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움여성한의원486

[갱년기 과다월경] 너무 많은 생리량, 원인은 뭘까 갱년기 과다월경의 원인과 진단 과다월경의 기준 '나이가 들면 여성호르몬이 적어진다는데 생리량이 줄어야 하는 거 아닌가요?' 그렇지 않습니다. 임상적으로 월경 기간이 7일 이상이거나 한 주기의 월경량이 80 ml 이상인 경우를 '과다월경(menorrhagia)'이라고 정의하는데요. 나이가 들수록 과다월경을 호소하는 경우가 늘어납니다. 월경을 하는 여성 열 중 하나가 어느 한 시점에 과다월경을 경험하는데요. 36-40세 여성에서는 그 비율이 24%에 이르고, 과다월경으로 치료받는 여성의 비율을 살펴보면 45-49세 여성 그룹에서 피크를 나타냅니다. 과다월경의 기준을 '월경량 80mL 이상'이라고 하지만 사실 객관적 측정은 어렵습니다. 연구에 의하면 월경량이 80mL 이하인 여성의 4분의 1 정도가 본인은 과.. 2019. 5. 17.
한쪽 난관유착, AMH 0.63, 시험관 실패 후 자연임신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19. 5. 17.
[난소기능 지표] AMH와 자연임신, 시험관임신, 유산율 난소기능 지표인 AMH와 FSH가 일치하지 않을 때 시험관시술 결과에 더 영향을 주는 것은? 일명 '난소나이 호르몬'이라고 알려진 항뮐러관호르몬(AMH)에 대한 관심이 높습니다. 태어날 때 가지고 있던 원시 난포 중에서 앞으로 사용 가능한 난포가 얼마나 남아있는지, 즉 '난소 예비력(ovarian reserve)'을 알려주는 지표이면서, 월경주기와 상관없이 아무 때나 혈액검사를 통해 간편히 알 수 있기 때문에 요즘은 난임 기본검사에 거의 포함되는 추세입니다. 그런데, AMH가 낮다고 임신도 잘 안 될까요? 지금까지 나온 여러 연구 결과를 종합한 현재 기준의 답은 '그렇지 않다'입니다. AMH는 난소를 과자극했을 때 몇 개의 난포가 자랄지, 난소 반응을 예측하는 수치로 의미가 있지 임신율과는 크게 관련이 .. 2019. 5. 6.
[임신 확률을 높이는 성생활] 효과적인 임신 시도 이렇게 임신 확률을 높이는 성생활 '피임을 하지 않고 규칙적인 성관계를 하는데도 일 년 이상 임신이 안되는 경우'를 난임이라고 정의합니다. 그러니까 주말부부로 지낸다던지, 어쩌다 한 번 성관계를 하는 경우라면 일 년이 지났어도 난임이라 할 수 없습니다. 임신을 위해서는 정자와 난자가 만나 수정란을 만드는 과정이 필수인데요. 임신 확률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객관적 논문 결과를 근거로 소개하겠습니다. 1. 정확한 타이밍: '생식의 창'이 열릴 때 임신이 가능한 시기를 '생식의 창(fertile window)'라고 부르는데 이 '창문(window)'이 열리는 시기를 잘 맞춰야 합니다. 보통 배란 전 5일과 배란일을 합친 6일간을 '임상적 생식의 창'이라고 부릅니다. 평소 닫혀있던 자궁경부가 열리면서 정자가 배란된 .. 2019. 4. 30.
[수면과 임신] 하루 7-8시간 수면이 임신에 도움 [수면과 임신] 하루 7-8시간 수면이 임신에 도움 많은 현대인이 수면 부족으로 고생하고 있습니다. 너무 바빠서 잠잘 시간이 없기도 하고, 막상 누웠는데 잠이 잘 안 오기도 하고요. '잠이 보약'이란 말이 있듯이 수면이 부족하면 심장병, 비만, 당뇨 등 질병 발생 위험과 기타 질환에 의한 사망률이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하루 6시간 미만 수면, 감기 위험 4.2배 증가 하루 6시간 미만 수면, 감기 위험 4.2배 증가 '잠이 보약'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그렇지만, 바쁜 현대인들은 충분한 수면을 취하기가 어렵습니다. 최근 학술지 에 발표된 연구논문에 의하면 하루 6시간 미만의 잠을 자는 사람이 감기에 걸릴 위험이 7.. wombstory.tistory.com 수면 부족하면 체중 증가 위험 증가 .. 2019. 4. 26.
보조생식술로 태어난 아이들의 건강 보조생식술로 태어난 아이들의 건강 시험관시술로 대표되는 보조생식술로 임신하고 출산한 아이가 전 세계적으로 700만 명을 넘습니다. 유럽에서는 전체 임신의 약 6% 정도가 보조생식술을 통한 임신이고 우리나라에서도 시험관시술 임신 비율이 점차 늘고 있습니다. '임신과 출산'이라는 목표를 넘어 이제 보조생식술로 태어난 아이들의 건강과 안전은 중요한 보건학적 문제입니다. 보조생식술 임신과 출산 위험성은 널리 알려져 있는데요. 가장 큰 이유는 다태아 임신 때문입니다. 임신 확률을 높이기 위해 여러 개의 수정란을 이식하던 관행 때문에 다태아 임신 비율이 높았고, 합병증이 높은 고위험군 임신을 감수해야 했습니다. 하지만 이제는 대부분의 국가에서 다태아 임신 위험을 줄이기 위해 보조생식술에서 이식 수정란 수를 제한합니.. 2019. 4. 8.
반복유산 부부가 원하는 다섯 가지 반복유산 부부가 원하는 다섯 가지반복유산 부부의 니즈(need): 치료와 지원, 후속 조치 많은 의학 논문이 숫자와 통계를 통해 결과를 보여주는 '양적 연구(quantitative research)'를 위주로 합니다. 하지만 숫자는 질병과 관련한 자세한 맥락과 실재를 보여주지 못하지요.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연구 대상의 일상을 직접 참여 관찰하거나 인터뷰하는 '질적 연구(qualitative research)'를 하는데요. 최근 유산 중/후 관리, 치료에서 반복 유산 부부가 원하는 니즈(needs)가 무엇인지 잘 보여주는 질적 연구가 발표되어 소개합니다. 덴마크 코펜하겐 반복유산 클리닉에서 진료받는 3회 이상 연속 반복유산 커플 13쌍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 치료와 지원, 후속 .. 2019. 2. 20.
시험관시술 실패 후 자연임신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19. 2. 18.
인유두종 바이러스와 난임 인유두종 바이러스와 난임 인유두종 바이러스(human papillomavirus)는 성관계를 통해 전달되는 대표적인 바이러스입니다.특히 자궁경부암 유발 위험을 높이는 바이러스로 널리 알려졌지요. 인유두종 바이러스와 자궁경부암https://wombstory.tistory.com/1210 그렇다면 임신에는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관련 연구를 체계적으로 고찰한 논문에서는 인유두종 바이러스 감염이 생식력 저하와 관련이 있다고 설명합니다. 위 논문에서는 인유두종 바이러스 양성 남성에서 정자의 수, 활동성이 저하되고, 여성의 시험관시술 성공률이 낮으며, 자연유산율이 높다는 기존 연구 결과를 소개하고 있습니다. 정확한 기전은 알 수 없지만 세포막을 파괴하여 세포자연사(apoptosis)를 유발할 가능성을 가설로 제시.. 2019. 2.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