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여성한의원163

수정률로 시험관 성공 가능성 예측하기 시험관 시술에서 수정률 높을수록 누적 생존아 출생률 높아 시험관 시술의 목표는 다태아 임신을 가급적 줄이면서 건강한 아기를 출산하는 것입니다. 성공 가능성 예측에 도움이 되는 인자를 찾기 위한 여러 연구가 진행되었는데요. 현재까지 밝혀진 가장 강력한 인자는 '여성의 나이'입니다. https://wombstory.tistory.com/1192 38세 이상 고령임신, 객관적 시험관 성공률은? 38세 이상 고령임신, 객관적 시험관 성공률은 시험관시술은 원래 나팔관 이상이나 정자 이상 등 자연임신이 어려운 난임 치료의 목적으로 시작되었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원인불명난임, 특히 고 wombstory.tistory.com 또한 난소의 반응, 즉 채취 난자 수로 임신 가능성을 예측하기도 합니다. https://wom.. 2021. 5. 10.
장 미생물과 여성 건강 대사와 면역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장 미생물, 기분까지 좌우 사람의 위장관에는 100조 이상의 미생물이 살고 있습니다. 인체 세포 수(약 10조)의 열 배가 넘으니 어마어마한 숫자지요. 음식물을 소화 시키고 영양을 흡수할 뿐 아니라 면역 작용, 대사 작용 등 우리 몸을 운용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합니다. 사람의 얼굴이 모두 다르듯 장 미생물의 구성도 다르고, 어느 한 가지 정형화된 건강 패턴이 있다기보다는 다양한 미생물들이 생태계처럼 균형을 이루었을 때 '건강하다' 말합니다. 그렇다면 고유한 장 미생물 구성은 어떻게 결정될까요. 장 미생물의 다양성과 구성은 태어나면서 만 세 살까지 형성되고, 이후 큰 변화 없이 안정되게 유지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2019년 발표된 논문에서는 3세까지의 장 미생물 .. 2021. 4. 14.
[시험관 임신] 성공률을 높이는 냉동란 이식 적기는? 냉동란 이식 시기에 따른 성공률 비교 연구 지난 10년간 냉동란 이식 비율은 두 배 가까이 증가하여 미국에서는 전체 시험관 시술의 25%가량을 냉동란으로 실시합니다. 수정란 냉동/해동 기술 발달과 함께 신선란을 이식하지 않고 모두 냉동했다가 다음 주기에 이식하는 'freeze-all strategy'를 실시하면서 냉동란 이식 비율은 더욱 높아졌는데요. 과배란 유도 과정에서 과도한 에스트로겐, 프로게스테론 조기 상승으로 자궁내막 수용성이 떨어져 이식을 미루는 전략적 선택을 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얼마나 미뤄야 호르몬 주기가 배란 유도 이전으로 회복되어 착상에 적합한 상태가 될까요. 바로 다음 주기? 아니면 한 달 쉬었다가 그다음 주기? 최근 발표된 연구에서는 난자 채취 후 모두 냉동하여 바로 다음 주기에 .. 2021. 4. 7.
한국 여성이 가장 많이 호소하는 갱년기 증상은 한국 여성 생식주기에 따른 불편감 빈도와 정도 연구 여성의 완경 연령은 48-52세 사이에서 거의 고정된 반면 평균 수명은 계속 길어지고 있습니다. 한국 여성의 기대수명은 86.3세(2019년 기준)로 완경 후에도 35년이 넘는 시간이 기다리고 있는데요. 따라서 갱년기와 완경 이후의 건강 관리가 중년 이후 삶의 질에 막대한 영향을 줍니다. 흔히 갱년기 증상이라고 하면 얼굴이 붉어지고 땀이 났다 식었다 하는 등의 혈관운동 증상을 떠올리지만 '머리부터 발끝까지' 갱년기 여성이 호소하는 증상은 매우 다양합니다. 서구인들에게는 혈관운동 증상이 심하고 흔하지만, 동양 여성들은 그보다 피로감, 통증 등을 호소하는 빈도가 높다는 여러 연구 결과가 있는데요. 각각 다른 유전과 환경, 사회문화적 요인의 결과입니다. 그렇.. 2021. 4. 3.
움여성한의원 웹매거진 93호 움여성한의원에서 발행하는 아흔세 번째 웹매거진 가 나왔습니다. 다양한 임신 정보와 읽을거리, 여성 건강에 관한 이야기들을 소개합니다. https://online.pubhtml5.com/mfij/xwuk/ 움이야기 No.93 움이야기 No.93 online.pubhtml5.com 2021. 3. 31.
다낭성난소증후군 월경불순, 인슐린 저항성 낮춰야 다낭성난소증후군, 희발월경/무월경 여성에서 인슐린 저항성 특히 높아 난소에서 여러 개의 난포가 자라지만 성숙 난포에 이르지 못하면서 배란이 잘 안 되는 다낭성난소증후군은 월경이 불규칙한 여성들이 가장 흔하게 듣는 진단명입니다. 2003년 로테르담 기준을 따라 진단하며, 영상 기술의 발달로 12개 이상의 난포(2-9mm)를 20개로 올려야 한다는 의견이 있습니다. 다낭성난소증후군 진단(로테르담 기준) 1) 희발월경 (35일 이상주기) 또는 무월경 (90일 이상 무월경) 2) 여드름, 조모증 등 임상적으로 나타나는, 또는 생화학적으로 나타나는 고안드로겐증 3) 다낭성난소 (2-9mm 난포 12개 이상) 이 세 가지 중 두 가지 이상에 해당될 때 다낭성난소증후군 진단 그런데 같은 '다낭성난소증후군'이라고 하더.. 2021. 3. 26.
호르몬제 피임과 AMH 저하 상관 관계 연구 경구피임약, 피임주사, 삽입형 피임 등 호르몬제 피임 동안 AMH 25.2% 감소 항뮬러관 호르몬(AMH)은 월경 주기 어느 때 검사하든 비교적 일정하기 때문에 난소 기능을 살피는 대표적 검사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인구집단별 연구가 진행되면서 연령별 정상 범위가 발표되어 있기는 한데요. 여러 인자가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해석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https://wombstory.tistory.com/1355 [난소 나이] 한국 여성 난소예비력(AMH) 기준치 나이 들면서 감소하는 AMH, 변동 폭을 살펴야 '난소 나이'를 알려준다는 항뮐러관호르몬(AMH) 검사는 난임 여성뿐 아니라 요즘은 결혼과 임신을 미루고 있는 비혼 여성의 건강 검진 항목에도 포함 wombstory.tistory.com 최근 피.. 2021. 3. 22.
고령임신에서 정자의 질 특히 중요 40대 난자의 정자 DNA 복구 활동 저하, 정자 DNA 분절률 높을 때 임신율 낮고 유산율 높아 건강한 임신을 위해서는 건강한 난자와 건강한 정자의 결합으로 건강한 수정란을 만들어야 합니다. 그런데 여기서 '건강한 정자'란 WHO 기준의 정액검사 정상 정자만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WHO의 정상 기준은 '일 년 안에 임신한 여성의 남성 배우자 정자 수, 활동성, 모양을 통계 처리한 하위 5%'로 정해졌고, 여러 연구에서는 여러 항목에서 이상이 나오지 않는 한 이 기준의 정상 유무로 임신을 예측하기는 어렵다고 말합니다. https://wombstory.tistory.com/1307 정액검사 결과로 임신 가능성 예측하기 [정액검사] WHO 정상정자 기준 vs. 총활동정자수, 효과적인 임신 가능성 예측 기준.. 2021. 3. 5.
난소력 예비력 저하와 수정란 염색체 이상 [논문소개] 병리적/생리적 난소예비력 저하 가설 임신을 위해서는 배란-수정-착상에 이르는 전 과정이 중요하지만, 전문가들은 그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한 가지로 '건강한 난자'를 꼽습니다. 바로 '질 좋은 난자'를 의미하지요. 그렇다면 '난소 나이'를 알 수 있다는 '난소 예비력(ovarian reserve)' 검사로 난자의 질을 예측할 수 있을까요? 2018년 발표된 논문에서는 난소예비력 저하는 난자 양의 감소를 의미할 뿐 질의 감소는 아니라고 결론 내리고 있습니다. https://wombstory.tistory.com/1178 난소 나이 많다고 질까지 나쁘진 않다 난소 나이 많다고 질까지 나쁘진 않다 흔히 '난소 나이'를 알려준다는 항뮬러관 호르몬(Amh)은 정확하게는 앞으로 사용 가능한 난포의 수, 즉.. 2021. 2.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