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에세이193

소아비만, 월경불순과 다낭성난소증후군 위험 증가 성장기 소아비만이면? 커서 월경불순, 다낭성난소증후군 위험 다낭성난소증후군은 생식 연령 여성의 8-13%에서 나타나며 월경불순을 주 증상으로 합니다. 배란이 불규칙하기 때문에 난임 위험이 크고, 2형 당뇨, 고지혈증, 대사증후군 등 여러 질병과 관련이 있습니다. 비만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는데요. 최근 비만인 소아가 성인이 되었을 때 월경불순과 다낭성난소증후군 발병에 미치는 영향을 살핀 대규모 연구 결과가 발표되어 소개합니다. 호주와 미국에서 장기 프로젝트로 진행한 연구인데요. 1,516명의 호주인과 1,247명의 미국인이 참가하였습니다. 특히 미국인 연구는 백인과 흑인이 함께 참여하여 인종에 따른 영향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습니다. 체질량지수(BMI)와 허리둘레-키 비율(WHtR) 두 가지를 측정하였는데.. 2020. 6. 3.
제왕절개 후 임신율, 생존아 출산율 감소 제왕절개 후 시험관시술, 자연분만에 비해 생존아 출산율 37% 감소 제왕절개는 응급 상황에서 산모와 태아의 생명을 구하는 중요한 의료적 개입입니다. WHO는 적정 제왕절개 분만 비율을 10-15% 정도로 보고 있지만, 전 세계적으로 이 비율은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고(2000년 12%-> 2015년 21%), 특히 우리나라의 제왕절개 분만 비율은 매우 높습니다(2017년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기준, 45%). 제왕절개 후에는 염증, 유착, 자궁 손상 등 여러 후유증 위험이 있는데요. 생식력에도 영향을 미쳐 다음 임신까지 기간이 오래 걸리고 임신율이 감소한다는 여러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네덜란드에서 2006년부터 2016년까지 속발성 난임으로 시험관 시술을 실시한 1,317명의 결과를 이전 분만 형태에 따라.. 2020. 5. 25.
지속되는 비정상자궁출혈, 원인과 치료 정상/비정상 자궁출혈 구분과 원인 분류: 2018 FIGO 기준 정상 월경의 범위를 벗어난 자궁 출혈을 '비정상 자궁출혈(abnormal uterine bleeding: AUB)'이라고 합니다. 그렇다면 '정상 월경'은 어떠할까요. 사실 개인마다, 민족마다 월경의 양상이 조금씩 다르고, 같은 여성에서도 매달 월경의 양상이 달라지니 정상과 비정상을 엄격하게 구분하기는 어렵습니다. 국제 산부인과 연맹(International Federation of Gynecology and Obstetrics: FIGO)은 2011년 처음으로 정상 월경과 비정상 월경의 기준을 정했고, 2018년 개정판을 발표하였는데요. 대규모 연구에서 5-95th 백분위수(percentile)에 해당하는 여성의 월경을 기준으로 삼았습니다.. 2020. 5. 8.
[난소기능저하] AMH 낮은 여성, 인공수정 임신율 차이 없다 난소예비력(AMH) 낮은 35세 미만 여성의 인공수정 임신율과 임신 경과 분석 여성은 평생 사용할 수 있는 난포의 수가 한정되어 있습니다. 매달 여러 개의 작은 동난포가 자라다 하나의 우성난포가 선택되어 배란되는 과정을 거치면서 '가용 난포의 풀(pool)', 즉 난소예비력은 점점 줄어들지요. AMH는 난소예비력을 보여주는 지표 중 하나입니다. AMH와 임신율의 상관관계를 살핀 대부분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AMH는 호르몬제로 과배란을 유도했을 때 반응하여 자라는 난포의 수를 예측할 뿐 임신율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AMH와 자연임신, 시험관 임신, 유산율 [난소기능 지표] AMH와 자연임신, 시험관임신, 유산율 난소기능 지표인 AMH와 FSH가 일치하지 않을 때 시험관시술 결과에 더 영향을 주는 것은?.. 2020. 3. 11.
갱년기 월경 변화의 주원인, LOOP 갱년기 월경 이상, 에스트라디올(E2) 불규칙 분비와 관련 완경 이행기에 나타나는 불규칙한 월경주기와 월경량 변화의 패턴에 대해서는 앞에서 설명했습니다. 갱년기? 완경 이행기? 나는 어디쯤 있을까 갱년기? 완경 이행기? 나는 어디쯤 있을까 생식기-완경(폐경) 이행기-완경 후기: 생식 노화의 단계(by 2011 STRAW +10) '이제 나도 갱년기인가?' 40대 후반이 되고, 꼬박꼬박하던 월경이 불규칙해지기 시작하고, 살짝 얼굴에 열이 오르는 것도 같고 유독.. wombstory.tistory.com 갱년기/완경 이행기의 월경주기, 월경량 변화 갱년기/완경 이행기의 월경주기, 월경량 변화 완경 이행기(갱년기) 월경 패턴 : 불규칙하다가 길어지는 월경주기, 월경량/기간 증가는 일반적 '갱년기가 되면 월경주.. 2020. 3. 6.
갱년기/완경 이행기의 월경주기, 월경량 변화 완경 이행기(갱년기) 월경 패턴 : 불규칙하다가 길어지는 월경주기, 월경량/기간 증가는 일반적 '갱년기가 되면 월경주기가 불규칙해진다'는 이야기는 많이 듣는데, 얼마나/어떻게 불규칙해지는지에 대한 정보는 별로 없습니다. 그저 '개인마다 다 다르다'는 이야기가 제일 많죠. 물론 맞는 말입니다. 난소 기능이 좋을 때도 사람마다 월경주기, 월경량 등이 다 다른데 갱년기 월경 변화도 다를 수밖에요. 그렇지만 어느 정도 패턴은 있습니다. 이를 이해한다면 갱년기 월경 변화가 나타났을 때 지나친 불안감은 피할 수 있습니다. 생식기능에 따른 공식적인 여성의 생애주기 구분은 지난 포스팅에서 설명했으니 참고하시고요. 아래 표로 간단히 정리했습니다. 갱년기? 완경 이행기? 나는 어디쯤 있을까? 갱년기? 완경 이행기? 나는 .. 2020. 3. 5.
갱년기? 완경 이행기? 나는 어디쯤 있을까 생식기-완경(폐경) 이행기-완경 후기: 생식 노화의 단계(by 2011 STRAW +10) '이제 나도 갱년기인가?' 40대 후반이 되고, 꼬박꼬박하던 월경이 불규칙해지기 시작하고, 살짝 얼굴에 열이 오르는 것도 같고 유독 피곤하고... 여기저기서 들은 정보를 종합하면 갱년기 같기도 한데 글쎄요. 처음 겪는 일이니 잘 모를 수밖에 없습니다. 게다가 소위 '갱년기 증상'은 인종마다, 개인마다 나타나는 증상과 겪는 정도가 달라서 증상만으로는 현재 내 위치가 어딘지 딱 알 수 없지요. 이러한 불확실성이 불안감을 더 높이기도 하고요 1981년 Treloar는 중년 여성들의 월경주기와 양상을 12년간 관찰하여 '완경 이행기(menopausal transition)'라는 개념을 확립하였습니다. 1990년대에는 여러.. 2020. 3. 2.
6시간 미만 수면 남성, 임신 가능성 38% 감소 남성의 수면 시간과 수태율 상관관계: 북미 코호트 연구 '잠이 보약'이라는 말이 있듯이 수면 부족은 여러 질병 발생의 위험을 높입니다. 비만, 심혈관계 질환이 증가하고 각종 질병으로 인한 사망률이 증가한다는 여러 연구 결과가 있고요. 전문가들은 하루 7-8(9)시간의 수면이 건강에 가장 좋다고 권장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임신에는 어떤 영향을 줄까요? 여성의 경우 하루 6시간 미만 자게 되면 8시간 수면을 취하는 경우에 비해 약 11% 정도 임신율이 감소하고, 수면 장애가 있는 여성에서 난임 위험이 증가하며, 시험관 시술 중에도 수면량이 부족할 때 난자채취 수가 적다는 연구들이 있습니다. 하루 7-8시간 수면이 임신에 도움 [수면과 임신] 하루 7-8시간 수면이 임신에 도움 [수면과 임신] 하루 7-8시.. 2020. 2. 24.
공복 운동이 체지방 연소에 효과적 비슷한 강도의 운동을 비슷한 양으로 해도 운동 효과는 사람마다 다릅니다. 체질이나 식단, 생활 습관 등 여러 요인이 운동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데요. 영국 Bath 대학 연구팀이 공복 운동과 식사 후 운동의 효과 차이를 비교하는 연구를 실시한 결과, 공복 운동이 지방 연소 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관련 기사: ). Eating After You Exercise May Provide Added Fat-Burning Benefits Cyclists who had pedaled on an empty stomach incinerated about twice as much fat as those who had consumed a shake first. www.nytimes.com 활동량이 적은 과체중 남성.. 2019. 11. 28.