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강북구한의원197

내 몸도 건강하고 지구도 건강한 식단 음식이 건강과 환경에 미치는 영향 우리는 매일매일 음식을 먹고 그 에너지로 살아갑니다. 생명을 유지하고 건강한 일상을 살아가는 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도 음식이죠. 아프고 나서 치료하는 것보다는 건강하게 살면서 질병을 예방하는 것이 더 중요하고, 그래서 음식과 질병의 관련성을 살피는 많은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또한, 음식의 생산 과정에는 많은 환경 자원이 필요합니다. 토지와 물이 필요하고요. 경작 과정에서 온실가스 배출, 산성화, 부영양화 등 환경오염이 발생하기도 하지요. 그런데, 우리가 살아가는 지구, 대기 환경 오염은 다시 인간의 건강을 위협합니다. 우리 몸도 건강하고 지구 환경도 지킬 수 있는 식단은 없을까요? 최근 영국 옥스퍼드 대학과 미국 미네소타 대학 연구팀이 '음식이 건강과 환경에 .. 2019. 11. 20.
원인불명 반복 착상 실패, 향후 생존아 출산 가능성은? [논문소개] 39세 미만 원인불명 반복 착상 실패 여성, 5.5년 이내 49%가 출산 착상은 임신의 가장 중요한 마지막 관문입니다. 시험관시술 과정에서 배란, 수정까지는 첨단 의료 기술이 도와주지만 착상은 스스로 해야 합니다. 시험관시술의 실패도 대부분 착상 실패와 관련이 있고요. 최근에는 시험관시술 과정에서 착상 실패를 반복하는 경우를 '반복 착상 실패(recurrent implantation failure: RIF)'라고 규정합니다. 원인 파악을 위한 검사를 진행하고 치료를 추가하기도 하지요. 하지만 아직까지 뚜렷한 치료법을 찾지는 못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면역치료를 해보고 있기는 하지만 효과는 미지수입니다. 반복 착상 실패, 면역치료 효과는? [시험관아기] 반복 착상 실패, 면역치료 효과는? [시험.. 2019. 11. 7.
[계류유산, 반복유산] 부부 함께 치료로 건강한 임신 [임상례] 계류유산, 반복유산에서 부부 함께 치료가 중요한 이유 '건강한 임신은 남녀가 함께'라고 머리로는 생각하지만, 여전히 임신을 위한 준비는 여성 혼자 할 때가 많습니다. 난임의 경우에는 간혹 부부가 함께 치료를 받기도 하지만 임신이 되었다가 유산을 하면 '그래도 임신은 됐으니까'라며 다음 임신 준비 과정에서 남성은 빠지는 경우가 많지요. 하지만, 건강한 임신을 위해서는 건강한 정자와 난자가 만나 수정란을 이루어야 합니다. 건강하지 않은 정자가 초기 유산의 원인이라는 연구 결과가 계속 발표되고 있기도 합니다. 정자의 질, 초기 유산에 영향 정자의 질, 초기 유산에 영향 정자의 질, 초기 유산에 영향 임신을 했다고 해서 모두 열 달 후 출산을 하는 것은 아닙니다. 전체 임신의 약 30% 정도는 자연적.. 2019. 11. 2.
[남성난임 식이요법] 정자의 질을 향상시키는 식단, DASH 남성난임 식이요법 야채/과일/견과류 충분히, 단순 탄수화물과 포화지방 줄이는 식단으로 총 활동 정자 수 증가 건강한 임신은 건강한 난자와 정자의 결합에서 출발합니다. 그런데 '정자의 위기'를 이야기할 만큼 전 세계 남성의 정자 수, 정자의 질이 나빠지고 있다는 연구 보고가 계속 나오고 있습니다. 정액 검사 상 이상을 보이는 난임 남성 수도 급격히 늘고 있고요. 정확한 원인은 알 수 없지만 줄어드는 활동량, 오래 앉아있는 생활 양식, 비만, 내분비교란물질, 음식 등이 주된 역할을 할 것으로 추론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자 건강에 도움이 되는 생활 방식, 특히 음식에 대한 관심이 높습니다. 지금까지 많은 연구가 개별 영양소가 정자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초점을 맞추었고요. 이를 총정리한 하버드 연구에서 정자 .. 2019. 10. 30.
자궁외임신, 다음 임신의 예후는 자궁외임신 후 2년 누적 자궁내임신 확률 67-76%, 임신 후에도 조산, 저체중아, 태반조기박리, 전치태반 등 주의해야 정자와 난자가 나팔관에서 만나 수정한 후 자궁으로 이동, 자궁 내막에 착상해야 하는데 자궁외임신은 수정란이 자궁 밖에 자리를 잡는 비정상 임신으로 전체 임신의 약 2% 정도를 차지합니다. 자궁외임신은 염증 등으로 나팔관의 소통상태가 좋지 못하거나 골반염, 자궁내막증, 수술 등으로 골반강내 유착이 있을 때 자주 발생하며, 나이가 많은 난임 여성에서 발병 위험이 높은 편입니다. 임신 초기 복통, 출혈을 동반하거나 또는 무증상으로 임신 중 상승하는 hCG 호르몬 수치는 높지만 자궁내에서 태낭을 확인하지 못하는 경우 자궁외임신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이전에는 난관절제술이나 난관소통술 등 외과.. 2019. 10. 28.
다낭성난소증후군의 자연 치료 & 생활 수칙 다낭성난소증후군 개선에 도움이 되는 자연 치료법 에 '다낭성난소증후군에 가장 좋은 자연 치료법은 무엇인가(What are the best natural treatments for PCOS?)'라는 제목의 기사가 실렸는데요. 부연 설명과 함께 소개합니다. Natural treatments for PCOS: Evidence-based methods Natural treatments and lifestyle changes, such as diet changes, supplements, and herbal remedies, may help with the symptoms of polycystic ovary syndrome (PCOS). Learn what the research says here. www.med.. 2019. 10. 8.
움여성한의원 웹매거진 No.87 가을호 움여성한의원에서 발행하는 여든일곱 번째 웹매거진 가 나왔습니다. 다양한 임신 정보와 읽을거리, 여성 건강에 관한 이야기들을 소개합니다. 2019_3분기_87호(web) 2019_3분기_87호(web) online.pubhtml5.com 2019. 10. 1.
[갱년기/완경 후 비만] 지질 제거율 감소가 원인 갱년기/ 완경 후 비만 '나잇살'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똑같이 먹는데도, 그렇다고 덜 움직이는 것도 아닌데 나이 들면서 왜 자꾸 체중이 늘까요? 최근 스웨덴과 프랑스 연구팀은 성인 54명을 13년간 추적 조사한 결과를 에 발표하였는데요. 지방 세포에 지방이 쌓이고 제거되는 '지질 전환(lipid turnover)'이 연령 증가에 따라 감소하였고, 특히 나이가 들수록 지방 제거 속도가 뚜렷하게 늦어졌습니다. 그 결과 똑같이 먹더라도 체중이 약 20% 정도 증가하였습니다. 갱년기 이후 체지방 증가는 여러 질병의 원인이 됩니다. 자궁내막암, 유방암, 심장병 발병 등 질병 발생 위험을 높이고 갱년기 과다월경과도 관련이 있습니다. 또한 허리, 무릎 등 관절에 무리를 주기도 하지요. 자궁내막암의 가장 큰 위험 인자.. 2019. 9. 30.
[고단백 식이요법] 동물성보다 식물성 단백질 섭취가 수명 연장 고단백 식이요법 육류 대신 식물성 단백질, 사망 위험 34% 감소 가공육 대신 식물성 단백질, 사망 위험 46% 감소 요즘 '저탄고지(저탄수화물 고지방)', '저탄고단(저탄수화물 고단백질)' 식이요법이 유행처럼 번지고 있습니다. 체중감량을 하면서 몸은 건강하게 만들자는 취지입니다. 그래서 밥 대신 삼시 세끼 고기만 먹는 경우도 있는데요. 과연 건강에 좋은 식딘일까요? 고단백 식단은 단기적으로 체중 감량, 특히 체지방 감량에 효과가 있고 혈압, 지질, 혈당 등 심혈관질환 위험 인자를 개선한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이에 비해 장기 효과에 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합니다. 또한 단백질이라고 다 같은 단백질이 아닙니다. 동물성 단백질과 식물성 단백질은 아미노산 구성이 다르고, 서양인과 동양인의 단백질 식단 구성.. 2019. 9.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