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1440 남성난임 치료 가이드라인: 미국 비뇨기학회/생식의학회 남성난임 치료 가이드라인(2020 by AUA/ASRM) 2020년 말 학술지 에 미국 비뇨기학회와 생식의학회 공동으로 '남성난임 진단과 치료 가이드라인'을 발표했습니다. 그 중 첫 번째 파트인 진단 편은 지난번에 소개해드렸고요. https://wombstory.tistory.com/1363 남성난임 진단 가이드라인: 미국 비뇨기학회/생식의학회 남성난임 진단과 치료 가이드라인(2020 by AUA/ASRM) 미국 비뇨기학회(American Urological Association Education and Research)와 생식의학회(American Society for Reproductive Medicine)가 공동.. wombstory.tistory.com 오늘은 치료 편을 소개하겠습니다. 주요 내용.. 2021. 1. 22. 자궁적출을 권유받거나 원했던 월경통, 냉대하 여성의 한방치료 혈종으로 인한 월경통/ 냉대하, 부정자궁출혈 여성의 한방 치료 임상례 저희 어머니 세대만 하더라도 소위 '빈궁마마'라고 부르는 자궁적출을 한 여성이 많았습니다. '자궁은 아기집일 뿐'이라는 생각이 일반적이어서 출산이 끝났다면 자궁에 조금만 이상이 있어도 제거하는 것이 재발 없이 깔끔하다는 인식이 있었죠. 하지만 지금은 그렇지 않습니다. 생명을 위협하거나 삶의 질을 심하게 해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가급적 자궁을 보존하고, 부득이 자궁을 적출하더라도 난소는 보존하는 편입니다. 한의학에서 자궁은 뇌, 뼈, 골수, 맥, 담 등과 함께 기항지부(奇恒之府)에 속하는데요. 주요 경락이 지나가는 통로이기 때문에 생식을 다 끝낸 후에도 건강하게 보존하고 소통을 돕는 것이 중요합니다. 비슷한 시기에 사십 대 여성 두 분이.. 2021. 1. 18. [책 이야기] 한의대 지망 학생을 위한 추천도서 한의대 지망 학생을 위한 추천 도서 고등학생들은 부족한 학업을 보충하고 진로 준비를 하느라 방학 중에도 많이 바쁘죠. 특히, 학기 중에 미처 못했던 독서를 하는데요. 진로를 어느 정도 정한 학생들은 전공 관련 책을 찾아 읽고 독후 활동을 합니다. 생기부에 책 제목이 기록되기도 하고, 또한 미래의 전공을 탐색하는 데 도움이 되는 책을 선택해야 하는데 쉽지가 않죠. 그래서 제가 선배 한의사로서, 수험생 학부모의 마음으로^^ 한의대 지망 학생을 위한 추천 도서 몇 권을 뽑아 봤습니다. 물론 관련 책들은 너무 많고 더 좋은 책들이 있겠지만, 제가 읽어본 책만을 기준으로 골랐습니다. 1. 한의학 전반 와이겔리, 안세영 조정래 머리카락부터 이목구비, 간신비폐신 오장과 육부 등 우리 몸 구석구석을 식 편제로 소개하고.. 2021. 1. 15. [난소기능저하/AMH 0.03] 월경불순 여성의 한방치료 AMH 0.03 월경불순 여성, 한방치료 후 규칙적 월경 회복 '월경불순'은 난소기능저하의 강력한 신호입니다. 심한 경우는 이른 갱년기가 시작되기도 하지요. 2011년 발표된 'STRAW +10' 생식노화단계 기준에 의하면, 월경주기가 불규칙해서 7일 이상 차이가 나면 완경이행기 전기, 월경주기가 60일 이상으로 늦어지면 완경이행기 후기에 접어들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https://wombstory.tistory.com/1296 갱년기/완경 이행기의 월경주기, 월경량 변화 완경 이행기(갱년기) 월경 패턴 : 불규칙하다가 길어지는 월경주기, 월경량/기간 증가는 일반적 '갱년기가 되면 월경주기가 불규칙해진다'는 이야기는 많이 듣는데, 얼마나/어떻게 불규칙해지는 wombstory.tistory.com 난소기.. 2021. 1. 11. 남성난임 진단 가이드라인: 미국 비뇨기학회/생식의학회 남성난임 진단과 치료 가이드라인(2020 by AUA/ASRM) 미국 비뇨기학회(American Urological Association Education and Research)와 생식의학회(American Society for Reproductive Medicine)가 공동으로 '남성난임 진단과 치료 가이드라인'을 발표하였습니다. 먼저, 파트 1에서 진단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소개하고 있는데요.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진단 -처음 난임 검사를 할 때 남녀가 동시에 받아야 한다 -첫 검사에서는 생식력을 자세히 살피고 한 번 이상의 정액 검사를 실시한다 -정액검사는 한 달 이상 간격으로 적어도 두 번 이상 하는 것이 정확하다 -정액 검사 이상이 있는 경우 관련된 전신 질환 위험 증가 가능성도 설명한.. 2021. 1. 8. [난소기능저하, 30세] 한방치료 후 AMH 0.8-->1.07 난소기능저하 비혼 여성, 한방치료 후 월경량 증가, AMH 상승 나이가 들면서 난소 기능이 약해지는 것은 예외 없는 자연의 순리입니다. 문제는 '급격한' 난소 기능 저하이지요. 난소의 과립막세포에서 분비되는 항뮬러관호르몬(AMH) 수치는 난소기능을 반영하는 대표적 지표인데요. '난소 나이'를 알려주는 호르몬이라고 흔히 부르지만 더 정확히는 앞으로 사용 가능한 난자의 수, 즉 '난소예비력(ovarian reserve)'을 가늠할 수 있습니다. 나이가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난소 종양 수술, 피임약 복용, 흡연, 산화스트레스 등이 난소 기능에 영향을 줍니다. 예를 들어, 30세 여성이 35세가 되면서 AMH 수치가 약간 하강하는 건 당연하지만, 30세에 자기 나이의 중간값이었다가 35세에 하위 10%로 .. 2021. 1. 4. 심혈관질환 위험, 초경부터 완경까지 생식력 살펴야 임신 중독증, 임신 당뇨/고혈압, 조산 등 심혈관질환 위험 증가, 모유수유자는 감소 매해 발생하는 사망 원인의 1/3가량은 심혈관질환과 관련 있습니다. 대대적인 투자와 연구를 통해 20세기 중반 이후 남성의 심장병 발병은 감소하고 있는데요. 여성에서는 별 차이가 없으며, 35-54세 젊은 여성의 발병률은 오히려 증가 추세를 보입니다. 왜 그럴까요? 당뇨나 흡연 같은 전통적인 위험인자 외에 유독 여성에서 원인을 알 수 없는 심혈관질환 발생이 많은데요. 초경부터 완경까지, 여성의 생식 연령 동안 겪는 여러 변화가 심혈관질환 발생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연구 결과를 소개합니다. 2020년 10월 에 발표된 논문으로, 32편의 관련 연구를 고찰한 결과입니다. *심혈관질환 발병 위험 자간전증(임신중독증), 사산,.. 2021. 1. 4. 별일 없는 일상의 회복을 소망하며 별일 없는 일상의 회복을 소망하며 움여성한의원 수유본원 문현주 원장 해마다 이맘때면 한의원 소식지에 쓸 새해 인사를 생각합니다. 지내온 한 해를 돌아보고 새해 바람을 담곤 하지요. 문득 작년에는 무슨 이야기를 했는지 궁금해 찾아보았습니다. 인생의 전환기에 다시 만난 옛 친구들과 회포를 풀고 설레는 마음으로 여행을 계획하고, ‘다시 갱(更)’의 취지를 살려 노련하지만 새로움을 잃지 않는 진료를 다짐했지요. 그때만 해도 전혀 예상하지 못했습니다. 2020년, 세상을 멈추게 한 ‘코로나 19’의 시대를 살게 될 줄은. ‘봄이 되면 끝나겠지’ 했던 전염병은 어느덧 일 년째고 1, 2차 유행을 겨우 넘겼나 싶었는데 혹독한 3차 대유행을 지나고 있습니다. 거추장스럽던 마스크는 이제 없으면 허전한 몸의 일부가 되었고.. 2021. 1. 4. 움여성한의원 웹매거진 No.92 겨울호 움여성한의원에서 발행하는 아흔두 번째 웹매거진 가 나왔습니다. 다양한 임신 정보와 읽을거리, 여성 건강에 관한 이야기들을 소개합니다. http://online.pubhtml5.com/mfij/lquh/ 움이야기 92호 움이야기 92호 online.pubhtml5.com 2021. 1. 1. 이전 1 ··· 7 8 9 10 11 12 13 ··· 1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