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난임치료70

[한방 난임 치료]배란장애, 기형정자 증가 난임 부부의 자연임신 부부 함께 한방 난임 치료, 배란유도 실패 후 자연임신 건강한 임신을 위해서는 남녀 모두의 건강이 중요합니다. 건강한 난자와 정자가 결합하여 건강한 수정란을 만들기 때문이죠. 배란유도, 인공수정, 시험관 시술. 모두 필요한 경우 고려해야 하는 임신을 돕는 치료지만, 임신에 적합한 건강한 몸을 먼저 준비해야 합니다. 특히, 정액검사 상 이상이 있는 경우 보조생식술을 서두르는 경우가 많은데요. 건강한 몸에서 건강한 정자가 만들어지고, 정자가 건강할 때 자연임신과 시험관임신 가능성 모두 높아집니다. 배란장애 / 만성전립선염, 정자 이상 부부가 배란유도 실패 후 자연임신에 성공한 한방 난임 치료 임상례를 소개합니다. 배란장애, 정상정자 1% 부부의 자연임신 http://wombclinic.com/v2/load... 2021. 3. 15.
남성난임 치료 가이드라인: 미국 비뇨기학회/생식의학회 남성난임 치료 가이드라인(2020 by AUA/ASRM) 2020년 말 학술지 에 미국 비뇨기학회와 생식의학회 공동으로 '남성난임 진단과 치료 가이드라인'을 발표했습니다. 그 중 첫 번째 파트인 진단 편은 지난번에 소개해드렸고요. https://wombstory.tistory.com/1363 남성난임 진단 가이드라인: 미국 비뇨기학회/생식의학회 남성난임 진단과 치료 가이드라인(2020 by AUA/ASRM) 미국 비뇨기학회(American Urological Association Education and Research)와 생식의학회(American Society for Reproductive Medicine)가 공동.. wombstory.tistory.com 오늘은 치료 편을 소개하겠습니다. 주요 내용.. 2021. 1. 22.
[한방 난임 치료]시험관 실패 후 자연임신 [43세/자궁 이상] 나이가 많거나 시험관 계획해도 자연임신은 포기하지 말아야 임신 가능성을 예측할 때 가장 중요한 인자는 '나이'입니다. 특히, 38세가 넘으면 생식력은 가파르게 약해져 자연임신 확률도, 시험관임신 확률도 뚜렷하게 낮습니다. 2020년 에 발표된 논문에서는 38세 난임 여성의 일 년 내 자연임신 확률이 약 7%(난임 기간 5년)-28%(난임 기간 1년)이며, 연령 증가에 따라 뚜렷이 감소함을 보여줍니다. 나이 때문에 시험관 시술을 서두르지만 고령에서는 시험관 임신 또한 만만치 않습니다. 2018년 발표된 논문에서는 한 번의 난자 채취로 생존아를 출산할 확률이 38-39세에서 25.9%, 40-41세에서 16.4%, 42-43세에서 7%, 44세에서 1.2%라고 했는데요. 이 연구에서는 .. 2020. 11. 8.
난소예비력 검사와 해석: 미국 생식의학회 의견 AMH, AFC 등 난소예비력 검사와 해석에 관한 미국 생식의학회 공식 의견 여성은 출생 시 약 50만-100만 개의 난자를 가지고 태어나 사춘기 즈음 약 30만 개 정도가 됩니다. 초경을 시작하고 매달 배란되거나 소멸되면서 난자 수는 줄어들고 완경에 이르게 되지요. 난소의 노화는 '사용 가능한 난자 수의 감소'를 의미하며, 이를 난소예비력(ovarian reserve)이라고 하는데요. 난소예비력은 나이가 들면서 점차 감소하지만, 같은 나이라 하더라도 개인차가 큰 편입니다. 최근 난임 여성뿐 아니라 비혼 여성들에서도 난소예비력에 대한 관심이 높고 검사를 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미국 생식의학회(American Society for Reproductive Medicine)에서 적절한 난소예비력 검사법과 해석.. 2020. 10. 19.
착상기 성관계, 임신을 방해하나 착상기 성관계와 임신율 연구 논문 임신을 계획한다면 임신이 가능한 시기, 즉 '생식의 창(fertile window)'에 성관계를 하는 것이 필수 조건입니다. 정자와 난자가 만나야 임신이 성립되니까요. 보통 배란 전 5일과 배란 당일을 합친 6일간을 '생물학적 생식의 창'이라고 하는데요. 배란점액, 기초체온표, 배란테스트기 등을 사용해 좀 더 정확하게 가임 시기를 알 수 있습니다. https://wombstory.tistory.com/745 자궁경부점액(배란점액), 배란기 계산에 효과적 1990년대 중반에 배란기 예측과 관련해 대규모 연구가 진행되었습니다. 여성들이 스스로 측정한 자궁경부점액(배란점액)을 기초체온이나 초음파로 확인한 배란기, 호르몬 수치와 비교하여 얼마 wombstory.tistory.c.. 2020. 9. 23.
부부 함께 적정 체중 유지, 임신까지 시간 단축 비만 여성 x 저체중 남성 임신 가능성 30% 감소 과체중/비만이 임신을 방해한다는 여러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여성의 경우는 시상하부-뇌하수체-난소 축의 균형을 깨뜨려 배란을 방해하기 때문이고, 비만 여성의 성욕 감퇴, 성 기능 저하가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 https://wombstory.tistory.com/870 비만과 난임, 생식건강의 밀접한 관련성 현대인의 만병의 근원으로 여겨지는 비만은 난임, 유산, 배란장애, 월경불순, 임신 중 이상 등 여성의 생식 건강을 심각하게 위협합니다. 최근 미국 생식의학회(American Society for Reproductive Medicine)� wombstory.tistory.com 한편, 비만 남성은 정상 체중 남성에 비해 정자 수, 활동.. 2020. 8. 14.
난임, 유전보다는 환경 덴마크 쌍생아 연구, 난임의 72-96%는 환경과 관련 인간이 겪는 여러 질병은 유전과 환경의 복합 작용으로 일어난 결과입니다. 유전이 큰 비중을 차지하는 유전 질환도 있지만 대부분의 질병은 유전을 고려하되 환경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여성 질환 중에서는 조기난소부전, 다낭성난소증후군, 자궁내막증 등에서 가족력을 상세히 살피는 편입니다. 그렇다면 난임은 어떨까요. '손이 귀한 집안'이 따로 있는 걸까요. 최근 에 발표된 논문에서는 덴마크 쌍생아 연구를 통해 난임에서 유전과 환경이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습니다. 1931년에서 1976년 사이 태어난 성별이 같은 쌍생아 9,053명을 대상으로 '임신까지 걸린 시간(Time to pregnancy)'을 조사하였습니다. 피임을 하지 않으면 보통 .. 2020. 8. 11.
[난소기능저하] AMH 낮은 여성, 인공수정 임신율 차이 없다 난소예비력(AMH) 낮은 35세 미만 여성의 인공수정 임신율과 임신 경과 분석 여성은 평생 사용할 수 있는 난포의 수가 한정되어 있습니다. 매달 여러 개의 작은 동난포가 자라다 하나의 우성난포가 선택되어 배란되는 과정을 거치면서 '가용 난포의 풀(pool)', 즉 난소예비력은 점점 줄어들지요. AMH는 난소예비력을 보여주는 지표 중 하나입니다. AMH와 임신율의 상관관계를 살핀 대부분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AMH는 호르몬제로 과배란을 유도했을 때 반응하여 자라는 난포의 수를 예측할 뿐 임신율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AMH와 자연임신, 시험관 임신, 유산율 [난소기능 지표] AMH와 자연임신, 시험관임신, 유산율 난소기능 지표인 AMH와 FSH가 일치하지 않을 때 시험관시술 결과에 더 영향을 주는 것은?.. 2020. 3. 11.
정상정자 2%, 월경통 부부 함께 치료 후 자연임신 정상정자 2% 시험관 권유받았으나 한방 치료 후 자연임신, 출산 정액검사에서는 보통 정자 수, 활동성, 정자 모양을 살핍니다. 이 중 정자 수와 활동성은 정상 범위 안에 있는데 기형 정자 증가로 진단받는 남성들이 자주 있습니다. WHO 기준에 따르면 정상 모양 정자가 적어도 전체 정자의 4% 이상은 되어야 하는데 말이죠. 기형정자가 많은 경우 예전에는 시험관 시술로 직행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시험관 시술을 해보기 전에는 수정장애 여부를 알 수 없는데, 정자 머리에 기형이 있으면 수정이 어려울 거라는 예측 때문이었죠. 하지만, 수정은 스스로 해야 하는 인공수정에서 기형정자 증가가 임신율에 별 영향을 주지 못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오면서 이 주장은 힘을 잃었습니다. 2014년에 발표된 연구 결과를 소개해드린.. 2020. 3.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