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에세이193

[바디버든] 자궁건강 해치는 환경호르몬 노출 피하기 바디버든 body burden자궁건강 해치는 환경호르몬 노출 피하기 26일, SBS 스페셜에서 라는 제목의 프로젝트 방송을 하였습니다.일상에서 노출된 환경호르몬이 여성의 건강, 특히 자궁, 난소로 대표되는 생식건강을 해친다는 설명과 함께 환경호르몬 노출을 최소화하는 8주간의 프로젝트 후 바디버든(body burden: 몸에 축적된 환경호르몬의 총합)이 감소하고 몸 상태가 호전(월경통 감소, 월경불순 호전, 임신 등)된 결과를 보여주었습니다. 저 역시 진료실에서 환자분들께 일상에서 환경호르몬 노출을 피하는 것이 치료 효과를 높이는데 매우 중요하다는 사실을 강조해 왔기에 졸린 눈을 비비고 방송을 끝까지 시청했지요. 아무래도 부분부분 편집하다 보니 약간의 과장도 있고 오류(자궁근종과 자궁내막증을 구분하지 못하.. 2017. 2. 28.
자궁근종에 콩은 좋을까, 나쁠까 자궁근종에 콩은 좋을까, 나쁠까 자궁근종, 난소낭종, 자궁내막증 등 여성호르몬과 관련 있는 종양이 있다면 식물성 에스트로겐(phytoestrogen)을 함유하고 있는 음식은 아무래도 신경이 쓰입니다. 혹시 '에스트로겐'을 포함하고 있는 음식 때문에 혹이 더 자라는 것은 아닐까 하는 걱정이 들죠. 예를 들면, 콩이 갱년기 여성에게 좋다는데 자궁근종이 있는 경우에 먹어도 될지, 정보를 찾아보아도 상반된 연구 결과에 더 헷갈리기만 합니다. 콩, 채소, 곡물 등에는 에스트로겐과 유사한 분자구조를 가진 화학물질을 포함하고 있는데 이를 식물성 에스트로겐(phytoestrogen)이라고 부릅니다. 얼핏 생각하면 우리 몸에 '에스트로겐'이 더 들어오니 체내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 농도가 높아질 것 같은데 그렇지 않습니.. 2017. 2. 3.
폐경기 나이, 초경 이르고 출산경험 없을수록 빠르다 폐경기 나이에 영향 미치는 인자초경 연령과 출산 경험 마지막 월경이 끝난 후 1년이 지나도 월경을 하지 않으면 의학적으로 폐경(menopause)이라고 진단합니다.평균 폐경 나이는 민족마다 다르며 개인 차이도 많은데요. 유적적 소인, 환경, 생활인자 등이 다양하게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초경을 일찍 시작할수록, 출산경험이 없을수록 폐경 연령이 빨라진다는 대규모 연구결과가 최근 학술지 에 발표되었습니다. 영국, 호주, 북유럽, 일본 등 여러 나라의 51,450명의 여성을 대상으로 한 대규모 연구 결과입니다. 11세 이전에 초경을 시작한 경우 40세 이전에 폐경이 되는 조기폐경(premature menopause) 위험이 80% 높고 40-44세에 이른 폐경(early menopause) 위험이 30% .. 2017. 2. 1.
다낭성난소증후군, 시험관시술 시 침치료 병행하며 임신율 높여 다낭성난소증후군 침치료 병행하며 시험관시술 후임상적 임신율, 임신 진행률 증가하고 난소과자극증후군 감소 다낭성난소증후군은 배란이 잘 안 될 뿐 아니라 난자의 질 저하, 자궁내막 수용성의 감소 등으로 난임의 주요 원인이 됩니다. 배란유도, 인공수정 등으로 배란을 돕고 임신을 시도해도 잘 안 되는 경우는 시험관 시술을 하게 되는데요. 시험관 시술 중 과배란 치료에 난소과자극증후군(OHSS) 위험이 높기 때문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시험관시술 시 침치료를 병행하면 임상적 임신율과 임신 진행률이 증가하고 난소과자극증후군 발생은 감소한다는 연구결과가 에 최근 발표되었습니다. 2015년 이전 발표된 무작위대조시험(RCT) 논문에 실린 430명의 시험관시술 결과를 침치료를 한 그룹과 침치료를 하지 않은 그룹으로.. 2017. 2. 1.
스트레스가 아들, 딸 성별을 결정 예전 같은 '남아선호사상'은 없지만, 아이를 하나나 많아야 둘만 낳다 보니 이왕이면 아들이었으면, 또는 딸이었으면 하는 마음은 있습니다.인터넷에는 '성별 가려 아이 낳는 비법'에 대한 여러 정보가 난무하지만 확실한 증거는 없지요.배란일을 정확히 맞추면 아들 낳을 확률이 높아진다는 세간의 주장을 반박하는 연구결과를 블로그를 통해 소개한 적이 있는데요(아들 낳는 한약? 건강한 임신 돕는 한약!). 이번에는 임신 전, 그리고 임신 중 스트레스가 남녀의 성비를 바꿀 가능성이 있다는 최신 연구 결과를 소개합니다. 막 임신을 했을 때의 남녀 성비를 1차 성비(primary sex ratio)라고 한다면 출산 시의 남녀 성비를 2차 성비(secondary sex ratio)라고 합니다. 1차 성비는 정확하게 알 수 .. 2017. 1. 19.
수정란 이식, 건강한 수정란 한 개가 임신확률 높아 다태아 임신을 줄이기 위한 노력으로 시험관시술 시 이식하는 수정란의 수를 제한하고 있지만, 그래도 왠지 한 개는 부족하다는 생각을 많이 합니다.그래서 보통 상급의 수정란과 함께 조금 등급이 낮은 수정란 하나를 더 이식하곤 하지요. 그런데 그보다는 건강한 수정란 한 개를 이식하는 것이 오히려 임신율이 높다는 연구결과가 최근 에든버러에서 열린 연례 콘퍼런스에서 발표되었습니다(관련 기사: ). 사진 출처 Guardian 노팅엄의 한 클리닉에서 2009년 6월부터 2013년 12월까지 1,472개의 5일 배양 수정란 이식 결과를 분석한 결과 건강한 수정란과 덜 건강한 수정란을 함께 이식한 경우, 한 개의 건강한 수정란을 이식한 경우에 비해 임신율이 27%가량 낮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연구를 진행한 Nick R.. 2017. 1. 6.
'차별'을 통해 여성성을 발견하다 여자와 남자, 성별을 영문으로 표기할 때 이제는 생물학적 성을 말하는 섹스(sex) 대신 사회적 성을 의미하는 젠더(gender)를 공식적으로 사용합니다. 남자와 여자는 생물학적 차이를 가지고 태어나지만 더 많은 차이는 사회, 문화적으로 구성되기 때문입니다. 사회마다 여자다움의 조건과 규제, 압력이 다르고 여성들은 저마다 다른 경험을 가지고 자신의 여성성을 발견하고 만들어가지요. 여성의 목소리를 듣고 드러내는 작업을 통해 학자들은 특정 사회문화적 환경에서 '여성성'이 어떻게 구성되는지를 찾고 있는데요. 이란의 이슬람 여성들이 말하는 '여성성 발견'에 대한 연구 결과를 소개합니다. 30명의 완경을 한 무슬림 이란 여성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한 결과, 이란 여성들이 자신의 '여성성'을 발견하게 된 최초의.. 2016. 12. 10.
월경전증후군, 가볍게 월경 맞기 월경전증후군의 원인과 치료, 생활요법    최근 영국의 에서는 월경전증후군을 호소하는 여성에게 첫 번째 치료로 인지행동요법(cognitive behavioural therapy)을 실시할 것을 권유하는 새로운 가이드라인을 발표하였습니다(관련 기사: CBT should be routinely offered to women with prementraul syndrome).    월경전증후군은 월경을 시작하기 며칠, 혹은 1-2주 전부터 복통, 유방 통증, 부종, 피로, 소화불량, 두통, 식욕증가, 초조, 우울감 등 신체적, 정신적 불편함이 나타나 일상생활에 지장을 주는 증후군으로 월경을 하는 여성의 40-75% 여성의 경험하며, 3-8%는 치료가 필요할 정도의 심각한 증상을 호소하여 월경전불쾌기분장애(Pre.. 2016. 12. 2.
효과 뛰어난 남성 피임주사, 부작용 우려로 연구 조기중단 남성 피임주사 효과 96%, 기분 변화, 우울, 여드름 등 부작용 우려로 연구 조기 중단, 여성 피임약은 안전? 경구 피임약 안전성 논란 중에 한 여성이 "왜 한 달에 단 며칠만 임신이 가능한 여자들이 피임의 부담을 져야 하지요? 남자들은 항상 생식이 가능한데 말이죠."라는 질문을 던졌습니다. 사실 그렇습니다. 매일 하루도 빠짐없이 먹어야 하는 경구피임약이 피임의 대명사처럼 여겨지지만, 남성이 사용할 수 있는 피임의 옵션은 콘돔 말고는 별로 없습니다.최근에는 남성 피임약 개발을 위한 연구가 세계 곳곳에서 이루어지고 있기는 합니다. 성관계 직전에 남성이 복용하면 정자의 움직임을 중지시켜 난자와의 수정을 막는 합성 펩타이드를 개발하여, 곧 동물 실험을 시작할 계획이라는 소식도 있었습니다(관련 기사: ). 최.. 2016. 11.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