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임신과 생활 Tip223

[칼럼] 조현주의 건강임신 노하우 "난임극복 식이요법" 착한 지방 먹기 [출처] [임상노트] 양쪽 난관수종, 난관유착 극복하고 자연임신살빼기가 만연하는 시대가 되면서 ‘지방’은 천덕꾸러기가 되었습니다. 그래서 건강을 위해서는 지방질이 많은 음식은 먹지 않아야 하는 것처럼 되어 있지요. 하지만 지방도 나쁜 지방과 좋은 지방이 있습니다. 임신을 위해서는 좋은 지방을 섭취해야합니다. 체내에서 성호르몬이 합성되는데 그 원료가 바로 콜레스테롤입니다. 또한 나쁜 지방의 과다는 혈액을 탁하게 만들고 체지방율을 높여 대사증후군을 만드는 것과도 큰 관련이 있지요. 지방은 포화/불포화 지방이 있고, 동물성 지방은 포화지방, 식물성 지방은 불포화 지방이라는 대략의 분류에 대해서는 알고 계실 것입니다. 그런데 이 두 가지 말고 더 못된 지방이 있는데, 바로 ‘트렌스지방’입니다. .. 2013. 8. 9.
산후 조리약 언제 먹는 게 좋을까? 산후 조리를 잘 해야 한다는 생각은 많이들 하시지요? 산후조리원이 갈수록 고급화되고 산후도우미 제도도 10여년 전에 비하면 굉장히 발전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산후 조리 과정’에서 한번쯤 고민해 보는 부분이 ‘산후조리 한약’일 것입니다. 진료실에서 산후 조리약을 언제 먹는 것이 효과적일지 문의하시는 분들이 많아 글을 써봅니다. 글 말미에 산후 조리약 관련 다른 글도 함께 참고해 주세요. 출산 직후, 빨리 시작하는 것이 최선 임신으로 커진 자궁이 원상 복귀되고, 출산으로 생긴 어혈이 제거되고, 기본적인 신진대사가 임신 전의 상태와 비슷하게 돌아가게 만드는 과정을 ‘초기 산후 회복 과정’ 으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이 시기는 출산 직후부터 약 2개월 내의 시기입니다.이에 대한 치료는 빠를수록 좋습니다. 자궁.. 2013. 7. 16.
잦은 소변, 잦은 방광염 난임과 연관되기도 난임치료를 위해 내원한 36세 A씨는 약 6개월 전부터 심해진 ‘소변을 자주(30분마다) 보는 증상’을 함께 호소하셨습니다. 양방병원에서 과민성 방광증이라고 진단을 받았다고 합니다. 제가 난임으로 내원하신 분들에게 문진을 할 때 꼭 확인 하는 것이 소변의 문제입니다. 소변을 자주 보는 것이 임신이 잘 되지 않는 것과 연관성이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방광의 문제인데 자궁 난소와 무슨 연관성이 있나? 라고 의아해 하실 수 있겠습니다만, 한의학에서는 ‘신허증’이라고 진단되는 경우, 위와 같은 소변의 문제와 난소의 기능저하, 자궁의 기운의 허약 등이 함께 나타날 수 있다고 설명합니다. 서양의학에서 이야기하는 신장의 이상과 한의학에서 이야기하는 신허증은 좀 다릅니다. 한의학에서는 5개의 장(간,심,비,폐,신.. 2013. 7. 12.
아랫배가 차면 왜 임신이 잘 안 될까? 33세 K씨는 결혼 3년차. 초음파, 호르몬, 나팔관검사, 남편의 정액검사까지 다 정상이라고 하는데, 임신이 안됩니다. 생리주기도 28일로 일정하고, 배란초음파를 보니 배란도 잘 된다고 합니다. 다만 K씨는 평소 소화가 잘 안되고, 손발이 찬 편이고, 생리통이 심하면서 생리혈에 덩어리가 많이 섞여 나오는 증상이 있었습니다. K씨의 초진시 적외선체열검사를 해보니, 수족냉증과 복부의 냉증이 유난히 심한 상태였습니다. 특히 손끝으로 갈수록 온도가 떨어지고, 소화기에 해당되는 부위와 아랫배 부위의 체온이 많이 떨어졌습니다.(검정-보라-파랑-연두-노랑-주황-빨강 순으로 고온표시) 수족냉증, 하복냉증이 의미하는 것은 무엇일가요? 차가운 부위로 혈액이 충분히 순환하지 못한다는 뜻이고, 혈액을 통해 이루어지는 여러 가.. 2013. 7. 12.
임신 중 화학물질 노출 피하기, 세대를 넘어서는 건강관리 얼마전 영국의 산부인과 전문가 집단인 Royal College of Obstetricians and Gynaecologists에서는 임신 중 화학물질 노출에 대한 위험을 경고하는 가이드라인을 발표했습니다. ('Chemical Exposures During Pregnancy: Dealing with Potential, but Unproven, Risks to Child Health') 제목에서 말하는 것처럼 아직 증명되지는 않았지만 잠재적으로 위험한 화학물질, 환경호르몬에 어떻게 대처해야하는지에 대한 전문가들의 의견을 모은 보고서입니다. 이 보고서에서는 산업화 이후, 거의 공기처럼 어디나 존재하고 피하기 어려운 화학물질들, 그러나 건강에, 특히 임신 중 노출로 태아의 평생건강에 미치는 악영향들을 염려하면서.. 2013. 7. 10.
모유수유 12개월 이상, 알레르기 비염 예방 효과 밝혀져 모유수유가 좋다는 증거가 또 하나 나왔네요. 오늘 관련 기사가 나와 소개합니다. 알레르기비염으로 진단받은 1,061명의 아동 중에 12개월 이상 모유수유를 한 아동은 24.2%(184명)으로 나타나 우리나라 일반아동(general population)의 12개월 이상 모유수유 비율인 39.5%보다 크게 낮은 것으로 조사되어 12개월 이상의 모유수유가 알레르기비염 발생을 예방하는 중요한 요인임을 입증하였습니다. 이 연구는 전국 14개 병원 이비인후과, 질병관리본부 공동 대규모 조사에 의한 결과라고 합니다. 동물은 종 특이성이 있어서, 우유는 소에게 가장 적합한 면역물질을 함유하고 있고, 사람은 사람에게 가장 적합한 면역 물질을 모유에 포함하기 때문에, 그 구성 성분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모유에는 특별히 면.. 2013. 7. 3.
호두, 정자의 질 향상시켜 떡볶이, 닭갈비, 팥빙수, 김치찜... 저녁마다 딸들과 함께 노래처럼 부르는 한국음식이랍니다.영국에 온지도 일년 가까이 되면서 제일 그리워지는 것이 바로 고향의 맛이지요.영국에 와서 느낀 것중 하나는 '참 영국사람들은 음식에 관심없다'는 것이지요.영국 음식이라고는 '피쉬앤칩스 (아, 물론 저는 참 좋아합니다^^)' 뿐이고 관광지라고 가도 우리 같으면 맛난 음식점이 제일 먼저 눈에 띌텐데 여기는 도시락을 안싸가지고 가면 굶기쉽상이지요. 영국의 대체의학 클리닉에서 현장연구를 할 때도 문진과정에서 대부분의 환자들이 아침을 굶거나 커피한잔이라고 해서 많이 놀랐습니다. 그 곳에 근무하는 영양치료사는 영국인들의 좋지않은 식습관이 건강에 미치는 나쁜 영향을 걱정하면서 몸에 좋은 healing food로 '콩나물', .. 2013. 6. 28.
침 치료로 출산 준비 5월 말부터 지난 주까지, 약 한달간 영국의 한 'natural fertility clinic'에서 논문을 위한 현장연구를 진행했습니다.영국의 대체의학은 우리나라의 한의학처럼 제도권 안에 단일의학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제도권 밖에 있는 다양한 의학들을 말합니다.제가 연구를 진행한 클리닉은 난임, 습관성유산 치료를 전문으로 하는 곳으로, 침구사, 한약사, 카운셀러, 영양치료사, 최면치료사 등이 함께 협진을 하고 있었습니다. 연구의 한 방법으로 치료과정을 관찰하면서 눈에 띄었던 점은 임신 중 침치료를 받는 환자들의 비율이 매우 높다는 점입니다.서양인들에게 침은 어찌보면 동양에서 온 낯선 의학일텐데 침치료에 대한 신뢰도가 매우 높았고 임신중 침치료도 별 거부감없이 편안하게 받고 있는 모습이 어찌보면 침의 .. 2013. 6. 24.
배아이식 후 뜸뜨기, 배란기 이후 뜸뜨기 가능한가요? 배아이식 후 뜸뜨기, 배란기 이후 뜸뜨기 가능한가요? 임신을 돕기 위해 배를 따뜻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은 많은 분들이 알고 있습니다. 전에는 한의사들만 이런 얘기를 했었는데, 요즘은 산부인과 의사 선생님들도 짧은 미니스커트가 안 좋다, 아랫배를 차게 하면 안 좋다는 이야기를 하시는 걸 가끔 봅니다.평소 배를 따뜻하게 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는 데는 크게 이견이 없는 것 같습니다.임신이 잘 되려면 자궁이 위치한 하복부 쪽으로 혈류순환을 촉진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뜸이나 온찜질같은 국소적 온열자극이 도움이 됩니다. 그런데 최근 진료실에서 자주 받는 질문이 있습니다.바로 수정란은 열에 약하다는데, 배란기 이후 임신시도 한 뒤에 뜸뜨기 해도 되나요?시험관 하고 있는데, 배아이식 이후 뜸뜨는 것 .. 2013. 5.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