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둘째불임11

둘째난임(둘째불임, 속발성불임) 극복하기 둘째난임(둘째불임, 속발성불임) 극복하기 움여성한의원 2015. 4. 29.
둘째 난임(둘째불임, 속발성불임)의 체크포인트 '아이에게 가장 좋은 선물은 동생입니다'출근길, 마을버스에서 본 출산장려캠페인입니다. 모르긴해도 이 캠페인을 보고 많은 여성들이 한숨지었을거 같습니다. "누가 낳기 싫어서 안낳나..애 키우는게 얼마나 힘든지는 알고 하는 말이야?" 2013년 통계에 의하면 우리나라 여성 한 명이 평생 출산하는 아이의 수는 1.19명입니다. 하나 낳아 키우기도 빠듯한 세상이란 얘기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둘째를 갖겠다고 마음을 낸, 용감한 여성들이 있습니다. 첫째 어느정도 키워놓고 터울을 조정하며 둘째 임신을 계획합니다. 이들에게 원하는 시기에 임신이 바로바로 되면 좋을텐데 안타깝게도 그렇지 못한경우가 많습니다. '속발성난임', 흔히 말하는 '둘째불임'입니다. 혹시 둘째 난임? 피임을 하지않고 일년이 지났는데도 임신이 안.. 2015. 3. 31.
[난임극복가이드] 둘째불임, 내 몸은 임신에 적합한 건강상태인가 둘째불임, 내 몸은 임신에 적합한 건강상태인가 첫째는 아무 문제없이 임신하고 출산했는데 둘째가 잘 안생기면서, 또는 둘째를 가지려하는데 자꾸 유산이 반복되면서 임신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바로 '속발성 난임', 속칭 '둘째불임'입니다. 임신과 출산, 양육으로 이어지는 재생산(reproduction) 과정은 인류가 진화의 역사에서 고려하는 가장 중요한 포인트입니다. 정해진 생애주기 (life-span) 안에서 건강한 후손을 남기기 위해서는 성공적인 재생산 전략이 필요한데, 우리가 쓸수 있는 에너지는 한정되어있고, 또한 이를 성장, 유지, 재생산에 고루 분배해야하기 때문입니다. 자칫, 생존에 필요한 에너지도 부족한 상태에서 다시 임신을 한다면 엄마와 아이의 건강을 모두 헤칠뿐 아니라 (생명을.. 2014. 10. 1.
[임상노트] 다낭성난소증후군, 둘째불임, 반복적 배란유도 실패 극복하고 자연임신 35세 여성 둘째 임신 원함 월경 : 불규칙, 40-45일주기, 다낭성난소증후군 진단임신력 : 2007년 첫째 출산난임기간 : 약 3년 6개월양방검사 : 다낭성난소증후군 경향있다고 했고, 그 외 정상양방치료 : 배란유도제 6회 실패치료경과 : 2012년 11월 초진 내원 한약 복약 및 침구치료 진행 2013년 1월 임신 확인했으나, 태낭확인 전 유산 (화학적임신) 2013년 2월 한약 복약 1개월, 5월 복약 1개월하면서 지속적 침구치료 2013년 6월 임신 확인, 안태약 처방 2013년 7월 아기 건강하게 유지, 입덧심해서 입덧관련 침치료 진행. 35세 위 여성은 2007년 첫째 출산이후 2010년부터 둘째를 갖기 위해 노력했지만 실패하면서 내원하게 되셨습니다. 월경주기가 40일이상이 되면서 배란이 매.. 2013. 10. 11.
둘째불임, 혹시 반복유산은 아닌지 살펴야 둘째불임, 혹시 반복유산은 아닌지 살펴야 둘째불임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첫째는 문제없이 잘 낳았는데 둘째 임신이 안되는 속발성 불임을 의미합니다.배란도 잘 되고, 나팔관에도 문제없고, 이전에 임신경험이 있는만큼 원인불명의 수정장애가 있을 가능성도 거의 없는데 임신이 안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이와 함께 첫 출산은 잘 하였는데 둘째임신을 계획하면서 반복적으로 유산이 되면서 한의원을 찾는 경우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첫째, 둘째를 막론하고 임상적으로 임신을 확인하고 유산이 되는 경우가 약 15%라면, 임신을 확인하기도 전에 화학적유산이 되는 경우까지 포함한다면 유산율은 거의 50%에 달합니다.따라서 둘째임신을 기다리며 임신시도를 하는데 번번이 실패하는 속발성불임 중에도 많은 비율이 반복되는 초기유산일 가능성이.. 2012. 7. 5.
둘째불임, 건강하게 임신하기 둘째불임, 건강하게 임신하기 첫째는 잘 출산했는데 막상 둘째를 갖으려니 임신이 되지않는 둘째불임, 속발성불임이 많이 늘고 있습니다. 또는 첫 출산 후 자연유산이 반복되는 경우도 종종 있습니다. 막연히 첫째 잘 낳았으니 곧 생기겠지.. 하고 방심하기 보다는 건강한 둘째임신을 위해 꼭 체크해보고 준비해야할 몇가지가 있습니다. 1. 한살, 두살 먹는 나이, 난소기능은 계속 떨어져 첫 출산을 무사히 한 만큼 둘째불임에서 불임의 대단한 원인을 발견하게될 가능성은 높지 않습니다. 대부분은 불균형과 기능허약이 둘째불임의 주원인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요즘은 결혼연령과 초산연령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고 그만큼 둘째임신을 계획하는 시기도 늦어지죠. 그런데 여성은 35세가 넘어가면 난소기능이 급격히 떨어지게 되고 건강한 .. 2012. 1. 29.
[임상노트] 성교후검사 불량, 인공수정 실패후 자연임신 성교후검사 불량, 인공수정 실패후 자연임신 43세 여성 불임기간: 08년부터 둘째 임신시도 임신력: 1회 출산(02년), 1회 계류유산(08년) 양방불임검사: 성교후검사 불량(정자 하나도 안보임) 양방불임치료: 배란유도 2회, 과배란 인공수정 3회 월경력: 28일주기, 월경량 많은편, 월경량 약간 치료경과: 1개월 치료 후 자연임신 더 늦기 전에 둘째를 갖기로 계획하고 노력했는데 임신이 잘 안되는 둘째불임(속발성불임) 이었습니다. 양방검사 상 다른 이상은 없었지만 성교후검사 상 정자가 한마리도 보이지 않았고 인공수정을 권유받았습니다. 3번의 인공수정을 하였지만 임신이 잘 되지 않자 근본적으로 몸을 건강하게 하기 위한 계획을 한방치료를 시작하였습니다. 자궁의 냉증을 풀어주면서 착상환경을 개선하였으며, 피를.. 2011. 10. 30.
[임상노트] 다낭성난소증후군, 둘째불임여성의 자연임신 다낭성난소증후군, 둘째불임여성의 자연임신 36세 여성 임신력: 1회 계류유산 후 첫출산 불임기간: 1년 9개월(둘째 임신시도 후) 양방불임검사: 다낭성난소증후군 진단 양방불임치료: 배란유도 2회(배란유도제에 난포 잘 안자람) 월경력: 40-60일주기, 월경량 많은편, 월경통 별무, 월경시 덩어리피, 월경전 유방통증 심 기타증상: 편두통, 소화불량, 팔저림 치료기간: 1개월 치료 후 자연임신, 임신확인 후 안태약 복용 결혼 후 첫 임신이 계류유산이 되기는 했지만, 이후 첫 출산을 무사히 하셨습니다. 둘째 임신계획을 세웠으나 1년이 넘게 임신이 안되면서 양방의 불임검사를 받았고 다낭성난소증후군으로 진단받았습니다. 2회의 배란유도를 하였으나 배란유도제에 잘 반응하지 않으면서 난포가 자라지 않았고, 먼저 건강한.. 2011. 10. 10.
[임상노트] 갑상선기능이상 여성의 건강한 임신과 출산 갑상선기능이상 여성의 건강한 임신과 출산 34세 여성 불임기간: 2년 4개월 임신력: 1회 출산 월경력: 30일주기, 월경량 감소, 월경통 심, 월경시 덩어리피 기타: 갑상선기능저하(호르몬제 복용 중), 하지부종 심, 소화불량 치료기간: 3개월 치료 후 자연임신, 출산 갑상선기능이상은 여성호르몬의 균형을 깨뜨리면서 월경불순을 유발하게되며, 갑상선항체의 경우 습관성유산과 관련이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그런데 한의학적으로 갑상선기능의 이상은 단지 '갑상선'자체의 문제로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스트레스 등의 원인으로 인해 내부의 균형이 깨어지면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호르몬제로 갑상선기능을 조절하고 있는 경우라고 하더라도, 갑상선기능이상의 병력이 있으면서 월경이 잘 안되는 경우라면 몸의 전체적인 균.. 2011. 8.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