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노트] 원인불명 반복 계류유산, 균형잡으며 건강한 임신과 출산
원인불명 반복 계류유산, 균형잡으며 건강한 임신과 출산 32세 여성 임신력: 2회 계류유산(7-8주, 심박동 확인 후 계류유산) 양방 습관성유산검사: 염색체검사, 면역학적 검사, 자궁경검사-모두 정상 월경력: 26-28일주기, 월경량 양호, 월경통 별무 기타증상: 하복냉, 수족냉, 질염 자주 치료기간: 3개월 치료 후 자연임신, 임신 9주까지 안태약 복용, 건강한 출산 계류유산은 보통 임신 6주에 태아 심박동이 확인되지 않거나, 뛰었던 심박동인 7-8주 사이에 멈추면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약간의 출혈이 있는 경우도 있지만, 아무 증상이 없이 불현듯 발생하기 때문에 이로인한 충격이 크고, 반복적인 계류유산을 경험한 경우 습관성유산에 대한 불안감도 매우 커지게 됩니다. 첫 유산은 '어쩌다 될 수도 있..
2011. 8. 29.
[임상노트] 자궁외임신, 한쪽난관절제 후 건강한 자연임신
자궁외임신, 한쪽난관절제 후 건강한 자연임신 34세 여성 임신력: 자궁외임신 1회(좌측난관절제) 양방불임검사: 우측난관양호, 좌측난관절제, 정자수 부족, 활동성저하(20%) 양방불임치료: 배란유도 2회, 인공수정 1회 월경력: 30-45일주기, 월경량감소, 월경통약간 기타증상: 자궁외임신 수술 후 7kg 증가, 불면 치료기간: 3개월 치료 후 자연임신, 임신확인 후 안태약 복용, 출산 자궁외임신은 수정란이 자궁외에 착상되는 임신으로 95% 정도는 나팔관에 위치하게 됩니다. 초기에는 약물치료 등으로 나팔관을 보존할 수 있지만, 진행된 자궁외임신이나 파열된 경우에는 난관을 절제하는 수술을 해야합니다. 자궁외임신의 원인은 나팔관의 소통상태가 좋지 못한것과 관련이 있습니다. 크기가 작은 정자와 난자는 통과하였지..
2011. 8. 22.
[임상노트] 자궁경부무력증, 3회 유산 후 건강한 임신과 출산
39세 여성 불임기간: 8년 7개월 양방불임검사: 다낭성난소증후군(LH 증가), 자궁경부무력증 양방불임치료: 인공수정 3회, 시험관시술 5회 임신력: 3회 임신(시험관임신, 22-24주 유산-자궁경부 봉축술 했으나 유산) 월경력: 60일주기, 월경량 양호(혹 과소), 월경통 약간, 덩어리 피 많은편 기타: 간기능저하, 질염, 소화불량 치료기간: 4개월간 단계별 한약치료, 시험관시술, 쌍생아 임신, 자궁경부봉축술, 건강한 출산 임신중기 이후 갑작스런 하혈로 유산되는 경우 '자궁경부무력증'으로 진단받는 경우가 많습니다. 자궁경부가 약해져 있어서 자궁의 태아가 아래로 쏟아지면서 유산이 되는 것입니다. 이렇게 중기 이후 자궁경부무력증으로 유산이 되게 되면, 그 다음 임신에서는 '자궁경부봉축술'이라고 하여 자궁경..
2011. 7. 11.
[임상노트] 다낭성난소증후군, 배란유도 실패 후 자연임신, 출산
33세 여성 불임기간: 1년 5개월 양방불임검사: 다낭성난소증후군 진단 양방불임치료: 배란유도 2회 월경력: 40-50일주기, 혹 불규칙한 소량출혈 반복 치료기간: 4개월 치료 후 자연임신, 임신확인 후 안태약 복용, 출산 난소에서 여러개의 난포가 자라지만 성숙난포에 이르지 못하면서 배란이 잘 안되는 '다낭성난소증후군'은 월경불순과 불임을 일으키는 주 원인중 하나입니다. 다낭성난소증후군이라고 하더라도 40-50일만에 한번씩 나름 규칙적인 월경을 하는 가벼운 경우부터, 수개월에 한번씩 월경을 하는 경우까지 월경불순의 정도는 천차만별입니다. 그런데, 가벼운 다낭성난소증후군이라고 하더라도 몸이 피곤해지거나, 스트레스를 심하게 받거나, 환경이 변하게 되면 남들보다 월경의 이상이 쉽게 옵니다. 특히, 불규칙한 소..
2011. 7. 2.
[임상노트] 재발된 자궁내막증 불임여성의 자연임신
35세 여성 불임기간: 2년 2개월 양방불임검사: 좌측난소 자궁내막증(2.5cm, 1년전 자궁내막증 수술 했으나 재발) 양방불임치료: 배란유도 2회 월경력: 26-28일주기, 월경량 많은편, 월경통 심(다리까지 당기는 통증), 월경시 혈괴 많음 기타: 수족냉, 손발저림 치료기간: 2개월 치료 후 자연임신 자궁내막증을 진단받고 수술을 하였으나 다시 자궁내막증이 재발된 경우입니다. 이처럼 자궁내막증은 재발이 잘 되는 편인데, 이는 자궁내막증을 유발한 환경적 요인이 개선되지 않아서입니다. 한의학적으로 하복부의 순환장애, 냉증, 어혈의 정체는 자궁내막증을 유발하는 인자로 작용하며, 동시에 하복냉증, 월경통, 월경시 덩어리피 증가 등은 원인불명 월경통 중 '어혈성 월경통'의 대표적인 증상이기도 합니다.자궁내막증의..
2011. 7.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