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임상노트258

[임상노트] 원인불명 반복 계류유산, 균형잡으며 건강한 임신과 출산 원인불명 반복 계류유산, 균형잡으며 건강한 임신과 출산 32세 여성 임신력: 2회 계류유산(7-8주, 심박동 확인 후 계류유산) 양방 습관성유산검사: 염색체검사, 면역학적 검사, 자궁경검사-모두 정상 월경력: 26-28일주기, 월경량 양호, 월경통 별무 기타증상: 하복냉, 수족냉, 질염 자주 치료기간: 3개월 치료 후 자연임신, 임신 9주까지 안태약 복용, 건강한 출산 계류유산은 보통 임신 6주에 태아 심박동이 확인되지 않거나, 뛰었던 심박동인 7-8주 사이에 멈추면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약간의 출혈이 있는 경우도 있지만, 아무 증상이 없이 불현듯 발생하기 때문에 이로인한 충격이 크고, 반복적인 계류유산을 경험한 경우 습관성유산에 대한 불안감도 매우 커지게 됩니다. 첫 유산은 '어쩌다 될 수도 있.. 2011. 8. 29.
[임상노트] 자궁외임신, 한쪽난관절제 후 건강한 자연임신 자궁외임신, 한쪽난관절제 후 건강한 자연임신 34세 여성 임신력: 자궁외임신 1회(좌측난관절제) 양방불임검사: 우측난관양호, 좌측난관절제, 정자수 부족, 활동성저하(20%) 양방불임치료: 배란유도 2회, 인공수정 1회 월경력: 30-45일주기, 월경량감소, 월경통약간 기타증상: 자궁외임신 수술 후 7kg 증가, 불면 치료기간: 3개월 치료 후 자연임신, 임신확인 후 안태약 복용, 출산 자궁외임신은 수정란이 자궁외에 착상되는 임신으로 95% 정도는 나팔관에 위치하게 됩니다. 초기에는 약물치료 등으로 나팔관을 보존할 수 있지만, 진행된 자궁외임신이나 파열된 경우에는 난관을 절제하는 수술을 해야합니다. 자궁외임신의 원인은 나팔관의 소통상태가 좋지 못한것과 관련이 있습니다. 크기가 작은 정자와 난자는 통과하였지.. 2011. 8. 22.
[임상노트] 정자활동성 저하, 부부같이 치료하며 자연임신 정자활동성 저하, 부부같이 치료하며 자연임신 32세 여성 양방불임검사: 별무 이상 과거력: 난소낭종 수술(7cm) 월경력: 30-35일주기, 월경량 많음, 월경통 심(복통, 밑이 빠지는 느낌), 덩어리 피 많음 37세 남성 정액검사 상 활동성저하 치료기간: 여성 4개월 치료, 남성 1개월 치료 후 자연임신 불임기간이 오래되지는 않았지만, 이전에 난소낭종수술 병력이 있고 월경이 불규칙해지면서 월경통이 심하여 여성분이 먼저 치료를 시작하였습니다. 한의학적 진단 상 하복부의 어혈이 정체되어 있고 자궁의 순환상태가 좋지 않아 이를 중심으로 단계별 치료를 시작하였습니다. 남성분의 정액검사는 조금 미루다가 여성분의 몸이 건강해졌는데도 임신이 잘 되지 않자 받으셨으며, 검사결과 정자의 활동성이 약간 저하되는 것으로 .. 2011. 8. 10.
[임상노트] 계류유산 3회, 태아살해세포 증가 여성의 건강한 임신 계류유산 3회, 태아살해세포 증가 여성의 건강한 임신 31세 여성 임신력: 3회 계류유산(7-8주), 마지막 임신시 면역글로블린 치료했으나 계류유산 양방 습관성유산검사: 태아살해세포 증가(면역학적 이상) 월경력: 28일주기, 월경량 적은편(두번째 계류유산 후 반으로 감소), 월경통 심 기타증상: 편두통 심, 소화불량 치료기간: 4개월 치료 후 자연임신, 임신 10주까지 안태약 복용(면역글로블린, 프로게스테론 병행) 산모-태아 경계면에 많이 나타나는 NK cell이 증가하게 되면 태아와 태반조직을 공격하면서 습관성유산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있습니다. 습관성유산의 면역학적 인자의 하나로 임신 중 면역글로블린 주사로 주로 치료하게 됩니다. 위 여성의 경우는 두번째 계류유산 후 습관성유산검사를 하였고, 면역학.. 2011. 8. 5.
[임상노트] 갑상선기능이상 여성의 건강한 임신과 출산 갑상선기능이상 여성의 건강한 임신과 출산 34세 여성 불임기간: 2년 4개월 임신력: 1회 출산 월경력: 30일주기, 월경량 감소, 월경통 심, 월경시 덩어리피 기타: 갑상선기능저하(호르몬제 복용 중), 하지부종 심, 소화불량 치료기간: 3개월 치료 후 자연임신, 출산 갑상선기능이상은 여성호르몬의 균형을 깨뜨리면서 월경불순을 유발하게되며, 갑상선항체의 경우 습관성유산과 관련이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그런데 한의학적으로 갑상선기능의 이상은 단지 '갑상선'자체의 문제로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스트레스 등의 원인으로 인해 내부의 균형이 깨어지면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호르몬제로 갑상선기능을 조절하고 있는 경우라고 하더라도, 갑상선기능이상의 병력이 있으면서 월경이 잘 안되는 경우라면 몸의 전체적인 균.. 2011. 8. 1.
[임상노트] 자궁경부무력증, 3회 유산 후 건강한 임신과 출산 39세 여성 불임기간: 8년 7개월 양방불임검사: 다낭성난소증후군(LH 증가), 자궁경부무력증 양방불임치료: 인공수정 3회, 시험관시술 5회 임신력: 3회 임신(시험관임신, 22-24주 유산-자궁경부 봉축술 했으나 유산) 월경력: 60일주기, 월경량 양호(혹 과소), 월경통 약간, 덩어리 피 많은편 기타: 간기능저하, 질염, 소화불량 치료기간: 4개월간 단계별 한약치료, 시험관시술, 쌍생아 임신, 자궁경부봉축술, 건강한 출산 임신중기 이후 갑작스런 하혈로 유산되는 경우 '자궁경부무력증'으로 진단받는 경우가 많습니다. 자궁경부가 약해져 있어서 자궁의 태아가 아래로 쏟아지면서 유산이 되는 것입니다. 이렇게 중기 이후 자궁경부무력증으로 유산이 되게 되면, 그 다음 임신에서는 '자궁경부봉축술'이라고 하여 자궁경.. 2011. 7. 11.
[임상노트] 다낭성난소증후군, 배란유도 실패 후 자연임신, 출산 33세 여성 불임기간: 1년 5개월 양방불임검사: 다낭성난소증후군 진단 양방불임치료: 배란유도 2회 월경력: 40-50일주기, 혹 불규칙한 소량출혈 반복 치료기간: 4개월 치료 후 자연임신, 임신확인 후 안태약 복용, 출산 난소에서 여러개의 난포가 자라지만 성숙난포에 이르지 못하면서 배란이 잘 안되는 '다낭성난소증후군'은 월경불순과 불임을 일으키는 주 원인중 하나입니다. 다낭성난소증후군이라고 하더라도 40-50일만에 한번씩 나름 규칙적인 월경을 하는 가벼운 경우부터, 수개월에 한번씩 월경을 하는 경우까지 월경불순의 정도는 천차만별입니다. 그런데, 가벼운 다낭성난소증후군이라고 하더라도 몸이 피곤해지거나, 스트레스를 심하게 받거나, 환경이 변하게 되면 남들보다 월경의 이상이 쉽게 옵니다. 특히, 불규칙한 소.. 2011. 7. 2.
[임상노트] 2회 계류유산 후 건강한 임신과 출산 33세 여성 임신력: 2회 계류유산(5-6주, 심박동 확인 못함) 습관성유산검사: 이상 무 월경력: 35-45일주기, 월경량 양호, 월경통 심, 덩어리피 많음 치료기간: 3개월 치료 후 자연임신, 임신 8주까지 안태약 복용, 건강한 출산 두번의 유산이 모두 태아 심박동을 확인하지 못한 상태로 계류유산이 되었으며, 습관성유산검사에서는 특별한 이상이 없다고 진단받았습니다. 평소 월경통이 심하였고, 35일주기로 조금 늦어지던 주기가 계류유산 후 40-45일주기로 더 늦어졌습니다. 적외선체열검사 상 하복부의 냉증이 심했는데, 이는 월경통의 원인인 동시에 착상을 방해하는 환경으로 작용합니다. 또한 반복된 유산은 임신을 주관하는 신기능을 더욱 허약하게 하면서 월경불순을 심화시켰습니다. 따라서 하복부의 냉증을 풀어주.. 2011. 7. 2.
[임상노트] 재발된 자궁내막증 불임여성의 자연임신 35세 여성 불임기간: 2년 2개월 양방불임검사: 좌측난소 자궁내막증(2.5cm, 1년전 자궁내막증 수술 했으나 재발) 양방불임치료: 배란유도 2회 월경력: 26-28일주기, 월경량 많은편, 월경통 심(다리까지 당기는 통증), 월경시 혈괴 많음 기타: 수족냉, 손발저림 치료기간: 2개월 치료 후 자연임신 자궁내막증을 진단받고 수술을 하였으나 다시 자궁내막증이 재발된 경우입니다. 이처럼 자궁내막증은 재발이 잘 되는 편인데, 이는 자궁내막증을 유발한 환경적 요인이 개선되지 않아서입니다. 한의학적으로 하복부의 순환장애, 냉증, 어혈의 정체는 자궁내막증을 유발하는 인자로 작용하며, 동시에 하복냉증, 월경통, 월경시 덩어리피 증가 등은 원인불명 월경통 중 '어혈성 월경통'의 대표적인 증상이기도 합니다.자궁내막증의.. 2011. 7.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