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정자증2 폐쇄성 무정자증, 시험관 3회 실패 후 건강한 임신과 출산 폐쇄성 무정자증은 정자 생성은 되지만, 정자의 배출 통로가 막혀 정액검사 상에서는 무정자증으로 진단받게 됩니다. 무정자증이라고 하더라도 정자 생성은 되기때문에, 고환에서 정자를 추출한 후 시험관시술을 진행합니다. 임신을 위해서는 부득이 시험관시술이 필요한 경우이지만, 건강한 임신을 위해서는 준비가 필요합니다. 3회의 시험관 시술 실패 후 부부가 함께 한방치료를 통해 준비를 하고 재시도를 하여 임신에 성공, 출산한 임상례입니다. 36세 부부난임기간: 6년양방검사: 폐쇄성 무정자증 진단양방치료: 시험관시술 3회(수정란: 중급)월경력: 28일주기, 월경량 양호, 월경통 유동반증상: 여성-하복냉, 두통, 체중증가/ 남성-피로감치료기간: 여성-3개월/ 남성-1개월 36세 부부로 남자분이 폐쇄성 무정자증으로 진단받.. 2015. 1. 17. [남성불임] 뚱뚱한 남성들, 불임 위험 높아 [남성불임] 뚱뚱한 남성들, 불임 위험 높아 비만 남성의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정자수가 현저히 떨어지면서 남성불임의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뚱뚱한 남성들, 불임 가능성도 높다http://www.kormedi.com/news/article/1203101_2892.html 프랑스 파리의 암보로이즈 파레 대학병원 연구팀이 1만명의 남성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정상체중의 남성에 비해 비만 남성에서 정자수가 부족한 희소정자증, 생식능력의 정자가 전혀 없는 무정자증이 현저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희소정자증 무정자증 정상 체중 24%2.6% 과체중(BMI 25-29) 25.6%4.7% 비만(BMI 30 이상) 32.4%6.9% 연구팀의 세바스티엥 체르니코우 박사는 "증가된 체지방이 여성.. 2012. 4. 1.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