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MH검사2

AMH 0.76 난소기능저하, 기체 어혈증 치료하고 자연임신 AMH 0.76 난소기능저하, 기체 어혈증 치료하고 자연임신 36세 여성 결혼 2007년, 2010년부터 임신 시도월경력 : 28일 주기 규칙적, 생리전 두통 극심하고, 약간의 월경통 지속, 생리혈에 덩어리 많고 색이 탁함.임신력 : 2011년 클로미펜 배란 유도 후 임신되었다가 자연유산동반증 : 월경전 두통심함. 수족냉증. 피부건조. 만성 소화불량, 만성 목 어깨 통증검사결과 : AMH 0.76 정도로 난소기능 저하양방치료 : 클로미펜 배란유도 다수, 인공수정 3회 실패 치료경과 :2012년 10월 초진내원2012년 10월-2013년 1월까지 탕약 복약, 침구치료2013년 1월 -2013년 3월까지 침구치료만2013년 3월 인공수정 3차 시도 실패2013년 3월-4월 1개월간 탕약 처방, 복약 직후 자.. 2014. 3. 18.
난소나이? AMH 검사, 신허증 난소나이? AMH 검사, 신허증 소위 난소나이 측정검사로 알려져 있는 AMH 검사, 전에는 흔히 하던 검사가 아닌데, 요즘 난임 검사에 많이 포함되는 것 같습니다.AMH는 항뮐러관호르몬(AMH·Anti-Mullerian Hormone) 수치를 이야기 하는데, 난소의 예비력을 확인하는 것과 연관이 있지요.최근 이에 대해서 AMH 수치의 감소경향을 파악해서 폐경나이를 알아볼 수 있다는 연구결과도 발표되고..(기사 : http://www.kormedi.com/news/article/1204328_2892.html)딸의 AMH 수치가 엄마의 폐경나이와 상관관계가 있기 때문에, 엄마가 빠른 폐경을 겪은 경우 딸도 난소 기능이 좋지 않을 수도 있고, 임신 능력에 영향을 줄 수도 있다는 연구 결과에 대한 기사도 났었.. 2012. 11.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