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에세이

갱년기? 완경 이행기? 나는 어디쯤 있을까

by 움이야기 2020. 3. 2.

생식기-완경(폐경) 이행기-완경 후기: 생식 노화의 단계(by 2011 STRAW +10)

'이제 나도 갱년기인가?'
40대 후반이 되고, 꼬박꼬박하던 월경이 불규칙해지기 시작하고, 살짝 얼굴에 열이 오르는 것도 같고 유독 피곤하고...
여기저기서 들은 정보를 종합하면 갱년기 같기도 한데 글쎄요.
처음 겪는 일이니 잘 모를 수밖에 없습니다. 게다가 소위 '갱년기 증상'은 인종마다, 개인마다 나타나는 증상과 겪는 정도가 달라서 증상만으로는 현재 내 위치가 어딘지 딱 알 수 없지요. 이러한 불확실성이 불안감을 더 높이기도 하고요

1981년 Treloar는 중년 여성들의 월경주기와 양상을 12년간 관찰하여 '완경 이행기(menopausal transition)'라는 개념을 확립하였습니다.
1990년대에는 여러 집단에서 여성의 생식기능 노화가 어떤 양상으로 나타나는지, 월경의 변화와 검사 지표를 규정하는 연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 2001년 'the Stage of Reproductive Aging Workshop (STRAW)'에서 '7단계 생식 노화 단계'를 발표하였습니다.

이후 전 세계적으로 보다 다양한 집단을 대상으로 한 연구를 진행하였고 여러 내분비 검사 결과에 대한 데이터를 모아 2011년 워싱턴 DC에서 '생식 노화의 단계 규정이라는 아직 끝나지 않은 주제를 풀어내는(Adressing the Unfinished Agenda of Staging Reproductive Aging)' STRAW + 10 워크샵을 개최하였습니다. 여기서 합의된 연구 결과를 지금까지 여성 생식 노화 단계의 기준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STRAW +10은 생식 기능을 중심으로 하여 여성의 생애 주기를 생식기(Reproductive), 완경 이행기(Menopausal Transition), 완경 후기(Postmenopause)로 나누고 각 단계를 좀 더 세분화하였습니다.


The Stages of Reproductive Aging Workshop + 10 staging system for reproductive aging in women
Harlow. STRAW + 10: staging reproductive aging. Fertil Steril 2012.



최종월경주기(FMP: final menopausal period)는 이후 일 년간 무월경 상태를 유지했을 때 가장 마지막 월경을 말하고요. 이를 기준(0)으로 생식 기능의 노화 단계를 월경의 변화를 중심으로 -5에서 +2까지 구분하였습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나이가 아니라 월경의 변화고요. FSH, AMH, Inhibin B 등의 내분비 변화나 동난포 수는 보조적 기준일 뿐입니다.

초경을 시작하고 불규칙하던 월경이 규칙적으로 자리를 잡으며 생식기의 피크(-4)를 지나게 됩니다.
생식기 후기의 전반부(-3b)만 하더라도 AMH 수치는 낮고 동난포 수는 적지만 비교적 규칙적인 월경을 하는데요.
월경주기에 약간씩 변화가 생긴다면, 특히 월경주기가 이전보다 짧아졌다면 생식기 후기의 후반부(-3a)에 와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때는 FSH가 높아지기도 하고, AMH, Inhibin B는 낮으며 동난포 수도 적습니다.

연속된 월경주기가 7일 이상 차이 날 정도로 불규칙함이 심해졌다면 이제 소위 '갱년기'라고 하는 완경이행기(menopausal transition)에 접어들었다고 봐도 됩니다(-2).
왔다 갔다 하던 월경주기가 점차 길어져서 60일 이상이 되면 완경이행기의 후기(-1)라고 볼 수 있고요. 아마 1-3년 이내에 완경을 맞을 것입니다.
이 시기 FSH는 25IU/L 이상으로 상승되어 있고, 낮은 AMH와 Inhibin B,  적은 동난포 수를 보이며, 상열감이나 홍조 등 혈관운동 증상이 나타나곤 합니다.

드문드문하던 월경이 일 년째 없다면 이제 '완경(menopause)'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부터 일 년 더, 즉 최종월경주기(FMP) 후 2년까지 FSH는 계속 상승하고 에스트라디올은 계속 하강하면서 호르몬 변화가 진행되기 때문에 혈관운동 증상은 가장 심하게 나타납니다(+1a, +1b). 이후에는 호르몬 변화 없이 비교적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합니다.




5-8년의 완경후기 전반기(+1a, +1b, +1c)를 지나면 나머지 생애를 완경후기 후반기(+2)로 보내게 되는데요.
이 시기에는 비뇨생식기의 위축 증상이 증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