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논문소개210

핀란드 유산 후 처치, 수술은 열 중 하나만 핀란드 유산율과 유산 후 처치의 변화: 1998-2016 초음파로 확인한 임상적 임신의 8-15%가 유산되고 전체 임신의 약 30%가 유산으로 종결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대부분 임신 초기에 발생하는 자연유산은 임신의 가장 흔한 합병증으로 적절한 처치와 회복이 중요합니다. 핀란드 연구진이 1998년부터 2016년까지 핀란드의 공공병원에서 자연유산을 경험한 여성 123,381명의 진료 기록을 모두 조사하여 유산율과 유산 후 처치의 변화 등을 살피는 대규모 연구 결과를 발표하였습니다. 1998년에 11.2%였던 유산율은 2016년 8.3%로 감소하였으며, 특히 40세 이상의 유산율이 26.5%에서 16.4%로 뚜렷하게 감소하였습니다. 계류유산(missed abortion)이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 2019. 12. 27.
지중해 식단, 수정란 발달과 질 향상에 도움 6주간의 '지중해' 식단이 시험관시술에서 수정란 발달에 미치는 영향 연구 임신 전 남녀의 영양 상태가 좋아야 건강한 임신을 하고 태어난 아이가 자라면서도 건강하다는 많은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지중해 식단'에 대한 관심이 높은데요. 여러 연구를 통해 난임 부부의 임신을 돕는 효과가 뚜렷하게 증명되어 있습니다. 시험관시술 6개월 전부터 지중해식 식단을 잘 실천한 여성의 임신 성공률이 그렇지 않은 여성에 비해 65-68% 높다는 연구 결과가 있고요. 지중해 식단으로 임신율 65-68% 증가 지중해 식단이 임신 성공률 65-68% 증가 지중해 식단이 임신 성공률 65-68% 증가 임신을 준비하면서, 특히 시험관시술을 앞두고 '어떤 음식을 먹어야 할까요?' 묻는 경우가 많습니다. 임신에 도움이 된다.. 2019. 12. 23.
원인불명 난임 치료, 미국 생식의학회 가이드라인 원인불명 난임의 근거 중심 치료: 미국 생식의학회 가이드라인 난임은 '피임을 하지 않고 임신 시도를 하였는데 1년 이상 임신이 되지 않는 상태'를 말합니다. 일 년 정도 열심히 시도를 해보고 임신이 안 되면 원인을 찾기 위한 난임검사를 하는데요. 검사상 특별한 이상이 없는 '원인불명 난임'이 높은 비율을 차지합니다. 원인불명 난임에는 보통 적어도 한쪽 나팔관이 뚫려있고 배란이 되며 정액 검사 상 활동 정자 수가 적절한 경우가 포함됩니다. 원인을 찾지 못했다고 하더라도 임신을 돕기 위해 배란 유도, 인공수정, 시험관시술 등 여러 치료가 이루어지는데요. 과연 얼마나 임신에 도움이 되는지, 기존 연구들을 종합, 분석하여 미국 생식의학협회에서 원인불명 난임 치료 가이드라인을 발표하였습니다. 1968년부터 201.. 2019. 12. 18.
공복 운동이 체지방 연소에 효과적 비슷한 강도의 운동을 비슷한 양으로 해도 운동 효과는 사람마다 다릅니다. 체질이나 식단, 생활 습관 등 여러 요인이 운동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데요. 영국 Bath 대학 연구팀이 공복 운동과 식사 후 운동의 효과 차이를 비교하는 연구를 실시한 결과, 공복 운동이 지방 연소 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관련 기사: ). Eating After You Exercise May Provide Added Fat-Burning Benefits Cyclists who had pedaled on an empty stomach incinerated about twice as much fat as those who had consumed a shake first. www.nytimes.com 활동량이 적은 과체중 남성.. 2019. 11. 28.
내 몸도 건강하고 지구도 건강한 식단 음식이 건강과 환경에 미치는 영향 우리는 매일매일 음식을 먹고 그 에너지로 살아갑니다. 생명을 유지하고 건강한 일상을 살아가는 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도 음식이죠. 아프고 나서 치료하는 것보다는 건강하게 살면서 질병을 예방하는 것이 더 중요하고, 그래서 음식과 질병의 관련성을 살피는 많은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또한, 음식의 생산 과정에는 많은 환경 자원이 필요합니다. 토지와 물이 필요하고요. 경작 과정에서 온실가스 배출, 산성화, 부영양화 등 환경오염이 발생하기도 하지요. 그런데, 우리가 살아가는 지구, 대기 환경 오염은 다시 인간의 건강을 위협합니다. 우리 몸도 건강하고 지구 환경도 지킬 수 있는 식단은 없을까요? 최근 영국 옥스퍼드 대학과 미국 미네소타 대학 연구팀이 '음식이 건강과 환경에 .. 2019. 11. 20.
원인불명 반복 착상 실패, 향후 생존아 출산 가능성은? [논문소개] 39세 미만 원인불명 반복 착상 실패 여성, 5.5년 이내 49%가 출산 착상은 임신의 가장 중요한 마지막 관문입니다. 시험관시술 과정에서 배란, 수정까지는 첨단 의료 기술이 도와주지만 착상은 스스로 해야 합니다. 시험관시술의 실패도 대부분 착상 실패와 관련이 있고요. 최근에는 시험관시술 과정에서 착상 실패를 반복하는 경우를 '반복 착상 실패(recurrent implantation failure: RIF)'라고 규정합니다. 원인 파악을 위한 검사를 진행하고 치료를 추가하기도 하지요. 하지만 아직까지 뚜렷한 치료법을 찾지는 못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면역치료를 해보고 있기는 하지만 효과는 미지수입니다. 반복 착상 실패, 면역치료 효과는? [시험관아기] 반복 착상 실패, 면역치료 효과는? [시험.. 2019. 11. 7.
[남성난임 식이요법] 정자의 질을 향상시키는 식단, DASH 남성난임 식이요법 야채/과일/견과류 충분히, 단순 탄수화물과 포화지방 줄이는 식단으로 총 활동 정자 수 증가 건강한 임신은 건강한 난자와 정자의 결합에서 출발합니다. 그런데 '정자의 위기'를 이야기할 만큼 전 세계 남성의 정자 수, 정자의 질이 나빠지고 있다는 연구 보고가 계속 나오고 있습니다. 정액 검사 상 이상을 보이는 난임 남성 수도 급격히 늘고 있고요. 정확한 원인은 알 수 없지만 줄어드는 활동량, 오래 앉아있는 생활 양식, 비만, 내분비교란물질, 음식 등이 주된 역할을 할 것으로 추론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자 건강에 도움이 되는 생활 방식, 특히 음식에 대한 관심이 높습니다. 지금까지 많은 연구가 개별 영양소가 정자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초점을 맞추었고요. 이를 총정리한 하버드 연구에서 정자 .. 2019. 10. 30.
자궁외임신, 다음 임신의 예후는 자궁외임신 후 2년 누적 자궁내임신 확률 67-76%, 임신 후에도 조산, 저체중아, 태반조기박리, 전치태반 등 주의해야 정자와 난자가 나팔관에서 만나 수정한 후 자궁으로 이동, 자궁 내막에 착상해야 하는데 자궁외임신은 수정란이 자궁 밖에 자리를 잡는 비정상 임신으로 전체 임신의 약 2% 정도를 차지합니다. 자궁외임신은 염증 등으로 나팔관의 소통상태가 좋지 못하거나 골반염, 자궁내막증, 수술 등으로 골반강내 유착이 있을 때 자주 발생하며, 나이가 많은 난임 여성에서 발병 위험이 높은 편입니다. 임신 초기 복통, 출혈을 동반하거나 또는 무증상으로 임신 중 상승하는 hCG 호르몬 수치는 높지만 자궁내에서 태낭을 확인하지 못하는 경우 자궁외임신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이전에는 난관절제술이나 난관소통술 등 외과.. 2019. 10. 28.
임신을 위해 콩 먹어야 하나, 말아야 하나 콩과 임신: 식물성에스트로겐과 생식력 논란 콩에는 이소플라본(isoflavones)이라고 하는 '식물성 에스트로겐'이 매우 풍부하게 들어있습니다. 식물성이라고 하더라도 '에스트로겐'이라고 하니 혹시 자궁근종, 자궁내막증, 유방암 등 에스트로겐 의존성 질환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우려가 있습니다. 하지만 여러 연구는 유방암과 기타 암, 근종, 갱년기 증후군, 심혈관 질환, 염증, 대사 질환, 비만 등이 오히려 감소한다는 결과를 보여주며 콩 섭취가 건강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를 증명하고 있습니다. 자궁근종에 콩은 좋을까, 나쁠까 자궁근종에 콩은 좋을까, 나쁠까 자궁근종에 콩은 좋을까, 나쁠까 자궁근종, 난소낭종, 자궁내막증 등 여성호르몬과 관련 있는 종양이 있다면 식물성 에스트로겐(phytoe.. 2019. 10.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