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궁외임신, 다음 임신의 예후는
자궁외임신 후 2년 누적 자궁내임신 확률 67-76%, 임신 후에도 조산, 저체중아, 태반조기박리, 전치태반 등 주의해야 정자와 난자가 나팔관에서 만나 수정한 후 자궁으로 이동, 자궁 내막에 착상해야 하는데 자궁외임신은 수정란이 자궁 밖에 자리를 잡는 비정상 임신으로 전체 임신의 약 2% 정도를 차지합니다. 자궁외임신은 염증 등으로 나팔관의 소통상태가 좋지 못하거나 골반염, 자궁내막증, 수술 등으로 골반강내 유착이 있을 때 자주 발생하며, 나이가 많은 난임 여성에서 발병 위험이 높은 편입니다. 임신 초기 복통, 출혈을 동반하거나 또는 무증상으로 임신 중 상승하는 hCG 호르몬 수치는 높지만 자궁내에서 태낭을 확인하지 못하는 경우 자궁외임신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이전에는 난관절제술이나 난관소통술 등 외과..
2019. 10. 28.
자궁선근증 난임, 월경통 호전되며 임신 성공
[임상례] 자궁선근증 난임, 한방 치료 후 월경통 호전, 임신 보고 자궁선근증(adenomyosis)은 자궁내막선과 간질조직이 자궁 근층으로 파고들어 자궁 자체가 커지는 질환입니다. 과다월경, 극심한 월경통, 골반통 등을 주 증상으로 하며, 난임, 유산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2019년 학술지 에 발표된 논문에 의하면, 자궁선근증이 있는 경우 시험관시술에서 생존아 출산율이 약 55% 감소, 유산율이 39%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자궁선근증, 자궁내막증이 임신과 유산에 미치는 영향 선근증, 자궁내막증이 임신과 유산에 미치는 영향 선근증, 자궁내막증 임신, 유산, 산모와 태아 건강에 미치는 영향 월경은 자궁내막이 호르몬의 영향으로 두꺼워졌다가 주기적으로 탈락하는 현상입니다. 그런데 자궁내막이 자궁 ..
2019. 10.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