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난임한의원96

[41세] 난관유착, 난소기능저하, 시험관 실패 후 자연임신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18. 11. 12.
카페인이 시험관 임신에 미치는 영향 카페인이 시험관 임신에 미치는 영향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통계에 의하면 미국에서 시행된 시험관시술 건수는 20년 동안 약 4배가량 증가했지만 주기당 성공률은 2000년대 들어와 30% 남짓으로 답보 상태에 있습니다. 이 한계를 극복하고 임신율을 높이기 위해 음식, 운동, 스트레스 등 생활인자가 임신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 효과를 강조하고 있는데요. 특히, 카페인, 술, 담배는 조절 가능한 주요 인자입니다. 하지만 '해롭다', '해롭지 않다' 결과가 엇갈리는 경우가 많아 어느 장단에 맞춰야 할지 모를 때가 많습니다. 지금까지의 연구 결과를 종합한 최신 논문을 중심으로 먼저 카페인이 시험관 임신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겠습니다. .. 2018. 10. 3.
움여성한의원 웹매거진 No.83 가을호 2018년 가을, 움여성한의원에서 발행하는 여든세 번째 웹매거진 가 나왔습니다.다양한 임신 정보와 읽을거리, 여성 건강에 관한 이야기들을 소개합니다. 2018. 10. 1.
수정란 등급에 따른 효과적 이식 전략 수정란 등급에 따른 효과적 이식 전략 시험관 시술의 성공은 단지 임신뿐 아니라 '건강한 출산'을 의미합니다. 시험관 임신의 가장 큰 위험 중 하나는 '다태아 출산'으로 산모와 아이의 건강을 크게 위협하기 때문에 세계 각국에서는 시험관 임신율을 높이면서 다태아 출산 위험을 낮추기 위해 이식 수정란 수 제한 등 여러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수정란의 질이 좋은 경우에는 한 개의 수정란만 이식하는 것이 여러 개를 이식하는 것보다 임신율은 아주 낮지 않으면서도(한 개씩 두 번 이식하는 것이 두 개를 한꺼번에 이식하는 것과 임신율 거의 비슷) 다태아 위험은 현저하게 떨어진다는 연구 결과를 소개한 적도 있습니다. 한 개의 수정란 이식, 실보다 득이 크다 http://wombstory.tistory.com/1115 그.. 2018. 9. 19.
난소 나이 많다고 질까지 나쁘진 않다 난소 나이 많다고 질까지 나쁘진 않다 흔히 '난소 나이'를 알려준다는 항뮬러관 호르몬(Amh)은 정확하게는 앞으로 사용 가능한 난포의 수, 즉 난소 예비력(ovarian reserve)을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이 수치가 낮다는 진단을 받고 임신일 안될까 걱정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여러 번 강조했지만 Amh는 과배란을 했을 때 난소의 반응이 어떨지, 즉 몇 개의 난포가 자랄지를 예측하는 데는 유용하지만 임신 가능성을 보여주는 수치는 아닙니다. Amh 수치가 자연임신 가능성을 예측하지는 않는다 http://wombstory.tistory.com/711Amh 등 난소 예비력, 임신 가능성과 상관없다 http://wombstory.tistory.com/1116 물론, Amh가 매우 낮으면 난포가 잘 자라지 않아.. 2018. 8. 29.
월경불순, 기형정자 증가 부부의 인공수정 임신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18. 8. 13.
넉넉한 사각팬티, 정자 수 활동성 증가 넉넉한 사각팬티, 정자 수 활동성 증가 '삼각이냐, 사각이냐? 임신 계획에 따라 결정하세요(Boxers or Briefs? It may depend on your fertility goals)' 에서는 최근 학술지 에 발표된 논문을 소개하며 넉넉한 박스 형태의 팬티가 타이트한 삼각팬티 보다 정자 건강에 도움이 된다고 설명합니다. 하버드 대학 연구팀은 보스턴의 한 병원에서 656명의 남성의 정액과 혈액 샘플을 채취하면서 평소 어떤 형태의 속옷을 주로 착용하는지를 조사하였습니다. 절반 정도(53%)는 넉넉한 박스 형태의 속옷을 즐겨 입었고 나머지 절반 정도는 타이트한 삼각팬티를 주로 입었습니다. 연구 결과, 주로 입는 속옷 형태에 따라 정자의 건강은 현저한 차이가 있었습니다.넉넉한 속옷을 주로 입는 남성이 .. 2018. 8. 10.
난임치료로 출산, 다음 시험관시술은 언제? 난임치료로 출산, 다음 시험관시술은 언제? 출산 후 다음 임신까지의 간격, 즉 '터울'에 대해서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의 Healthy People 2020은 18개월, 국제보건기구(WHO)는 24개월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출산 후 너무 빠르거나 늦게 임신을 하면 엄마와 아이가 건강하지 않고 저체중, 조산, 모성/신생아 사망률 등 건강지표가 나쁘다는 기존의 여러 연구를 인용한 결과지요. 하지만 난임을 경험한 여성의 경우는 좀 다를 수 있습니다. 임신이 잘 안 되었던 경험 때문에 마음이 급할 수 있고, 또는 지난번 시험관 시술 과정에서 냉동해 둔 수정란을 사용할 수도 있으니까요. 그렇다면 출산 후 언제쯤 다시 시험관시술을 시작하는.. 2018. 7. 16.
3회 반복 유산 후 난임, 인공수정 실패 후 자연임신과 출산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18. 7.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