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노트] 2회 계류유산 후 불임여성의 건강한 임신
[계류유산 후 불임]2회 계류유산 후 불임여성의 건강한 임신 41세 여성 임신력: 2회 계류유산(임신 8주), 이후 2년간 임신안됨 양방검사: 자궁근종, 자궁내막증, 한쪽난관불량, 기형정자증가, 습관성유산검사 정상 양방치료: 배란유도 1회, 인공수정 2회 월경력: 33-35일주기, 월경량 많은편, 월경통 심, 덩어리피 많음 치료기간: 4개월 치료 후 임신, 임신 13주까지 안태약 복용 반복된 계류유산 후에 막상 임신을 하려는데 임신이 잘 안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는 가뜩이나 몸이 안좋아 계류유산이 되었는데, 유산 후 몸이 잘 회복되지 않으면서, 특히 임신을 주관하는 신기능이 계류유산 후 더 약해지면서 임신기능에 방해를 받게 되는 것입니다. 이 환자분의 경우도 두번째 계류유산 후 2년동안 임신이 안되면서..
2011. 4. 8.
[임상노트]계류유산 2회, 스트레스로 인한 간기울결 여성의 건강한 임신
계류유산 2회, 스트레스로 인한 간기울결 여성의 건강한 임신 36세 여성 임신력: 계류유산 2회(5주에 태낭만 확인, 7주에 심박동 확인 후 계류유산) 양방검사: 별무이상 월경력: 31-35일주기, 월경량 양호, 월경통 약간 기타증상: 소화불량, 두통, 불면, 가슴답답, 간기능저하 치료기간: 3개월 치료 후 임신, 임신 12주까지 안태약 복용(아스피린, 프로게스테론 병행) 계류유산은 보통 임신 6주에 확인되어야할 태아 심박동이 확인되지 않고 태낭만 보이는 경우, 또는 6주에 심박동이 보였다가 7-8주에 멈추면서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두번의 계류유산 후에 면역학적 검사 등 습관성유산 검사를 하는 경우도 있지만, 한번 더 지켜보자고 검사를 보류하는 경우도 많이 있습니다. 위 여성의 경우는 따로 습관성유..
2011. 3. 23.
[임상노트] 다낭성난소증후군, 결혼 전후 치료로 자연임신
다낭성난소증후군, 결혼 전후 치료로 자연임신 30세 여성 양방검사: 다낭성난소증후군 진단(호르몬, 초음파), 자궁근종(작은 사이즈) 월경력: 월경주기 2-3회/년, 월경량 양호, 월경통 심(진통제 복용) 치료기간: 결혼 전 월경불순치료, 결혼 후 임신돕는 치료 2개월 후 자연임신 초경부터 월경을 일년에 2-3회 하는 월경불순 여성으로 산부인과 검사 상 LH가 많이 상승되어 있는 다낭성난소증후군으로 진단받았습니다. 6년 전에 오셔서 4-5개월 정도 월경불순 치료를 하셨고 그 이후 다행히도 월경주기를 40-50일 주기로, 조금 늦기는 했지만 나름대로 규칙적으로 회복하였습니다. 결혼 후 임신에 대한 불안감으로 다시 진료를 오셨으며, 난소기능을 도우면서 착상환경을 개선하는 한약과 침, 뜸 치료를 진행하면서 자연..
2011. 3. 13.
[임상노트] 첫 출산 후 두번 계류유산, 한방치료 후 건강한 임신
첫 출산 후 두번 계류유산, 한방치료 후 건강한 임신 30세 여성 임신력: 첫 출산(05년), 2회 계류유산(08년, 09년, 5-6주, 심박동 확인못함) 양방검사: 계류유산 후 태아염색체검사(정상) 월경력: 30일주기, 월경량양호, 월경통약간 기타증상: 신경쓰면 두통, 위경련자주, 계류유산 후 산후풍 유사증상, 계류유산 후 골반염, 방광염 치료경과: 3개월 치료 후 자연임신, 임신 확인 후 안태약 복용, 3.12kg 자연분만 첫 출산을 아무 문제 없이 잘 하고 둘째임신을 하려하는데 자꾸 유산이 반복되어 한의원을 찾는 분들이 종종 계십니다. 이 경우는 염색체이상과 같은 유전적인 문제보다는 모체가 기능적으로 허약한 상태에서 임신이 되었기 때문에 유산을 경험하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첫 임신 때 보다는 아..
2011. 2. 21.
[임상노트] 습관성유산 3회, 면역학적 이상 여성의 건강한 임신
습관성유산 3회, 면역학적 이상 여성의 건강한 임신 32세 여성 임신력: 3회 계류유산(7-12주), 1회 자궁외임신 습관성유산검사: 면역학적 이상진단 특이사항: 방광염, 질염 자주 재발 월경력: 30일주기, 월경량 유산후 감소, 월경통 유 기타증상: 하복냉심, 수면불량, 변비, 월경전 소량출혈 치료기간: 3개월 치료 후 자연임신, 임신 12주까지 안태약 복용, 면역글로블린 치료 병행 몸이 안좋아서 유산이 되지만, 유산 후에는 안좋았던 기능들이 더욱 악화됩니다. 따라서 유산 후 조리와 함께 다음 임신을 위한 준비를 병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몸의 균형을 잡는 것과 함께 습관성유산을 경험한 여성의 경우에는 마음을 준비하는 과정이 매우 중요합니다. 반복된 유산의 경험이 무의식 속에 자리잡고 있게되면, 다..
2011. 2.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