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소개210 [갱년기/완경] 정상 체중이라도 복부비만, 심장병 위험 높아 갱년기/완경 복부비만과 심장병 위험, 지방의 양보다 분포가 더 중요 성별에 따라 비만형을 구분할 때, 남성형 비만은 복부에 체지방이 많이 쌓이는 '사과 형(apple shaped)'이라고 부르고, 여성형 비만은 엉덩이에 체지방이 많이 분포하는 '서양배 형(pear shaped)'이라고 표현합니다. 그런데 갱년기를 거쳐 완경 후가 되면 여성 중에도 복부비만을 동반한 '사과 형' 체형이 증가합니다. 호르몬 변동으로 인한 신진 대사 변화 때문이지요. 또한 남성에 비해 발병률이 낮았던 심혈관계 질환도 급격하게 증가합니다. 정상 체질량 지수(BMI 18.5-25kg/㎡)라고 하더라도 복부에 지방이 많이 몰려 있는 경우 심장 질환, 뇌졸중 발생 위험이 뚜렷하게 높다는 연구 결과가 최근 에 발표되어 소개합니다. 정상.. 2019. 7. 5. 자궁내막 폴립(용종), 꼭 제거해야 하나? 자궁내막 폴립(용종)의 증상 및 치료, 악성 위험, 재발률 자궁내막 폴립은 자궁내막이 부분적으로 웃자라(overgrowth) 돌기처럼 튀어나와 있는 상태를 말합니다. 폴립 때문에 나타나는 증상으로는 월경이 아닌 비정상 자궁출혈이 많지만, 가장 많은 비율은 '무증상'입니다. 아무 증상이 없는 자궁내막 폴립이 많기 때문에 얼마나 많은 여성에게 자궁내막 폴립이 발생하는지는 알 수 없으나 생식 연령 여성 7.8-34.9%에서 발병하고, 난임 여성에서 약 32% 정도로 자궁내막 폴립 비율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임신과 자궁내막 폴립의 관련성에 대해서는 아래 포스팅을 참고하시고요(폴립 제거와 임신율 변화, 재발률, 폴립 제거 후 시험관시술 등). 자궁내막 폴립(용종)과 난임 자궁내막 폴립(용종)과 난임 자.. 2019. 6. 13. 정자 DNA 분절의 원인과 생활 수칙 정자 DNA 분절의 원인과 교정 가능한 생활 인자 정자의 DNA 분절(fragmentation) 비율이 높으면 건강한 수정란 발달에 방해가 되고 유산율이 뚜렷하게 높다는 연구 결과를 앞에서 소개하였습니다. 정자 DNA 분절, 수정란 발달 저하되고 유산 증가 정자 DNA 분절, 수정란 발달 저하되고 유산 증가 정액 검사 이상 없어도 정자의 질 중요, DNA 분절 많으면 유산 증가 건강한 임신을 위해서는 정자와 난자의 건강이 필수 조건입니다. 건강한 정자와 난자가 만났을 때 건강한 수정란을 만들 수 있고, 건강한 수정.. wombstory.tistory.com 그런데 정자 DNA 분절은 왜 생기는 걸까요? 가장 중요한 원인은 산화 스트레스(oxidative stress)입니다. 세포호흡 과정에서 부산물로 나.. 2019. 6. 5. 정자 DNA 분절, 수정란 발달 저하되고 유산 증가 정액 검사 이상 없어도 정자의 질 중요, DNA 분절 많으면 유산 증가 건강한 임신을 위해서는 정자와 난자의 건강이 필수 조건입니다. 건강한 정자와 난자가 만났을 때 건강한 수정란을 만들 수 있고, 건강한 수정란이 분화, 착상, 발달하면서 장차 태아가 되는 거니까요. 남성 난임을 진단하는 대표적인 검사는 정액 검사입니다. 하지만 정액 검사상 이상이 없다고 해서 '정자가 건강하다'고 장담할 수는 없습니다. WHO의 정상 정자 기준치는 시도하고 일 년 안에 임신한 부부의 정액 검사 결과 하위 5%를 기준으로 삼은 '커트라인'이며, 정액검사 상 아무 이상이 없는 남성에서도 정자의 DNA 분절 등 질 저하가 자주 나타나기 때문이지요. 난임일 때는 그나마 정액검사라도 해보지만 유산에서는 '그래도 임신은 되었으니까.. 2019. 6. 3. 스위스 젊은 남성 62%가 WHO 정액기준 미달 스위스 젊은 남성 62%가 WHO 정액기준 미달 '약해지는 정자'에 대한 우려는 이십여년 전 덴마크 연구진이 전 세계의 남성의 정자 수가 50년 동안 절반으로 감소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하면서 시작되어 이후 여러 후속 연구 결과가 이를 뒷받침하고 있습니다. 감소하는 남성 생식력 [남성난임] 감소하는 남성생식력 에서는 지난 주 'the European Society of Human Reproduction and Embryology' 컨퍼런스에서 하루종일 진행된 '남성의 생식력저하'에 관한 토론을 기사로 전하고 있습니다. wombstory.tistory.com 약해지는 정자 환경이 중요 [남성난임] 약해지는 정자, 환경이 중요 저출산 문제가 심각한 사회문제가 되면서 여러 대책이 나오고 있지만, 상대적으로 남.. 2019. 5. 29. 보조생식술로 태어난 아이들의 건강: ②장기 건강 보조생식술로 태어난 아이들의 건강: ②장기 건강 보조생식술을 거쳐 임신, 출산한 아이들의 단기 건강에 이어 논문을 바탕으로 장기 건강은 어떠한지 살펴보겠습니다. ①신경발달 건강(Neurodevelopmental health) 보조생식술로 태어난 아이와 자연임신으로 태어난 아이의 정신 운동, 언어 발달, 인지 발달, 주의력 결핍 과다행동 장애(ADHD), 자폐증, 뇌성마비 등 신경발달 건강을 살피는 여러 연구의 결과가 일치하지 않으며, 보조생식술 아이의 위험이 증가한다는 결과도 단태아로 제한하게 되면 자연 임신 아이와 별 차이가 없었습니다. ②심혈관 기능과 대사(cardiovascular function and metabolism) 2013년 체계적 고찰에서는 보조생식술로 태어난 아이의 혈압, 공복혈당, .. 2019. 4. 14. 보조생식술로 태어난 아이들의 건강: ①단기 건강 보조생식술로 태어난 아이들의 건강: ①단기 건강 보조생식술로 태어난 아이들의 건강이 중요하다는 이전 포스팅에 이어 구체적으로 '단기 건강 비교 연구'를 살펴보겠습니다. 보조생식술로 태어난 아이들의 단기 건강, 즉 주산기 건강(perinatal outcome)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시험관시술/미세수정 출산 아이와 자연임신 아이 비교 시험관시술(IVF) 또는 미세수정(ICSI)으로 태어난 단태아와 자연임신으로 태어난 단태아의 주산기 건강을 비교한 여러 연구의 결과는 대부분 일치합니다. 시험관시술/미세수정으로 태어난 단태아가 자연임신으로 태어난 단태아에 비해 주산기 건강이 좋지 않았습니다. ①조산율 높다(1.41-2.04 배) ②저체중 비율 높다(1.6-1.7배) ③주수보다 작게 태어나는 비율 높다(.. 2019. 4. 8. 보조생식술로 태어난 아이들의 건강 보조생식술로 태어난 아이들의 건강 시험관시술로 대표되는 보조생식술로 임신하고 출산한 아이가 전 세계적으로 700만 명을 넘습니다. 유럽에서는 전체 임신의 약 6% 정도가 보조생식술을 통한 임신이고 우리나라에서도 시험관시술 임신 비율이 점차 늘고 있습니다. '임신과 출산'이라는 목표를 넘어 이제 보조생식술로 태어난 아이들의 건강과 안전은 중요한 보건학적 문제입니다. 보조생식술 임신과 출산 위험성은 널리 알려져 있는데요. 가장 큰 이유는 다태아 임신 때문입니다. 임신 확률을 높이기 위해 여러 개의 수정란을 이식하던 관행 때문에 다태아 임신 비율이 높았고, 합병증이 높은 고위험군 임신을 감수해야 했습니다. 하지만 이제는 대부분의 국가에서 다태아 임신 위험을 줄이기 위해 보조생식술에서 이식 수정란 수를 제한합니.. 2019. 4. 8. 착상을 예측하는 자궁내막 수용성 자궁내막 수용성 지표로 착상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을까? '착상'은 임신 성립에 가장 중요한 최종 관문입니다. 보조생식술의 발달로 배란부터 수정, 이식까지는 호르몬제와 첨단 기술의 도움을 받을 수 있지만, 착상은 온전히 스스로 해야 하는 몫이죠. 연구에 의하면 초음파로 확인한 임상적 임신이 유산으로 종결되는 경우가 약 25%, 임신 확인 전 또는 화학적 임신을 포함한 착상 실패가 약 50% 정도로 착상 단계에서 실패하여 성공적 임신에 이르지 못하는 수정란의 비율을 약 70% 정도로 봅니다. 착상은 자궁내막과 수정란 사이의 복잡한 상호작용을 통해 이루어지는데요. 착상 실패의 1/3 정도가 건강하지 않은 수정란의 문제라면 2/3 정도는 발달 잠재력이 낮은 수정란을 거부하는 자궁내막의 선택성(selectivi.. 2019. 3. 27. 이전 1 ··· 4 5 6 7 8 9 10 ··· 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