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440

소화불량, 구토, 두통을 동반한 월경통 치료 [임상례] 소화기 증상을 동반한 심한 월경통 한방 치료 월경통(생리통)으로는 복통, 골반통, 요통 등이 가장 흔하지만, 유독 소화기 증상을 심하게 호소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월경 중 소화가 안 되고 꽉 막힌 느낌, 메스껍고 토하기도 하며 두통을 자주 동반합니다. 심한 경우에는 아무것도 못 먹다가 갑자기 정신을 잃고 쓰러지는 경우도 있는데요. 이런 경우에는 한방 월경통 치료에서도 좀 더 세심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한의학에서 월경통을 유발하는 주원인은 '기체혈어(氣滯血瘀)'입니다. 기운이 소통되지 않고 비정상적 혈액, 즉 어혈이 정체되어 '통(通)'하지 않기 때문에 '통(痛)증'이 생깁니다. 따라서 기운을 잘 소통시키고 골반강내 혈액순환을 돕는 방법으로 심한 월경통을 치료합니다. 하지만 소화 기능이 좋지 않.. 2020. 10. 14.
갱년기 호르몬 치료, 뇌졸중(중풍) 위험 높여 갱년기 호르몬 치료, 심장병 예방 효과 없고 뇌졸중과 정맥혈전증 위험 증가 이십 년 전만 해도 갱년기/완경 후 호르몬제 복용은 흔한 일이었습니다. 여성호르몬이 감소하고 이런저런 불편한 증상들이 생기니 부족한 호르몬만 채워주면 다시 이전으로 돌아갈 수 있으리라는 기대와 함께 '젊음을 지키는 마법의 묘약'으로 권장되었지요. 하지만 '호르몬제 복용이 득보다 실이 크다'는 2002년 미국 국립보건원의 대규모 임상연구 결과 발표 후 완경 후 호르몬을 복용하는 여성은 절반으로 줄었습니다. 자궁내막암과 유방암 발생 위험이 높은 것이야 이전부터 알고 있었던 사실이지만, 심장병 예방 효과가 있다는 주장이 반박되었기 때문이죠. https://wombstory.tistory.com/749 건강한 갱년기, 호르몬제가 만능은 .. 2020. 10. 8.
움여성한의원 웹매거진 No.91 가을호 움여성한의원에서 발행하는 아흔한 번째 웹매거진 가 나왔습니다. 다양한 임신 정보와 읽을거리, 여성 건강에 관한 이야기들을 소개합니다. https://online.pubhtml5.com/mfij/mmwm/ 움이야기 91호 움이야기 91호 online.pubhtml5.com 2020. 10. 2.
착상기 성관계, 임신을 방해하나 착상기 성관계와 임신율 연구 논문 임신을 계획한다면 임신이 가능한 시기, 즉 '생식의 창(fertile window)'에 성관계를 하는 것이 필수 조건입니다. 정자와 난자가 만나야 임신이 성립되니까요. 보통 배란 전 5일과 배란 당일을 합친 6일간을 '생물학적 생식의 창'이라고 하는데요. 배란점액, 기초체온표, 배란테스트기 등을 사용해 좀 더 정확하게 가임 시기를 알 수 있습니다. https://wombstory.tistory.com/745 자궁경부점액(배란점액), 배란기 계산에 효과적 1990년대 중반에 배란기 예측과 관련해 대규모 연구가 진행되었습니다. 여성들이 스스로 측정한 자궁경부점액(배란점액)을 기초체온이나 초음파로 확인한 배란기, 호르몬 수치와 비교하여 얼마 wombstory.tistory.c.. 2020. 9. 23.
산화 스트레스 높으면 난소 노화 빨라 난소예비력 AMH와 산화 스트레스 표지자 F2-isoprostanes 관련성 연구 '난소 나이'와 관련 있는 AMH 호르몬 검사가 광범위하게 실시되면서 '난소기능 저하' 진단을 받는 여성들이 많습니다. 난임 치료를 위해 래원한 여성들에서 흔하지만 비혼 여성들도 이 문제로 종종 진료실을 찾습니다. 당장 임신 계획은 없지만 최대한 난소기능을 보존하여 원하는 시기에 임신을 선택하고, 너무 이른 완경을 방지하여 건강을 지키기 위해서죠. 항뮬러관호르몬 AMH는 사용 가능한 난포의 풀(pool)을 수치로 표시하는 난소 예비력(ovarian reserve) 지표입니다. 가지고 태어난 난포가 배란 또는 사멸로 점점 줄다가 고갈되면 완경에 이르는데요. 대략적인 완경 예상 연령을 추정할 수 있고, 과배란 시 난소의 반응을.. 2020. 9. 18.
[남성난임] 비스페놀 A 노출되면 대대로 정자 약해져 남성난임, 환경호르몬 BPA 노출되면 당사자뿐 아니라 후손의 정자 약화, 생식력 저하 유독 긴 장마와 지구촌 곳곳의 이상 기온, 자연재해 소식을 들으며 기후 위기의 심각성을 느낍니다. 환경을 지키는 일이 생명을 지키는 일이라는 걸 알면서도 코로나 시대에 일회용품 사용은 자꾸 늘어가네요. 플라스틱을 부드럽고 투명하게 만들기 위해 들어가는 첨가제로 인해 발생하는 비스페놀 A(BPA)는 대표적인 '환경호르몬'으로 우리 몸에 들어와 호르몬 등 내분비계를 교란시키는 작용을 합니다. 뜨거운 음식을 폴리카보네이트(PC)류의 플라스틱에 담아 먹거나 영수증 코팅지를 만졌을 때 피부를 통해서도 흡수되는데요. 세계 각국 연구에서 90% 이상의 인구에서 검출되었다고 하니 피할 수 없는 물질입니다. 얼마나 적게 노출되느냐가 관.. 2020. 9. 11.
35세 이상 난임 여성, 일 년 내 자연임신 가능성은? 원인불명 난임, 일 년 내 21.9% 자연임신 생식연령 커플 열 쌍 중 서너 쌍은 난임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결혼이 늦고 임신을 미루면서 특히 '나이'가 문제가 되는 경우가 많은데요. 임신을 시도한 지 얼마 되지 않았고 난임 검사상 특별한 이상이 없는 '원인불명 난임'에서도 시험관 시술을 서두르는 경우가 늘고 있습니다. 그런데, 고령임신에서 시험관 시술만이 답일까요. 이러한 문제 제기에 답하기 위해 여러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데요. 최근 '35세 이상 난임 여성의 자연임신율'을 살핀 대규모 연구 결과가 발표되어 소개합니다. 일 년 이상 임신이 되지 않고 난임 검사를 마친 35세 이상 난임 여성 4,379명의 6개월, 12개월 누적 자연임신율을 분석한 결과입니다. 진행 임신 또는 생존아 출산으로 이어.. 2020. 9. 7.
이른 완경, 특히 난소적출 시 심장병 위험 뚜렷이 증가 난소 적출로 완경(폐경), 자연 완경보다 심장병 발생 위험 20% 증가 완경 후에는 다양한 증상이 나타나지만 가장 주의해야 할 것은 '심혈관계 질환'입니다. 심근경색, 협심증 등 심장 질환이나 뇌졸중(뇌경색, 뇌출혈)은 생명을 위협하며 후유증도 심하니까요. 특히, 심혈관계 질환은 완경 후 발생 위험이 커지는데요. 심장 보호 작용이 있는 에스트로겐 감소와 관련 있습니다. 마지막 월경 후 12개월이 경과하면 완경(natural menopause)으로 정의합니다. 인종과 영양, 환경 등 개인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대략 50세 경에 완경을 합니다. 한편, 외과적 수술, 즉 난소 적출로 완경이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surgical menopause). 완경 연령이 빠를수록 심장병뿐 아니라 모든 원인에 의한 사망율.. 2020. 9. 5.
보조생식술 돕는 인공지능 시험관시술, 배란유도 과정과 수정란 선택에 인공지능 우수한 효과 최근 생식의학 학술지 에 '체외수정에서 인간 대 기계: 인공지능은 의사를 대신할 수 있을까?(Man versus machine in IVF - can artificial intelligence replace physicians?)'라는 글이 실렸습니다. 생식의학에서 임신 예측을 위해 컴퓨터 프로그램을 사용하기 시작한 건 20년이 넘었다고 합니다. 이제는 데이터를 단순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학습하여 추론하고 결론을 내리는 '딥 러닝(deep learning)' 기술을 갖춘 인공지능이 개발되어 응용되고 있는데요. 과연 인공지능이 보조생식술 성공률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을까요? 저자는 관련 연구의 최신 논문을 근거로 인공지능의 긍정적 역.. 2020. 8.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