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강북구한의원197

시험관 저반응군 여성의 18개월 누적 생존아 출산율 시험관 저반응군 여성의 18개월 누적 임신율, 예후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시험관시술의 예후를 결정하는 중요한 인자로 나이, 난소예비력(AMH 또는 동난포수), 난소 반응 등을 꼽을 수 있습니다. 특히, 시험관시술 예후가 좋지 않은 난임 환자를 '저반응군(poor responder)' 혹은 '불량 예후(low prognosis)' 그룹으로 분류하는데요. 국제적으로는 2011년에 정한 볼로냐 기준(Bologna criteria)을 따르고 있습니다. 1. 두 번의 이전 난소자극주기에서 3개 이하의 난자를 채취한 경우 2. 한 번의 난소자극주기에서 3개 이하의 난자를 채취한 40세 이상 여성 3. 한 번의 난소자극주기에서 3개 이하의 난자를 채취하고 비정상적 난소 예비력(동난포수 5-7개 이하, Amh.. 2019. 6. 19.
정자 DNA 분절의 원인과 생활 수칙 정자 DNA 분절의 원인과 교정 가능한 생활 인자 정자의 DNA 분절(fragmentation) 비율이 높으면 건강한 수정란 발달에 방해가 되고 유산율이 뚜렷하게 높다는 연구 결과를 앞에서 소개하였습니다. 정자 DNA 분절, 수정란 발달 저하되고 유산 증가 정자 DNA 분절, 수정란 발달 저하되고 유산 증가 정액 검사 이상 없어도 정자의 질 중요, DNA 분절 많으면 유산 증가 건강한 임신을 위해서는 정자와 난자의 건강이 필수 조건입니다. 건강한 정자와 난자가 만났을 때 건강한 수정란을 만들 수 있고, 건강한 수정.. wombstory.tistory.com 그런데 정자 DNA 분절은 왜 생기는 걸까요? 가장 중요한 원인은 산화 스트레스(oxidative stress)입니다. 세포호흡 과정에서 부산물로 나.. 2019. 6. 5.
정자 DNA 분절, 수정란 발달 저하되고 유산 증가 정액 검사 이상 없어도 정자의 질 중요, DNA 분절 많으면 유산 증가 건강한 임신을 위해서는 정자와 난자의 건강이 필수 조건입니다. 건강한 정자와 난자가 만났을 때 건강한 수정란을 만들 수 있고, 건강한 수정란이 분화, 착상, 발달하면서 장차 태아가 되는 거니까요. 남성 난임을 진단하는 대표적인 검사는 정액 검사입니다. 하지만 정액 검사상 이상이 없다고 해서 '정자가 건강하다'고 장담할 수는 없습니다. WHO의 정상 정자 기준치는 시도하고 일 년 안에 임신한 부부의 정액 검사 결과 하위 5%를 기준으로 삼은 '커트라인'이며, 정액검사 상 아무 이상이 없는 남성에서도 정자의 DNA 분절 등 질 저하가 자주 나타나기 때문이지요. 난임일 때는 그나마 정액검사라도 해보지만 유산에서는 '그래도 임신은 되었으니까.. 2019. 6. 3.
스위스 젊은 남성 62%가 WHO 정액기준 미달 스위스 젊은 남성 62%가 WHO 정액기준 미달 '약해지는 정자'에 대한 우려는 이십여년 전 덴마크 연구진이 전 세계의 남성의 정자 수가 50년 동안 절반으로 감소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하면서 시작되어 이후 여러 후속 연구 결과가 이를 뒷받침하고 있습니다. 감소하는 남성 생식력 [남성난임] 감소하는 남성생식력 에서는 지난 주 'the European Society of Human Reproduction and Embryology' 컨퍼런스에서 하루종일 진행된 '남성의 생식력저하'에 관한 토론을 기사로 전하고 있습니다. wombstory.tistory.com 약해지는 정자 환경이 중요 [남성난임] 약해지는 정자, 환경이 중요 저출산 문제가 심각한 사회문제가 되면서 여러 대책이 나오고 있지만, 상대적으로 남.. 2019. 5. 29.
[갱년기 과다월경] 에스트로겐 우세를 줄이는 식이요법과 생활수칙 갱년기 과다월경 완화를 위한 생활수칙 지난번 포스팅에서 말씀드린 것처럼 갱년기가 가까워져 오면서 나타나는 과다월경은 호르몬 불균형, 그중에서도 '에스트로겐 우세'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나이가 들면 배란이 불규칙해지면서 배란된 난포가 형성하는 황체에서 분비하는 황체호르몬, 즉 프로게스테론 분비가 원활하지 않습니다. 에스트로겐에 대한 길항작용을 하는 항체호르몬이 부족하면 상대적으로 에스트로겐 우세를 일으켜 자궁내막이 지나치게 두꺼워 지고, 결과적으로 과다월경 위험이 증가하지요. [갱년기 과다월경] 너무 많은 생리량, 원인은 뭘까 [갱년기 과다월경] 너무 많은 생리량, 원인은 뭘까 갱년기 과다월경의 원인과 진단 과다월경의 기준 '나이가 들면 여성호르몬이 적어진다는데 생리량이 줄어야 하는 거 아닌가요?' .. 2019. 5. 22.
[갱년기 과다월경] 너무 많은 생리량, 원인은 뭘까 갱년기 과다월경의 원인과 진단 과다월경의 기준 '나이가 들면 여성호르몬이 적어진다는데 생리량이 줄어야 하는 거 아닌가요?' 그렇지 않습니다. 임상적으로 월경 기간이 7일 이상이거나 한 주기의 월경량이 80 ml 이상인 경우를 '과다월경(menorrhagia)'이라고 정의하는데요. 나이가 들수록 과다월경을 호소하는 경우가 늘어납니다. 월경을 하는 여성 열 중 하나가 어느 한 시점에 과다월경을 경험하는데요. 36-40세 여성에서는 그 비율이 24%에 이르고, 과다월경으로 치료받는 여성의 비율을 살펴보면 45-49세 여성 그룹에서 피크를 나타냅니다. 과다월경의 기준을 '월경량 80mL 이상'이라고 하지만 사실 객관적 측정은 어렵습니다. 연구에 의하면 월경량이 80mL 이하인 여성의 4분의 1 정도가 본인은 과.. 2019. 5. 17.
한쪽 난관유착, AMH 0.63, 시험관 실패 후 자연임신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19. 5. 17.
[난소기능 지표] AMH와 자연임신, 시험관임신, 유산율 난소기능 지표인 AMH와 FSH가 일치하지 않을 때 시험관시술 결과에 더 영향을 주는 것은? 일명 '난소나이 호르몬'이라고 알려진 항뮐러관호르몬(AMH)에 대한 관심이 높습니다. 태어날 때 가지고 있던 원시 난포 중에서 앞으로 사용 가능한 난포가 얼마나 남아있는지, 즉 '난소 예비력(ovarian reserve)'을 알려주는 지표이면서, 월경주기와 상관없이 아무 때나 혈액검사를 통해 간편히 알 수 있기 때문에 요즘은 난임 기본검사에 거의 포함되는 추세입니다. 그런데, AMH가 낮다고 임신도 잘 안 될까요? 지금까지 나온 여러 연구 결과를 종합한 현재 기준의 답은 '그렇지 않다'입니다. AMH는 난소를 과자극했을 때 몇 개의 난포가 자랄지, 난소 반응을 예측하는 수치로 의미가 있지 임신율과는 크게 관련이 .. 2019. 5. 6.
[임신 확률을 높이는 성생활] 효과적인 임신 시도 이렇게 임신 확률을 높이는 성생활 '피임을 하지 않고 규칙적인 성관계를 하는데도 일 년 이상 임신이 안되는 경우'를 난임이라고 정의합니다. 그러니까 주말부부로 지낸다던지, 어쩌다 한 번 성관계를 하는 경우라면 일 년이 지났어도 난임이라 할 수 없습니다. 임신을 위해서는 정자와 난자가 만나 수정란을 만드는 과정이 필수인데요. 임신 확률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객관적 논문 결과를 근거로 소개하겠습니다. 1. 정확한 타이밍: '생식의 창'이 열릴 때 임신이 가능한 시기를 '생식의 창(fertile window)'라고 부르는데 이 '창문(window)'이 열리는 시기를 잘 맞춰야 합니다. 보통 배란 전 5일과 배란일을 합친 6일간을 '임상적 생식의 창'이라고 부릅니다. 평소 닫혀있던 자궁경부가 열리면서 정자가 배란된 .. 2019. 4.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