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스데이뉴스] 조현주의 건강 임신 노하우 (1) 임신의 과정
한의학에서는 임신의 과정을 양종(養種), 택지(擇地), 승시(乘時), 투허(投虛)의 4단계로 설명합니다. 『양종(養種)』이란 씨앗을 기른다는 말로, 남녀 모두 생식의 근본이 되는 정(精)을 기르는 것입니다. 요즘 말로는 건강한 난자, 건강한 정자 만들기의 과정입니다. 『택지(擇地)』란 씨앗이 잘 자랄 수 있는 땅을 만드는 것으로, 수정란이 잘 착상할 수 있도록 건강한 자궁 상태를 만드는 것입니다. 『승시(乘時)』는 때를 맞추는 것인데, 아무 때나 임신이 되는 것이 아니므로 적절한 시기를 맞추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으로, 가임기에 타이밍을 잘 맞춰야 한다는 것입니다. 『투허(投虛)』는 허(虛)한 곳에 던진다는 말로, 허(虛)라는 것은 무언가를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 있는 자궁 안의 빈 공간을 뜻하므로, 자궁강..
2013. 3. 14.
건강한 임신을 위한 조언 (4) 정상 체중을 유지하자
건강한 임신을 위한 조언 (4) 정상 체중을 유지하자 동의보감에는 체수불잉, 체비불잉 이라는 말이 나온다.체수불잉은 몸이 너무 말라서 임신이 안되는 것이고,체비불잉은 너무 뚱뚱해서 임신이 안되는 것으로,오래전부터도 정상적 체중이 임신과 관련이 많음을 강조했었습니다. 비정상적 체중은 배란장애, 월경이상, 착상력저하, 유산율 증가 등과 관련이 많습니다.이는 현대의 많은 전세계에서 쏟아지는 논문들에서도 이야기 하고 있습니다. 너무 마르면, 혈액이 허약해지고, 신장의 정기가 허약해지고, 어혈이 잘 생깁니다.너무 비만해도 기운이 허약해지고, 습담, 어혈과 같은 혈액내 노폐물 증가로 혈액의 질적 저하가 유발될 수 있습니다.이는 둘 다 난소기능 저하를 일으키고, 자궁 내막의 수용력을 떨어 뜨릴 수 있기 때문에 임신에..
2013. 3.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