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440

공감과 지지 하루밤 사이에 사람들은 보통 네 편 정도의 꿈을 꾼다고 합니다.그 중 어떤 것은 깨어나서도 생생하게 기억이 나고, 어떤 꿈은 아련하며, 또 어떤 경우는 꿈을 꿨는지도 모른채 넘어가기도 하지요.생각지도 못했던 다양한, 흥미진진 스토리.. 그런데 이 꿈은 다름 아닌 나도 모르던 나의 무의식의 반영이라고 합니다. 지난 십 주 동안, 매 주 한번씩 '꿈 분석 워크샵'에 참석했었습니다.간혹 진료실에서 환자분들이 꿈 이야기를 하기도 하시고, 저도 제 내면을 한번 들어야보고 싶은 마음에서요.매일매일의 꿈을 기록하고, 각자의 꿈을 나누고, 그 꿈을 함께 투사하며 분석하는 집단작업이었습니다. 10주 간의 짧은 시간에 꿈분석에 대한 어떤 대단한 기술을 배운 것은 아니지만 제게는 정말 좋은 시간이었습니다.매 시간 워크샵에 .. 2012. 5. 14.
‘잦은 검사, 약 지어드리기’가 효도 아니다-건강한 노후, 약물이 아닌 일상에서 ‘잦은 검사, 약 지어드리기’가 효도 아니다 건강한 노후, 약물이 아닌 일상에서 어린이날과 어버이날이 함께 있는 오월은 사십 대인 우리 세대에게 ‘봉사의 달’입니다. 당분간은 어린이를 돌보고, 어버이에게 효도해야 하는 중간 위치에 있기 때문입니다. 이 두 날을 보내면서 문득 ‘모든 어버이는 어린이였다.’는 당연한 사실이 떠올랐습니다. 머리 희끗희끗한, 조금만 걸어도 숨차고 다리 아파 쉬어야 하는, 몸이 마음을 따라가지 못해 늘 아쉬운 우리 부모님들도 모두 다 파릇파릇한 어린시절이 있었겠지요. 그리고 아직 ‘어버이’라고 불리기에는 민망한 우리들도 그렇게 나이를 먹어가겠지요. 평균수명이 길어지면서 예순 환갑은 청춘이고, 여든은 되어야 비로소 노인정에 떳떳이 드나들 수 있다고들 합니다. 고령사회에 접어들면서 .. 2012. 5. 14.
사회적 건강을 생각하며 요즘 '무엇이 인간을 병들게 하는가?'라는 부제가 붙은 이라는 책을 읽고 있습니다. 이 책에서는 "한 집단의 건강에 압도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의료가 아니라, 인간이 살고 일하는 사회적, 경제적 환경"이라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많은 연구에 의하면 사회적 계층에 따른 건강의 차이는 매우 뚜렷합니다. 사회적 위계가 낮은 사람의 사망율은 사회적 위계가 높은 사람보다 두, 세 배가 높고 같은 사회에서도 소득에 따라 기대수명이 5-10년, 많게는 15년까지 차이가 납니다. 이는 한편으로는 부자들이 건강에 대한 더 많은 정보를 접하고, 더 많은 의료서비스를 받으며, 영양 많은 음식과 좋은 주거환경에서 살기 때문일 것입니다. 그런데, 음식과 물리적 환경은 그대로 둔 채 단지 사회적 지위만 바꾸는 동물실험을 실시한 .. 2012. 5. 10.
[불임이야기] 세포질내 정자주입술, 태아결함 위험 높아 [불임이야기] 세포질내 정자주입술, 태아결함 위험 높아 보통 시험관시술을 할 때에는 실험접시 위에 정자와 난자를 올려놓고 자연스럽게 수정이 되도록 하지만, 정자이상이 심하거나 채취난 난자의 수가 적고 질이 안좋은 경우 자연수정에 실패할 위험이 있기 때문에 미세조작술을 실시하게 됩니다. 그중 대표적인 방법이 정자를 난자에 직접주입하여 미세수정시키는 세포질내 정자주입술(ICSI; Intracytoplasmic sperm injection) 입니다. 그런데 이 세포질내 정자주입술로 출생한 태아가 자연임신으로 출생한 태아에 비해 결함이 있을 위험이 57%나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Birth defect link' to IVF injectionshttp://www.telegraph.co.uk/health/h.. 2012. 5. 10.
불임극복을 위한 식단 - 단백질 불임극복을 위한 식단 - 단백질 단백질은 우리 몸의 중요한 에너지원이며, 또한 중요한 구성성분입니다. 근육과 모발을 이루고, 순환, 면역기능 등에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체중 9kg 당 약 7g의 단백질이 필요하다고 하는데, 과잉이 문제가 되는 나라가 있는가하면 여전히 단백질 부족으로 성장장애, 면역이상을 겪는 나라도 있습니다. 우리 식탁에서 중요한 한자리를 차지하는 단백질, 어떻게 먹으면 좋을까요.특히, 단백질 섭취는 '배란성 불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완전 단백질 vs 불완전 단백질 보통 소고기, 유제품, 생선 등 동물성 식품에서 얻는 단백질을 완전 단백질이라고 합니다. 우리 몸에 필요한 아미노산을 모두 포함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상대적으로 콩류나 식물에서 얻는 단백질을 불완전 단백질이.. 2012. 5. 4.
<앙쥬 5월호> 냉(冷)과 열(熱) 잡아야 건강지켜요 냉(冷)과 열(熱) 잡아야 건강지켜요 여성의 냉증과 열증 사이 한의학에서는 우리 몸의 음양이 균형을 이룰 때 건강하다고 한다. 몸의 장기가 서로 조화를 이루고 있듯이, 음양이 조화를 이루면 질병이 없는 건강한 상태가 된다고 본다, 이러한 균형과 조화는 단순히 양적으로 같다는 것이 아니다. 필요한 것을 적당히 고루 갖추고 이러한 것들이 서로 잘 순환되는 것을 의미한다, 반면 어떤 형태든 균형이 꺠지면 이것이 바로 병이 된다. 우리가 일상에서 흔히 겪는 냉증이나 많지는 않지만 열에 시달리는 열증은 음양의 균형이 깨지고 기운이 한쪽으로 치울칠 떄 발생하는 병증을 말한다, 움여성한의원 문현주 원장으로부터 건강한 몸을 위해 꼭 알아두어야 할 냉증과 열증에 대해 알아봤다 특정부위만 찬 기운 느끼는 냉증 냉증은 신체.. 2012. 5. 4.
사회적 질병, 스트레스... ‘화병’이 건강을 망친다 사회적 질병, 스트레스‘화병’이 건강을 망친다 http://www.womennews.co.kr/news/53372 빛의 속도로 세상은 빨라지고 물질문명은 하루가 다르게 발전합니다. 가만히 앉아서 전 세계의 뉴스를 듣고 원하는 정보를 얻습니다. 모르는 것은 친절한 인터넷에 물어보기만 하면 됩니다. 원하는 상품이 있다면 굳이 발품을 팔지 않고도 한 번의 클릭으로 집까지 배달됩니다. 은행 일도, 바쁜 일정 조정도 몇 개의 버튼만 누르면 바로 해결되는 세상입니다. 현대인의 건강을 위협하는 주범, 스트레스 그렇다면 그만큼 사람들의 삶은 여유로워졌을까요? 도서관에 꽂힌 책들을 하나하나 찾아가며 정보를 찾고 손으로 일일이 문서를 작성하고 수정하며 편지 한 통 보내는데도 며칠씩 걸리던 과거에 비해서 말입니다. 당연히 .. 2012. 5. 4.
[임상노트] 습관성유산 여성, 임신전 하복냉증 반드시 치료해야 습관성유산 여성, 임신전 하복냉증 반드시 치료해야 반복되는 습관성유산을 경험한 여성이라면 무엇보다 중요한 것이 다음 임신을 위한 준비입니다.임신이 안되는 것이 아니라 '건강한 임신'이 중요하기 때문에 임신을 서두르기 보다는 건강한 임신을 잘 유지하여 무사히 출산에 이르도록 하는 것이 목표이고, 이를 위해서는 임신 전 최적의 건강상태를 준비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체크리스트 중 하나가 '하복부의 냉증' 여부입니다.하복부가 냉하다는 것은 단지 손으로 만져봤을 때 차갑다는 느낌이 아니라, 자궁으로 가는 혈액순환 상태를 나타내면서 '자궁이 약하다'고 말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기 때문입니다. 하복냉증, 습관성유산 여성의 건강한 임신과 출산 30세 여성 임신력: 2회 계류유산(6주, 심박동.. 2012. 5. 4.
불임여성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시작합니다 삼 년만에 다시 을 시작합니다. 심리전문가들은 '아이를 기다리는 불임여성들의 스트레스가 암환자의 스트레스에 버금간다'고 말 하는데, 그 이유는 임신을 기대했다 월경시작과 함께 실망하고, 또 다시 기대했다 실망하는 롤러코스터와 같은 감정의 기복이 월경주기라는 비교적 짧은 주기에 반복되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또한 이 스트레스는 한의학적으로 '간기울결(肝氣鬱結)'이라하여 우리 몸의 기 소통을 방해하면서 임신을 방해하는 중요한 원인인자로 작용하지요. 임신이 안되어서 스트레스를 받고, 또 이 스트레스 때문에 임신이 안되는 악순환의 고리를 끊는 일, 건강한 임신을 위해 매우 중요한데 어디서부터 어떻게 해결해야할지 막막한 경우가 많습니다. 저도 임상에서 임신을 기다리는 많은 난임여성들을 만나면서 한방치료를 통해 건강.. 2012. 5.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