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여성한의원163

건강한 폐경기 여성, 칼슘 비타민 D 보조제 필요 없어 건강한 폐경기 여성, 칼슘 비타민 D 보조제 필요 없어 갱년기 이후 여성건강을 위협하는 것 중 하나가 '골다공증'입니다. 갱년기 이후 여성호르몬의 분비가 급격히 저하되면서 골다공증이 진행되기 쉽고, 이는 골절 위험을 높이면서 여성의 삶의 질을 떨어뜨리는 위험인자이기 때문입니다.그래서 많은 여성들이 갱년기, 폐경기 이후 별 문제가 없어도 칼슘, 비타민 D 등의 건강보조제를 복용하는 경향이 있는데, 전혀 그럴 필요가 없다는 연구보고입니다. Healthy Women Advised Not to Take Calcium and Vitamin D to Prevent Fractureshttp://www.nytimes.com/2012/06/13/health/calcium-and-vitamin-d-ineffective-f.. 2012. 6. 21.
제왕절개로 태어난 아기, 비만 위험 높아 제왕절개로 태어난 아기, 비만 위험 높아 우리나라의 제왕절개율은 2009년 기준으로 35.13%로 WHO의 권고치(5-15%)뿐 아니라 OECD 평균(25.85%)에 비해서도 현저히 높은 것으로 알려져있습니다. 그런데 제왕절개로 태어난 아기가 비만의 위험도 높다는 연구보고입니다. Method of Delivery May Affect Obesity Riskhttp://well.blogs.nytimes.com/2012/05/28/method-of-delivery-may-affect-obesity-risk/?ref=health 에 발표된 하버드대학 연구팀의 논문에 의하면 1, 255명의 아기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3세 때 체중측정을 한 결과 제왕절개로 태어난 아기의 15.7%가 비만이었으며, 반면에 자연분만.. 2012. 6. 2.
야간근무 여성, 유방암 위험 40%나 높아 야간근무 여성, 유방암 위험 40%나 높아 경쟁사회, 성과사회에서 많은 이들이 밤낮없이 일합니다. 속도가 중요하고, 남들보다 빨라야하고, 기한을 맞춰야하는 강박때문입니다.당연, 건강에는 좋지 않겠지요. 최근 에 발표된 논문에 의하면 야간근무자의 유방암 발병 위험이 40%나 높다는 연구결과입니다. Night shifts raise risk of breast cancer, says Danish research( http://www.guardian.co.uk/society/2012/may/28/night-shift-raises-cancer-risk-study?newsfeed=true) 연구에 의하면 주 3회 이상의 야간근무를 6개월 이상 한 여성의 경우, 그렇지 않은 여성에 비해 유방암 확률이 약 두 배가량 .. 2012. 6. 2.
자궁내장치, 가장 효과적인 응급피임 자궁내장치, 가장 효과적인 응급피임 응급피임약의 일반의약품 전환에 대한 여러 논란이 있었습니다.(사후피임약, 일반의약품 전환 논란 http://blog.daum.net/happywomb/8725959)의도치 않은 임신에 대한 공포는 여성들에게 매우 심각한 문제이지요. 그런데, 흔히 응급피임, 사후피임 하면 사후피임약 밖에 없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는데 오히려 더 실패율이 적고 효과적인 방법은 자궁내장치(IUD)라는 연구보고입니다.뉴욕타임즈에 보도된 1979년부터 2011년까지의 연구결과를 종합한 논문에 의하면 응급피임으로 자궁내장치를 사용한 경우 실패율은 0.1% 정도였지만, 응급피임약의 경우 mifepristone(약품명 Mifeprex)을 복용한 경우 1.4%가, levonorgestrel(약품명 P.. 2012. 5. 21.
불임극복을 위한 식단 - 단백질 불임극복을 위한 식단 - 단백질 단백질은 우리 몸의 중요한 에너지원이며, 또한 중요한 구성성분입니다. 근육과 모발을 이루고, 순환, 면역기능 등에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체중 9kg 당 약 7g의 단백질이 필요하다고 하는데, 과잉이 문제가 되는 나라가 있는가하면 여전히 단백질 부족으로 성장장애, 면역이상을 겪는 나라도 있습니다. 우리 식탁에서 중요한 한자리를 차지하는 단백질, 어떻게 먹으면 좋을까요.특히, 단백질 섭취는 '배란성 불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완전 단백질 vs 불완전 단백질 보통 소고기, 유제품, 생선 등 동물성 식품에서 얻는 단백질을 완전 단백질이라고 합니다. 우리 몸에 필요한 아미노산을 모두 포함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상대적으로 콩류나 식물에서 얻는 단백질을 불완전 단백질이.. 2012. 5. 4.
<앙쥬 5월호> 냉(冷)과 열(熱) 잡아야 건강지켜요 냉(冷)과 열(熱) 잡아야 건강지켜요 여성의 냉증과 열증 사이 한의학에서는 우리 몸의 음양이 균형을 이룰 때 건강하다고 한다. 몸의 장기가 서로 조화를 이루고 있듯이, 음양이 조화를 이루면 질병이 없는 건강한 상태가 된다고 본다, 이러한 균형과 조화는 단순히 양적으로 같다는 것이 아니다. 필요한 것을 적당히 고루 갖추고 이러한 것들이 서로 잘 순환되는 것을 의미한다, 반면 어떤 형태든 균형이 꺠지면 이것이 바로 병이 된다. 우리가 일상에서 흔히 겪는 냉증이나 많지는 않지만 열에 시달리는 열증은 음양의 균형이 깨지고 기운이 한쪽으로 치울칠 떄 발생하는 병증을 말한다, 움여성한의원 문현주 원장으로부터 건강한 몸을 위해 꼭 알아두어야 할 냉증과 열증에 대해 알아봤다 특정부위만 찬 기운 느끼는 냉증 냉증은 신체.. 2012. 5. 4.
임신중 비만, 고혈압, 당뇨, 아이의 발달장애 위험 높여 임신중 비만, 고혈압, 당뇨, 아이의 발달장애 위험 높여 임신 기간 중의 산모에게 비만, 고혈압, 당뇨가 있는 경우 태어난 아기가 자폐증, 발달장애를 겪게될 위험이 높다는 연구 결과입니다. 에 보도된 캘리포니아 대학의 연구에 의하면 임신 중 당뇨가 있는 비만 여성의 경우 체질량지수 25 미만의 건강한 여성에 비해 출산한 아이에게 언어, 운동, 사회적 기능에 이상이 있을 위험이 두배나 높고, 자폐증 위험도 50%나 상승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Hazards: Poor Health in Pregnancy Linked to Delays( http://www.nytimes.com/2012/04/17/health/research/diabetes-or-obesity-in-pregnancy-tied-to-de.. 2012. 4. 24.
유산후 조리, 산후조리만큼 중요 유산후 조리, 산후조리만큼 중요 임신을 했지만 부득이하게 인공유산을 해야하는, 원하지 않았지만 자연유산이 된 여성들이 있습니다.그러나 유산 후 여성들이 제대로 된 조리를 하기는 쉽지 않습니다.'유산'을 알리고 싶지 않은 마음, 스스로 느끼기에도 몸에 큰 무리없는 것 같은 생각, 그리고 충분히 휴가를 내고 쉴 수 있을 만큼 여건이 허락하지도 않기 때문이지요. 그러나 '임신'이라는 것은 여성의 몸에 일어나는 매우 급격한 호르몬의 변화입니다. 이 변화가 갑작스러운 '유산'으로 또 한번의 변동을 겪는만큼, 그것도 자연스럽고 점진적인 변화가 아니라 인위적 '중단'이기에 여성의 몸에 미치는 충격은 그만큼 클 수 밖에 없습니다.따라서 후유증 없는 회복을 위해서는 충분한 휴식과 조리가 필요합니다. 1. 출혈이 있는 동.. 2012. 4. 1.
아기가 원할 때마다 수유하는 것이 뇌발달에 좋아 아기가 원할 때마다 수유하는 것이 뇌발달에 좋아 "아기가 원할 때 마다 수유하는 것이 좋다""시간을 정해 규칙적으로 수유하는 것이 좋다" 아기를 키우는데 정답이 어디 있겠습니까, 마는 수유방법에 대해서도 서로 다른 의견이 있습니다.아기가 원할 때마다 즉각적으로 수유를 함으로써 그 욕구를 충족시키는 것이 좋다는 의견, 그보다는 규칙적인 시간을 정해놓고 아기의 수유훈련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의견.. 영국 Essex 대학과 Oxford 대학의 연구팀이 수유형태가 아이의 뇌발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에서 이를 보도하였습니다. Babies fed on demand 'do better at school'http://www.guardian.co.uk/society/2012/mar/17/ba.. 2012. 4.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