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궁외임신, 다음 임신의 예후는
자궁외임신 후 2년 누적 자궁내임신 확률 67-76%, 임신 후에도 조산, 저체중아, 태반조기박리, 전치태반 등 주의해야 정자와 난자가 나팔관에서 만나 수정한 후 자궁으로 이동, 자궁 내막에 착상해야 하는데 자궁외임신은 수정란이 자궁 밖에 자리를 잡는 비정상 임신으로 전체 임신의 약 2% 정도를 차지합니다. 자궁외임신은 염증 등으로 나팔관의 소통상태가 좋지 못하거나 골반염, 자궁내막증, 수술 등으로 골반강내 유착이 있을 때 자주 발생하며, 나이가 많은 난임 여성에서 발병 위험이 높은 편입니다. 임신 초기 복통, 출혈을 동반하거나 또는 무증상으로 임신 중 상승하는 hCG 호르몬 수치는 높지만 자궁내에서 태낭을 확인하지 못하는 경우 자궁외임신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이전에는 난관절제술이나 난관소통술 등 외과..
2019. 10. 28.
임신을 위해 콩 먹어야 하나, 말아야 하나
콩과 임신: 식물성에스트로겐과 생식력 논란 콩에는 이소플라본(isoflavones)이라고 하는 '식물성 에스트로겐'이 매우 풍부하게 들어있습니다. 식물성이라고 하더라도 '에스트로겐'이라고 하니 혹시 자궁근종, 자궁내막증, 유방암 등 에스트로겐 의존성 질환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우려가 있습니다. 하지만 여러 연구는 유방암과 기타 암, 근종, 갱년기 증후군, 심혈관 질환, 염증, 대사 질환, 비만 등이 오히려 감소한다는 결과를 보여주며 콩 섭취가 건강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를 증명하고 있습니다. 자궁근종에 콩은 좋을까, 나쁠까 자궁근종에 콩은 좋을까, 나쁠까 자궁근종에 콩은 좋을까, 나쁠까 자궁근종, 난소낭종, 자궁내막증 등 여성호르몬과 관련 있는 종양이 있다면 식물성 에스트로겐(phytoe..
2019. 10.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