료기간: 3개월 치료 후 자연임신, 임신확인 후 안태약 복용, 출산 자궁외임신은 수정란이 자궁외에 착상되는 임신으로 95% 정도는 나팔관에 위치하게 됩니다. 초기에는 약물치료 등으로 나팔관을 보존할 수 있지만, 진행된 자궁외임신이나 파열된 경우에는 난관을 절제하는 수술을 해야합니다. 자궁외임신의 원인은 나팔관의 소통상태가 좋지 못한것과 관련이 있습니다. 크기가 작은 정자와 난자는 통과하였지.. 2011. 8. 22. [임상노트] 다낭성난소증후군, 배란유도 실패 후 자연임신, 출산 33세 여성 불임기간: 1년 5개월 양방불임검사: 다낭성난소증후군 진단 양방불임치료: 배란유도 2회 월경력: 40-50일주기, 혹 불규칙한 소량출혈 반복 치료기간: 4개월 치료 후 자연임신, 임신확인 후 안태약 복용, 출산 난소에서 여러개의 난포가 자라지만 성숙난포에 이르지 못하면서 배란이 잘 안되는 '다낭성난소증후군'은 월경불순과 불임을 일으키는 주 원인중 하나입니다. 다낭성난소증후군이라고 하더라도 40-50일만에 한번씩 나름 규칙적인 월경을 하는 가벼운 경우부터, 수개월에 한번씩 월경을 하는 경우까지 월경불순의 정도는 천차만별입니다. 그런데, 가벼운 다낭성난소증후군이라고 하더라도 몸이 피곤해지거나, 스트레스를 심하게 받거나, 환경이 변하게 되면 남들보다 월경의 이상이 쉽게 옵니다. 특히, 불규칙한 소.. 2011. 7. 2. [임상노트] 재발된 자궁내막증 불임여성의 자연임신 35세 여성 불임기간: 2년 2개월 양방불임검사: 좌측난소 자궁내막증(2.5cm, 1년전 자궁내막증 수술 했으나 재발) 양방불임치료: 배란유도 2회 월경력: 26-28일주기, 월경량 많은편, 월경통 심(다리까지 당기는 통증), 월경시 혈괴 많음 기타: 수족냉, 손발저림 치료기간: 2개월 치료 후 자연임신 자궁내막증을 진단받고 수술을 하였으나 다시 자궁내막증이 재발된 경우입니다. 이처럼 자궁내막증은 재발이 잘 되는 편인데, 이는 자궁내막증을 유발한 환경적 요인이 개선되지 않아서입니다. 한의학적으로 하복부의 순환장애, 냉증, 어혈의 정체는 자궁내막증을 유발하는 인자로 작용하며, 동시에 하복냉증, 월경통, 월경시 덩어리피 증가 등은 원인불명 월경통 중 '어혈성 월경통'의 대표적인 증상이기도 합니다.자궁내막증의.. 2011. 7. 2. [임상노트] 원인불명불임, 인공수정 2회, 시험관 1회 실패 후 자연임신 원인불명불임, 인공수정 2회, 시험관 1회 실패 후 자연임신 32세 여성 불임기간: 4년 8개월 양방불임검사: 이상 무(원인불명불임 진단) 양방불임치료: 배란유도 2회, 과배란 인공수정 2회, 시험관시술 1회 월경력: 30일주기, 월경량 적은편, 월경통 약간 기타증상: 하복냉, 수족냉증 심 치료기간: 1개월 치료 후 자연임신, 임신확인 후 안태약 복용 '원인불명불임' 가장 답답하고 난처한 진단입니다. 원인이 있다면 치료라도 할텐데, 특별한 원인이 없는데도 계속해서 임신이 안되니 답답할 뿐입니다. 위 환자분의 경우 원인은 '불명'이지만 임신이 안되면서 여러번의 배란유도, 인공수정, 결국 시험관시술까지 했지만 임신에 성공하지 못하셨습니다. 인공수정과 시험관시술에서 초기 임신수치가 약간 나왔다가 월경으로 끝난.. 2011. 6. 14. 인공수정, 다음은 꼭 시험관? 인공수정, 다음은 꼭 시험관? 인공수정(IUI)은 정액을 원심분리 후 가장 좋은 정자를 골라 자궁경부 가까이 깊숙히 넣어주는 시술을 말합니다. 보통은 성공률을 높이기 위하여 여러개의 난자를 키우는 과배란을 병행하게 됩니다. 시험관시술이 정자와 난자를 체외에서 수정시켜 수정란을 넣어주는 방식이라면, 인공수정은 수정은 스스로 해야한다는 차이가 있습니다. 따라서 수정이 일어나는 장소인 나팔관 중 적어도 한 쪽의 상태는 양호해야한다는 전제조건이 있습니다. 엄밀한 의미에서는 배란이 잘 안되거나, 정자의 수나 활동성이 저하되거나, 점액불량 등으로 자궁경부를 통과하는 정자의 운동이 방해를 받는 상황이 인공수정의 적응증이라 볼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검사상 전혀 이상이 없는 '원인불명 불임'에서도 흔히 시술되고 있습.. 2011. 5. 6. [임상노트] 인공수정 3회 실패 후 7년만의 자연임신 인공수정 3회 실패 후 7년만의 자연임신 36세 여성 불임기간: 7년 양방불임검사: 난소낭종(작은 사이즈), 정자활동성저하(자연임신은 가능한 정도) 양방불임치료: 배란유도 2회, 인공수정 3회 월경력: 28일주기, 월경량 양호, 월경통 약간 기타: 난소낭종파열(수술), 하복냉 치료경과: 10년 7월 3일 초진으로 래원, 2개월간 한약, 침, 뜸 치료 8월 1일 월경을 마지막으로 8월 30일 임신확인, 건강한 임신유지를 위하여 안태약 처방 양방적으로 특별한 이상이 없는데 임신이 잘 안되면서 여러번의 인공수정을 하였지만 임신에 이르지 못하였습니다. 이전에 난소낭종이 파열되어 수술한 과거력이 있었고, 작은 사이즈의 난소낭종이 있는 상태였습니다. 한의학적으로 반복되는 난소낭종은 습담이라는 노폐물의 정체와 하복부.. 2011. 5. 6. 이전 1 ··· 10 11 12 13 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